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Basic Ideation
책
지식과 감상의 전달매체
학습 체험
Learn by Reading Learn by Experience
교육자에 의해 미리 정리된 지식 체험 후 스스로 정리하는 지식
개념 심화 적용
개념 심화 적용
체험을 통해 습득한 지식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어가는 과정에 주목한다.
2. 놀이와 지식, Learn by Experience !
4eDu
2010 Fall & Winter | 산학연구실습 [책의 미래]
서유경 변지민
3. 서유경
디자인학부 4학년, 정보문화 7.5기
장래 ‘북실북실 컴파니’라고 하는 전자책 보급을 꿈꾸고 있는 중
교육과 책의 관련성에 대한 호기심으로 프로젝트 기획 및 진행
변지민
디자인학부 2학년, 정보문화 10기
현직 카투니스트, ‘어찌되었든’ 재미있는 콘텐츠 기획에 늘 궁리 중
재미있는 교육 콘텐츠 발견에 관한 의무감으로 콘텐츠 제작 및 디자인
5. Project Guideline
원전 텍스트 선정 상호작용적 콘텐츠로 제작 플레이를 통한 학습경험 논리적 텍스트로 전환 실험
원전 텍스트의 체계성을 유지한 콘텐츠의 제작 및 플레이를 한다.
경험으로 습득한 지식의 구조를 다시 원전 텍스트의 체계로 맞춰가는 실험을 한다.
경험을 기반으로 한 책을 만들어본다!
8. Project Guideline
원전 텍스트 선정 및 상호작용적 콘텐츠로 제작한다.
사용자 플레이 및 진행과정 기록 및 소개
플레이를 통한 학습경험 및 원전 텍스트로의 전환 실험
지식 기반의 교과서와 감상 기반의 문학작품에서 원전을 선택한다.
구성 원리를 바탕으로 상호작용적 플레이를 할 수 있도록 게임과 미디어아트를 통한 방법론으로 접근한다.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일일교사로서 ‘지식’과 ‘감상’을 테마로 한 교과목 수업을 한다.
게임과 영상, 미디어아트를 바탕으로 하여 교실의 구조를 바꾸고 학생과의 상호작용을 한다.
작업의 과정은 SNS 미디어를 활용하여 중계한다.
플레이 이후 얻은 단편적 지식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마무리 장치를 설치한다.
이를 바탕으로 비선형적 구조를 통한 체험이 선형적 구조의 지식으로 정착할 수 있는 과정과 그 효과를 탐구한다.
그 예로 퍼즐조각 맞추기, 나만의 교과서 챕터 만들기 등의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10. Quest Map to Learn
현재 배우거나 감상할 작품의 체계를 간단한 맵으로 표현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여
지나온 과정과 앞으로의 과정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Board Screen to Play
플레이하고 있는 과정을 표현한 보드 스크린이다.
여기에서 점수가 오가는 상황과 획득 여부에 관해 알 수가 있다.
게임에서 이기면 칩셋을 받고, 칩셋은 지식의 조각으로 교환할 수 있다.
Make Own Learning Book
자신이 얻은 지식들을 다시 책의 포맷으로 구성을 해볼 수 있게 한다.
이것은 게임을 통한 전리품인 동시에 자신들 고유의 스터디 북이 된다.
이 때 비선형적 체험이 선형적 지식체계가 되는 과정을 관찰한다.
20. Work Through
11/12 11/2611/19
콘텐츠 기획 콘텐츠 제작
12/1012/3
프로토 타입 실험 및 플레이 (초등학교에서 일일 수업)
성과 평가 및 기말 발표
프로모션 계획 (초등학교 공문 발송)
영상 촬영
12/17
프로모션 진행
블로그 발행
블로그 제작 및 업로드
아트 계획
아트 제작
21. Resource
인력구성 및 Co-work
제작 지원 및 예산
의뢰 및 프로모션
콘텐츠와 플랫폼에 관한 역량을 나누어서 공동작업 요망
프로젝터 스크린 및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기반의 플랫폼 능숙자와의 공동작업
전문인력을 고용할 경우 월급 계산
기초적인 재료비 (미디어아트로 나갈 경우에는 고액, 보드게임으로 갈 경우에는 저렴)
플레이 이후 얻은 단편적 지식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마무리 장치를 설치한다.
이를 바탕으로 비선형적 구조를 통한 체험이 선형적 구조의 지식으로 정착할 수 있는 과정과 그 효과를 탐구한다.
그 예로 퍼즐조각 맞추기, 나만의 교과서 챕터 만들기 등의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 이뤄지지 않을 경우 페이퍼맵 기반의 보드게임으로 만들어서 작업할 계획
학교(초등학교, 중학교 등)에 공문을 보내 정식으로 일일 교사로서 수업을 할 수 있도록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