김수연, 이경랑, 권순일. (2014). 멀티미디어 기반 영어 어휘 암기 프로그램의 개발이 초등 영어 학습자의 영어 어휘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014년 가을 학술대회 발표논문, 서울.
[초록]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 기반으로 영어 어휘 수 확장 암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가 초등 영어 학습자의 영어 어휘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계획되었다. 어휘 암기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학습 선호에 따라 외부 제시
방법(타인이 제시한대로 미리 계획된 순서로 주도하는 방법)과 자기 주도
방법(시행착오를 통해 학습자 본인이 스스로 주도하는 방법)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는 33 명의 초등 영어 학습자가 참여하였다. 19 명은 본인의 학습 선호와
상응하는 방식(자기 주도적 학습자가 자기 주도 방식, 외부 주도적 학습자가 외부
제시 방식)으로, 14 명은 본인의 학습 선호와 반대 방식(자기 주도적 학습자가
외부 제시 방식, 외부 주도적 학습자가 자기 주도 방식)으로 영어 어휘를
학습하였다. 어휘 암기 프로그램이 초등 영어 학습자의 어휘 암기 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집단별로 시간차 간격을 둔 2 회의 사전 및 사후 평가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비교하였고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예상과는
다르게 영어 어휘 능력 향상에는 어휘 암기 프로그램의 유형보다는 학습자의
학습 선호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상응 집단이 반대 집단보다 더 많은
어휘를 암기하였다. 이 결과 역시 예상과 다르게, 반대 집단에서 두 번째 시도의
사전 평가의 결과가 최종 어휘 학습 결과에 대해 유의미한 예측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영어 학습자의 학습 선호 방식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반 영어 어휘 암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비교한 것으로 이는 새로운 시도이자, 개인차
기반 후속 연구들의 초석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1 of 14
More Related Content
멀티미디어 기반 영어 어휘 암기 프로그램의 개발이 초등 영어 학습자의 영어 어휘 능력에 미치는 영향
1. 멀티미디어 기반 영어 어휘 암기 프로그램의 개발이
초등 영어 학습자의 영어 어휘 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수연∙이경랑∙권순일
세종대학교
2. 1. 서론 및 이론적 배경
• 어휘의 정의
- 사람들이 알고 있거나 사용하는 모든 표현(Hornby & Wehmeier, 2000)
• 어휘 학습의 중요성 및 필요성
- 외국어로 된 글의 내용 파악에 가장 큰 걸림돌 = 모르는 어휘(Krashen, 1989; Laufer,
1997)
- 새로운 언어 학습 시 전반적인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가장 기본적인 요소(김낙복,
2005;
Zimmerman, 1997) 특히 외국어 학습의 초기 단계에서 가장 중요시 됨(Krashen,
1989)
• 어휘 학습의 한계점
- 우리나라의 영어 교실 상황(이화자, 1996; 정승옥, 2009; 한종임, 2004)
- 중학교 전체 교재 59종(이경랑, 김수연, 김슬기, 이윤정, 2011)
3. 서론 및 이론적 배경(cont’d)
• 자기주도적 어휘 학습
- 영어 어휘 습득을 위한 시간이 매우 부족 자기 주도적 학습 방법 필요
- 국제 학업 성취도 평가 학업 성취도 결과↑ vs. 자기 주도 학습 능력↓
- 성공적인 영어 학습을 위하여 없어서는 안 되는 꼭 필요한 방법(Gu, 2003; Oxford,
Cho,
Leung, & Kim, 2004).
• 멀티미디어 기반 어휘 학습
- 전통적인 수업 방식과 달리 흥미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외국어 교수 및 학습 환경을
제
공하고 있음(Berge & Collins, 1995).
- 영어 어휘 학습 능력에 효과적(강호원, 2005; Al-Seghayer, 2001; Cobb, 1997;
Knight,
1994; Loucky, 2003; Yanguas, 2009)
• 시간차 반복 어휘 학습
- 한 번 < 간격을 둔 두 번의 어휘 학습이 훨씬 더 효과적(Ebbinghaus, 1885)
- 멀티미디어 기반 어휘 학습에서는 시간차 반복 학습(spaced presentations)을 진행
4. 서론 및 이론적 배경(cont’d)
• 연구 목적
- 멀티미디어 기반 영어 어휘 수 확장 암기 프로그램을 개발이 초등 영어 학습자의 영어
어휘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계획됨
- 어휘 암기 프로그램과 학습자의 선호도 간에 상응 및 반대되는 방법으로 학습했을 때
의 결과 차이도 살펴보았음
- 간격을 둔 두 번의 어휘 학습이 최종 성취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도 살펴보았음
• 연구 질문
1) 외부 제시 방법과 자기 주도 방법의 어휘 암기 프로그램으로 두 번 반복 학습했을 때
초등 영어 학습자들의 어휘 암기 수는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 또한, 본인의 선호도와
상응 및 반대 되는 방법으로 학습했을 때 결과의 차이가 있는가?
2) 외부 제시 방법과 자기 주도 방법의 어휘 암기 프로그램으로 두 번 반복 학습했을 때
이전의 시험 결과(사전 평가1, 사후 평가1, 사전 평가2) 중 어떤 것이 최종 어휘 수(사
후
평가2)에 유의미한 예측력을 가지는가? 또한, 본인의 선호도와 상응 및 반대 되는 방
법
으로 학습했을 때 결과의 차이가 있는가?
