ݺߣ

ݺߣShare a Scribd company logo
동남아는 새 기회의 땅?
치솟는 임금, 노사분규 빨간 불 조심!
DBR Special Report
한국 기업의 동남아 진출
1968
한국남방개발
인도네시아 진출
1985
원화가치 상승
인건비 상승 :
노동집약적
경공업체들
동남아 진출
1990
베트남이 새로운
시장으로 등장
1990년대 후반
동남아 외환위기
발생, 투자 중단
+
2001
중국 WTO 가입,
투자 집중
최근 한국 기업,
다시금 동남아 주목!
한국 기업의 동남아 진출
• 중국에 과도 집중, 위험 분산
• 중국 인건비 상승
• 동남아 – 글로벌 경제 위기에서 지속 성장
⇨ 동남아는 중국을 보완하는 ‘China + 1’
해외 사업에는 리스크가 수반
• 해외 사업 = 원정 경기
• 현지 기업에 비해 불리한 조건
• 더닝(Dunning) :
외국비용에도 불구하고 성공하려면 ?
⇨ ‘외국비용’ (Cost of foreignness)
해외 투자 지역을 선택할 때 ,
특정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입지요인에서 더 매력적이어야 한다.
변하는 환경
• 통제할 수 없는 변수, 환경 존재
• 정치사회적 격변, 외환위기 등 컨트리리스크
• 동남아 지역의 리스크?
⇨ 정치, 사회, 경제적으로 급변하고 있는 동남아에서 특히 주의해
야
1) 노동 시장 리스크
2) 중국과의 경쟁 압력
노동 시장 리스크
1. 임금 상승
• 각국의 최저임금제 도입
• 저임에 익숙한 기업들에게 상당한 충격
2012 2013 2014 평균증가율
방콕 6450바트 9000바트 9000바트 20%
호치민 200만 동 235만 동 270만 동 15.5%
자카르타 153만 루피아 220만 루피아 243만 루피아 26.5%
프놈펜 - 80달러 95달러 18.8%
2. 노동력 확보 자체의 문제
• 실업률 3%대 미만인 국가도
• 숙련 노동자 부족
노동 시장 리스크
3. 노사 분규의 증가
• 개별 기업의 문제가 아닐 수도
• 민주화 진전, 노동권익 요구 – 시위 빈발
4. 정치, 사회적 리스크
• 태국 : 군부 쿠데타
중국과의 경쟁 압력 증가
1. 대동남아 무역수지 역전
• 잡화류 -> 섬유제품 -> 전자제품
• 영향력 확대하고 있는 중국
2000 2005 2007 2009 2011 2013
한국
수출 201 274 387 410 791 820
수입 182 261 331 341 531 533
수지 20 14 56 69 187 287
중국
수출 173 555 942 1064 1699 2431
수입 222 750 1083 1062 1925 1971
수지 -48 -196 -141 2 -226 460
중국과의 경쟁 압력 증가
2. 중국의 생산공유 참여
• 생산 공유 : 조립업체 ~ 부품/중간재 상호 조달
동아시아 중국
전기전자 산업
고도화
전자부품
중간재 산업 발전
중국과의 경쟁 압력 증가
2. 중국의 생산공유 참여
• 생산 공유 : 조립업체 ~ 부품/중간재 상호 조달
베트남
휴대폰 115억$ 수출
부품 80억$ 수입
중국에서 57억$
한국에서 22억$
중국과의 경쟁 압력 증가
2. 중국의 생산공유 참여
• 생산 공유 : 조립업체 ~ 부품/중간재 상호 조달
베트남
수출 133억$
수입 370억$
중국· · ·적자 237억$ · · ·
중국과의 경쟁 압력 증가
3. 중국 기업의 동남아 투자
• 기존 자원확보형 -> 소비재 부문
• 하이얼(Haier) : 삼성전자, LG전자의 주요 경쟁자
• 링룽 : 타이어 공장 가동
4. 인프라 연결
• 고속철도 – 라오스, 태국, 싱가폴까지 연결 계획
• 국제버스 운행
• 메콩강 대교 완공
문제 해결 방안?
