ݺߣ

ݺߣShare a Scribd company logo
아름다운가게의 30년 후 
53기 순환지원팀 이성국
“여보! 오늘은 좀 늦을 꺼야~ 고등학교 세 곳을 다녀와야 하거든~” 
은퇴 후 6년이라는 시간이 지났다. 30년 전만해도 은퇴 후에 뭘 하며 살아야 할까 고민을 
참 많이 했었는데, 요즘은 매일 강연을 다니느라 정신이 없으니 정말 행복한 시간을 보내 
고 있다. 
교사 : “아! 선생님 오셨어요? 오늘도 좋은 강연 부탁 드립니다.” 
“아이들이 지난번 강의가 인상적이었는지 오늘을 많이 기다렸거든요.” 
성국 : “그래요? 그럼 더 열심히 강의를 해야겠네요. 하하” 
교사 : “그리고 아름다운가게 간사님들이 실제로 어떤 일을 하시는지, 
생생한 경험담도 부탁 드립니다. 아이들이 간사가 되겠다고 난리네요. 하하” 
강연이 시작되고 2시간이 지났다. 화장실을 다녀오는 시간도 아깝다고 하여 생략했는데, 
아이들의 관심이 너무나 뜨겁다. 
학생1 : “선생님! 활동천사가 되려면 신청 후에 얼마나 기다려야 하나요?” 
학생2 : “수익금은 어떤 곳에 사용되나요?” 
학생3 : “지금은 아름다운가게 하면 모르는 사람이 없는데, 30년 전에는 어땠어요?” 
학생4 : “인터넷에 보면 130개국에 매장이 있다고 하는데, 
아프리카에도 있나요?”
학생5 : “파주에 있는 지하 3층, 지상 10층짜리 매장은 기증받은 건가요?” 
학생6 : “지난번 아름다운가게 대표로 다보스포럼에 참석하신 분은 어떤 분이세요?” 
질문에 대한 답변만 1시간째다. 아름다운가게 활동과 간사로서의 생활에 대한 관심이 1년 
전에 비해서 한층 더 증가했음을 피부로 느낀다. 
성국 : “30년 전에는 아름다운가게 간사가 기증품을 수거하러 아파트 단지를 들어갈 때 
택배에요. 라고 말을 하고 들어가야 했어요. 그래야 차단기를 열어줬거든요.” 
“ 그만큼 아름다운가게에 대해서 잘 모르던 시절이 있었어요.” 
학생들 : (웅성웅성) “헐~ 어떻게 그럴 수 있어요.” 
“아름다운가게가……” 
세월이 그만큼 많이 흘러서일까? 아니면 시민의식이 성장하고 아름다운가게의 철학과 비 
전이 실현된 결과일까? 이유야 어찌되었든 좋은 변화인 것 같다. 
교사 : “선생님 정말 수고 많으셨어요.” 
성국 : “뭘요. 아이들이 많은 것을 느끼고 생각할 수 있었던 시간이었으면 좋겠네요.” 
학교를 나와 버스정류장까지 천천히 걸었다. 길 건너에 아름다운가게 매장이 보인다. 200 
평 규모의 2층 매장이 수 많은 사람들로 붐비고 있다. 남녀 노소 할 것 없이 밝은 표정의 
사람들……
아내의 생일 선물을 사기 위해서 매장에 잠시 들렀다. 재사용 물품 뿐만 아니라 종류별로 
다양한 2000여 가지의 공익상품들이 눈에 들어온다. 
성국 : “어디 보자 뭘 사야 아내가 좋아할까?” 
평범하지만 평범하지 않은 은퇴 이후 삶 역시 아름다운가게와 함께 세상을 변화시키기 위 
해서 일할 수 있어서 행복하다. 
성국 : “앞으로 30년 이후에는 아름다운가게가 또 어떤 모습일까?” 끝.

More Related Content

소셜픽션 순환지원팀 이성국

  • 1. 아름다운가게의 30년 후 53기 순환지원팀 이성국
  • 2. “여보! 오늘은 좀 늦을 꺼야~ 고등학교 세 곳을 다녀와야 하거든~” 은퇴 후 6년이라는 시간이 지났다. 30년 전만해도 은퇴 후에 뭘 하며 살아야 할까 고민을 참 많이 했었는데, 요즘은 매일 강연을 다니느라 정신이 없으니 정말 행복한 시간을 보내 고 있다. 교사 : “아! 선생님 오셨어요? 오늘도 좋은 강연 부탁 드립니다.” “아이들이 지난번 강의가 인상적이었는지 오늘을 많이 기다렸거든요.” 성국 : “그래요? 그럼 더 열심히 강의를 해야겠네요. 하하” 교사 : “그리고 아름다운가게 간사님들이 실제로 어떤 일을 하시는지, 생생한 경험담도 부탁 드립니다. 아이들이 간사가 되겠다고 난리네요. 하하” 강연이 시작되고 2시간이 지났다. 화장실을 다녀오는 시간도 아깝다고 하여 생략했는데, 아이들의 관심이 너무나 뜨겁다. 학생1 : “선생님! 활동천사가 되려면 신청 후에 얼마나 기다려야 하나요?” 학생2 : “수익금은 어떤 곳에 사용되나요?” 학생3 : “지금은 아름다운가게 하면 모르는 사람이 없는데, 30년 전에는 어땠어요?” 학생4 : “인터넷에 보면 130개국에 매장이 있다고 하는데, 아프리카에도 있나요?”
  • 3. 학생5 : “파주에 있는 지하 3층, 지상 10층짜리 매장은 기증받은 건가요?” 학생6 : “지난번 아름다운가게 대표로 다보스포럼에 참석하신 분은 어떤 분이세요?” 질문에 대한 답변만 1시간째다. 아름다운가게 활동과 간사로서의 생활에 대한 관심이 1년 전에 비해서 한층 더 증가했음을 피부로 느낀다. 성국 : “30년 전에는 아름다운가게 간사가 기증품을 수거하러 아파트 단지를 들어갈 때 택배에요. 라고 말을 하고 들어가야 했어요. 그래야 차단기를 열어줬거든요.” “ 그만큼 아름다운가게에 대해서 잘 모르던 시절이 있었어요.” 학생들 : (웅성웅성) “헐~ 어떻게 그럴 수 있어요.” “아름다운가게가……” 세월이 그만큼 많이 흘러서일까? 아니면 시민의식이 성장하고 아름다운가게의 철학과 비 전이 실현된 결과일까? 이유야 어찌되었든 좋은 변화인 것 같다. 교사 : “선생님 정말 수고 많으셨어요.” 성국 : “뭘요. 아이들이 많은 것을 느끼고 생각할 수 있었던 시간이었으면 좋겠네요.” 학교를 나와 버스정류장까지 천천히 걸었다. 길 건너에 아름다운가게 매장이 보인다. 200 평 규모의 2층 매장이 수 많은 사람들로 붐비고 있다. 남녀 노소 할 것 없이 밝은 표정의 사람들……
  • 4. 아내의 생일 선물을 사기 위해서 매장에 잠시 들렀다. 재사용 물품 뿐만 아니라 종류별로 다양한 2000여 가지의 공익상품들이 눈에 들어온다. 성국 : “어디 보자 뭘 사야 아내가 좋아할까?” 평범하지만 평범하지 않은 은퇴 이후 삶 역시 아름다운가게와 함께 세상을 변화시키기 위 해서 일할 수 있어서 행복하다. 성국 : “앞으로 30년 이후에는 아름다운가게가 또 어떤 모습일까?”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