5. 연구 방법
• 연구 참여자
- 33명의 초등학교 6학년 두 학급
종류 학생 수
본인이 선호하는 방식으로
(상응 집단)
자기 주도적 학습자가 자기 주도 방식
(자기-자기)
15명
19명
외부 주도적 학습자가 외부 제시 방식
(외부-외부)
4명
본인의 선호와 반대로
(반대 집단)
자기 주도적 학습자가 외부 제시 방식
(자기-외부)
11명
14명
외부 주도적 학습자가 자기 주도 방식
(외부-자기)
3명
- 자기 주도 방식: 시행착오를 통해 본인이 스스로 주도하는 방법에 익숙한 학습자가 선
호하는 방식
- 외부 제시 방식: 교사나 전문가와 같은 타인이 주도하는 방법에 익숙한 학습자가 선호
하는 방식
6. 연구 방법(cont’d)
• 연구 도구
1) 어휘 암기 프로그램
- 자기 주도 방식: 암기해야 할 어휘를 학습자 본인이 클릭해서 찾아내야 하는 방식(
시
행착오를 통한 방식)
7. 연구 방법(cont’d)
- 외부 제시 방식: 미리 계획된 순서대로 암기하는 방식( 우리나라 영어 학습자들에게
익숙한 전통적인 방식)
- 목표 어휘 5개 + 통제 어휘 5개; 영어 발음 + 우리말 뜻 제공
8. 연구 방법(cont’d)
2) 자기 주도적 학습 성향 판단 설문지
- Oxford(2003)의 학습스타일 측정 설문지(Style Analysis Survey)의 20문항
3) 목표 어휘 선정
- 각 영어 어휘 교재가 공통적으로 제시한 상, 중, 하 수준의 어휘 40개
- 목표 어휘 20개(명사 5개, 동사 5개, 형용사 5개, 부사 5개)와 비슷해 보이는 통제 어
휘
20개(명사 5개, 동사 5개, 형용사 5개, 부사 5개) e.g.) effort, society vs. effect,
salary
9. 연구 방법(cont’d)
4) 사전 및 사후 평가
- 목표 어휘 20개와 통제 어휘 20개가 품사에 상관없이 임의적인 순서로 제시
- 주어진 문제 당 한 번의 기회
10. 연구 방법(cont’d)
• 자료 수집 방법
집단 자료 수집 절차
상응 집단
(자기-자기, 외부-외
부)
설문지 사전 평가
반대 집단
(자기-외부, 외부-자
기)
- 오전/오후에 동일한 절차 2번 진행
상응하는
어휘 암기 학습
사후 평가
반대되는
어휘 암기 학습
• 자료 분석 방법
- 사회 과학 분야의 자료 분석을 위한 통계 프로그램(SPSS 12.0)
- 시간차 반복 학습에서 각 집단이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 평균과 표준편차
- 각 평가(1-1, 1-2, 2-1)가 최종 학습 결과(2-2)에 유의미한 예측력을 가지는지 회
귀 분석
11. 연구 결과 및 논의
• 자기 주도적 학습 성향 판단 설문지
- 2번의 설문지 결과 비교 자기 주도적 학습 성향 여부는 일관됨
• 시간차 반복 암기에서의 변화
10
9
8
7
6
5
4
1ㅡ1 1ㅡ2 2ㅡ1 2ㅡ2
자기-자기
외부-외부
자기-외부
외부-자기
12. 연구 결과 및 논의(cont’d)
종류 학생 수 평균 표준편차
본인이
선호하는
방식으로
(상응 집단)
자기 주도적 학습자가
자기 주도 방식
(자기-자기)
15명
1-1 6.73 5.68
1-2 8.00 6.18
2-1 7.87 4.97
2-2 9.20 5.75
외부 주도적 학습자가
외부 제시 방식
(외부-외부)
4명
1-1 5.50 1.29
1-2 7.50 3.70
2-1 5.00 1.41
2-2 8.75 3.30
본인의
선호와
반대로
(반대 집단)
자기 주도적 학습자가
외부 제시 방식
(자기-외부)
11명
1-1 4.82 3.82
1-2 7.27 3.10
2-1 6.82 3.74
2-2 7.27 4.24
외부 주도적 학습자가
자기 주도 방식
(외부-자기)
3명
1-1 5.00 2.00
1-2 6.67 3.06
2-1 4.33 .58
2-2 7.00 2.65
13. 연구 결과 및 논의(cont’d)
• 최종 암기 결과에 대한 예측 요소
- 총 4회의 평가(첫 번째 사전 및 사후 평가, 두 번째 사전 및 사후 평가)
- 상응 집단(19명) vs. 반대 집단(14명)
- 최종 학습 결과(2-2) vs. 이전의 3회의 평가 결과(1-1, 1-2, 2-1)
반대 집단(자기-외부, 외부-자기): (푅2=.72, F=8.75, p=.004)
반대 집단의 두 번째 사전 및 사후 평가(2-1, 2-2): (β=.51, p=.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