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http://ko.wikipedia.org/wiki/M&A
1) '인수'는 하나의 기업이 다른
기업의 경영권을 얻는
것이고, '합병'은 둘 이상의
기업들이 하나의 기업으로
합쳐지는 것이다.
2) 인수합병의 2가지 종류
- 우호적 인수합병:
상대기업의 동의를 얻고 그
기업의 경영권을 얻는 경우
- 적대적 인수합병:
상대기업의 동의 없이 그
기업의 경영권을 얻는 경우
http://www.mna.go.kr/main.jsp?sub_num=205&state=view&idx=1
Page 3
4. 2012년 글로벌 M&A 시장
- 2012년 2,277개의 회사가 M&A 되었음
- 총 거래액이 $46.8B(50조 규모), 이중 30%(680개)가 전체 거래액의 80%(40조)를
차지함
- 2012년 M&A 큰손: 페이스북, 구글, Cisco, Avnet 등
Page 4
10. 성공적인(?) 인수기업 사례 - 한국
Google – 테터앤미디어, 블로그서비스, 18억달러
Intel – 올라웍스, 인식기술, 350억원
HMH(호튼미플린하코트) – 이노바투스, 100억원
KT – 엔써즈, 동영상 검색, 200억원
Tencent – 카카오톡(780억, 2대주주), 위메이드 등 7개 게임 개발사에 184억 투자
Page 10
11. 미국에서 M&A가 적극적인 이유
①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② 잠재적인 경쟁자 차단
③ 시장 점유율이 낮은 곳에서 인수를 통해 빠른 시장 확대와 침투
- 대부분 Local 기업 대상
④ 이미지 이어받기, 이미지 개선
- 부정적인 이미지, 퇴보한 이미지 등을 개선하는 효과
⑤ 문화적 차이
- 파트너로 인정, 상생하는 발전 모색
⑥ Copycat은 비난 받는다.
Ex. Snapchat vs. facebook Poke
Page 11
12. 한국에서 M&A가 어려운 이유는?
① Core 기술을 자체 보유한 벤처가 없음
- 기술보다는 아이디어에 의존한 서비스 벤처가 많으나 대기업의 마케팅 파워에
의해 쉽게 잠식되는 영역임
② 시장규모
- 의미 있는 성공의 숫자(사용자수 > 매출 > 독점성 등)를 확보하기 어려운
환경임
- 전체 인구 5천만, 소극적인 디지털 소비성향, 너무 빠른 변화 등
③ 임금의 차이
- 미국보다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임금으로 인해 인수보다는 개발자를 뽑거나
스카웃해서 만드는 비용이 더 저렴함
④ 문화의 차이
- 부도덕한 것, 강자가 약자를 부리는 형태로 해석되고 실제로 그러한 사례들만
있음
⑤ 창업자의 백그라운드: 전문가 Vs. 학부생
⑥ 대기업 계열로 소프트웨어 개발 계열사가 있음
Page 12
13. End of Documents
1) 우리의 핵심 기술력은?
2) 우리가 인수한다면 누구를?
3) 우리가 합병된다면? 누구와?
4) 요즘 인수 대상으로 좋은 아이템은?
Page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