1. 고부가 제품 전략
2. 현지 근로자 교육 확대
3. 노사관계 신뢰 회복 프로그램
4. 부품업체에 대한 현지 투자 강화
1. 고부가 제품 전략
1) 임금 인상은 계속될 것
• 인건비 부담 – 노동집약적 산업에 큰 영향
• 섬유, 신발, 잡화 산업의 상당수는 중소기업
2) 인건비 부담을 고부가 제품 전략을 통해 흡수
• 인건비 상승에 내성을 가질 수 있는 고부가가치 투자
• 인건비 비중이 상대적으로 적은 고급 제품 생산
• Ex. 실크 기모노, 가죽제품
• 장기적 : 점진적 구조조정
• 동남아 내에서의 설비 이전
1) 기술인력의 부족
• 기존에 채용한 인력의 교육에 더 관심을
• 모기업 연수, 사내 교육, 기초수학, 영어 등
• 현지인을 중간, 고급 관리자로 육성
2. 현지 근로자 교육 확대
2) 삼성전자 사례
• 일정 학력 이상만 고용
• 학력 미만 노동자는 협력업체로 취업
• 인근 입지 < 숙련인력
3. 노사관계 신뢰 회복 프로그램
1) 노사관계 신뢰 구축
• 노동 관련 법령 준수
• 복리후생 프로그램
• 현지 문화 이해도
2) 그럼에도 불구하고
• 정치, 사회적 환경
• 외국 기업의 공권력 요청 : 나쁜 결과 초래할 확률 높아
4. 부품업체에 대한 현지 투자 강화
1) 장기적인 경쟁 예상
• 현지 생산 현지 판매 vs 중국 수입품
• 중국인 화교 네트워크
• 업체들의 구매 전환 가능성
⇨ 현지 매출 둔화 => 본국 수출 정체
2) 한국 기업 제품 vs 중국 기업 제품
• 중국 제품과의 품질 차별화 유지
• 현지 R&D 확대
4. 부품업체에 대한 현지 투자 강화
3) 부품업체에 대한 현지 투자 강화
• 조립제품의 품질 제고 가능
• 중국 조립 업체 :현지 경쟁력 위해 품질 좋은 부품 필요
• 현지 기업 : 국산화율 제고를 위해 수입 대체 필요
• 동남아 현지 부품기업의 수준은 낮음
⇨ 한국 부품기업의 적극적 진출 - 한국 기업 역할 증대
정부의 역할
중국 정부 한국 상황 한국 정부 역할
화교 네트워크 교포사회의 영향력 미약
중국의 경제 원조 규모 경쟁 불가 원조효과 극대화
중국-아세안 FTA
한국-아세안 FTA
주요 국과 쌍무적 FTA
동남아시아 !
• 2015년, 동남아 아세안경제공동체 완성
• 하나의 시장, 생산기지 – 경제 통합 추진 중
• 동남아 : 결코 작지 않은 시장!
끝
(;-D)

More Related Content

프레젠테이션 1

  • 1. 동남아는 새 기회의 땅? 치솟는 임금, 노사분규 빨간 불 조심! DBR Special Report
  • 2. 한국 기업의 동남아 진출 1968 한국남방개발 인도네시아 진출 1985 원화가치 상승 인건비 상승 : 노동집약적 경공업체들 동남아 진출 1990 베트남이 새로운 시장으로 등장 1990년대 후반 동남아 외환위기 발생, 투자 중단 + 2001 중국 WTO 가입, 투자 집중 최근 한국 기업, 다시금 동남아 주목!
  • 3. 한국 기업의 동남아 진출 • 중국에 과도 집중, 위험 분산 • 중국 인건비 상승 • 동남아 – 글로벌 경제 위기에서 지속 성장 ⇨ 동남아는 중국을 보완하는 ‘China + 1’
  • 4. 해외 사업에는 리스크가 수반 • 해외 사업 = 원정 경기 • 현지 기업에 비해 불리한 조건 • 더닝(Dunning) : 외국비용에도 불구하고 성공하려면 ? ⇨ ‘외국비용’ (Cost of foreignness) 해외 투자 지역을 선택할 때 , 특정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입지요인에서 더 매력적이어야 한다.
  • 5. 변하는 환경 • 통제할 수 없는 변수, 환경 존재 • 정치사회적 격변, 외환위기 등 컨트리리스크 • 동남아 지역의 리스크? ⇨ 정치, 사회, 경제적으로 급변하고 있는 동남아에서 특히 주의해 야 1) 노동 시장 리스크 2) 중국과의 경쟁 압력
  • 6. 노동 시장 리스크 1. 임금 상승 • 각국의 최저임금제 도입 • 저임에 익숙한 기업들에게 상당한 충격 2012 2013 2014 평균증가율 방콕 6450바트 9000바트 9000바트 20% 호치민 200만 동 235만 동 270만 동 15.5% 자카르타 153만 루피아 220만 루피아 243만 루피아 26.5% 프놈펜 - 80달러 95달러 18.8% 2. 노동력 확보 자체의 문제 • 실업률 3%대 미만인 국가도 • 숙련 노동자 부족
  • 7. 노동 시장 리스크 3. 노사 분규의 증가 • 개별 기업의 문제가 아닐 수도 • 민주화 진전, 노동권익 요구 – 시위 빈발 4. 정치, 사회적 리스크 • 태국 : 군부 쿠데타
  • 8. 중국과의 경쟁 압력 증가 1. 대동남아 무역수지 역전 • 잡화류 -> 섬유제품 -> 전자제품 • 영향력 확대하고 있는 중국 2000 2005 2007 2009 2011 2013 한국 수출 201 274 387 410 791 820 수입 182 261 331 341 531 533 수지 20 14 56 69 187 287 중국 수출 173 555 942 1064 1699 2431 수입 222 750 1083 1062 1925 1971 수지 -48 -196 -141 2 -226 460
  • 9. 중국과의 경쟁 압력 증가 2. 중국의 생산공유 참여 • 생산 공유 : 조립업체 ~ 부품/중간재 상호 조달 동아시아 중국 전기전자 산업 고도화 전자부품 중간재 산업 발전
  • 10. 중국과의 경쟁 압력 증가 2. 중국의 생산공유 참여 • 생산 공유 : 조립업체 ~ 부품/중간재 상호 조달 베트남 휴대폰 115억$ 수출 부품 80억$ 수입 중국에서 57억$ 한국에서 22억$
  • 11. 중국과의 경쟁 압력 증가 2. 중국의 생산공유 참여 • 생산 공유 : 조립업체 ~ 부품/중간재 상호 조달 베트남 수출 133억$ 수입 370억$ 중국· · ·적자 237억$ · · ·
  • 12. 중국과의 경쟁 압력 증가 3. 중국 기업의 동남아 투자 • 기존 자원확보형 -> 소비재 부문 • 하이얼(Haier) : 삼성전자, LG전자의 주요 경쟁자 • 링룽 : 타이어 공장 가동 4. 인프라 연결 • 고속철도 – 라오스, 태국, 싱가폴까지 연결 계획 • 국제버스 운행 • 메콩강 대교 완공
  • 13. 문제 해결 방안? 1. 고부가 제품 전략 2. 현지 근로자 교육 확대 3. 노사관계 신뢰 회복 프로그램 4. 부품업체에 대한 현지 투자 강화
  • 14. 1. 고부가 제품 전략 1) 임금 인상은 계속될 것 • 인건비 부담 – 노동집약적 산업에 큰 영향 • 섬유, 신발, 잡화 산업의 상당수는 중소기업 2) 인건비 부담을 고부가 제품 전략을 통해 흡수 • 인건비 상승에 내성을 가질 수 있는 고부가가치 투자 • 인건비 비중이 상대적으로 적은 고급 제품 생산 • Ex. 실크 기모노, 가죽제품 • 장기적 : 점진적 구조조정 • 동남아 내에서의 설비 이전
  • 15. 1) 기술인력의 부족 • 기존에 채용한 인력의 교육에 더 관심을 • 모기업 연수, 사내 교육, 기초수학, 영어 등 • 현지인을 중간, 고급 관리자로 육성 2. 현지 근로자 교육 확대 2) 삼성전자 사례 • 일정 학력 이상만 고용 • 학력 미만 노동자는 협력업체로 취업 • 인근 입지 < 숙련인력
  • 16. 3. 노사관계 신뢰 회복 프로그램 1) 노사관계 신뢰 구축 • 노동 관련 법령 준수 • 복리후생 프로그램 • 현지 문화 이해도 2) 그럼에도 불구하고 • 정치, 사회적 환경 • 외국 기업의 공권력 요청 : 나쁜 결과 초래할 확률 높아
  • 17. 4. 부품업체에 대한 현지 투자 강화 1) 장기적인 경쟁 예상 • 현지 생산 현지 판매 vs 중국 수입품 • 중국인 화교 네트워크 • 업체들의 구매 전환 가능성 ⇨ 현지 매출 둔화 => 본국 수출 정체 2) 한국 기업 제품 vs 중국 기업 제품 • 중국 제품과의 품질 차별화 유지 • 현지 R&D 확대
  • 18. 4. 부품업체에 대한 현지 투자 강화 3) 부품업체에 대한 현지 투자 강화 • 조립제품의 품질 제고 가능 • 중국 조립 업체 :현지 경쟁력 위해 품질 좋은 부품 필요 • 현지 기업 : 국산화율 제고를 위해 수입 대체 필요 • 동남아 현지 부품기업의 수준은 낮음 ⇨ 한국 부품기업의 적극적 진출 - 한국 기업 역할 증대
  • 19. 정부의 역할 중국 정부 한국 상황 한국 정부 역할 화교 네트워크 교포사회의 영향력 미약 중국의 경제 원조 규모 경쟁 불가 원조효과 극대화 중국-아세안 FTA 한국-아세안 FTA 주요 국과 쌍무적 FTA
  • 20. 동남아시아 ! • 2015년, 동남아 아세안경제공동체 완성 • 하나의 시장, 생산기지 – 경제 통합 추진 중 • 동남아 : 결코 작지 않은 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