ݺߣ

ݺߣShare a Scribd company logo
- 37 -
한국음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2006, Vol. 8, No. 1, pp. 37-53
음악치료 관련 최근 연구동향을 통한
우리나라 음악치료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조망
박 소 연․황 은 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음악학과)
이 연구는 1997년부터 2005년까지 음악치료 관련 학위논문을 조사․분석하여 향후 음악
치료 발전을 위한 이론을 제시하고 현재까지 관련 연구의 흐름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분석대상 논문은 석․박사 학위논문 총 488편이며, 연구자의 학위와 배경, 연구대상, 연구
방법, 연구내용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박사학위논문은 5편, 석사학위논
문은 483편이었고, 음악치료 전공자의 논문은 276편, 기타 전공자의 논문은 212편이었다.
둘째, 연구된 대상은 장애대상은 228편, 비장애대상 190편, 환자대상 29편, 기타 41편이었
다. 셋째, 연구방법은 양적연구가 411편으로 가장 많았고, 문헌연구 64편, 질적연구 2편,
양적․질적 병행연구 11편이었다. 넷째, 연구내용에 있어서는 정서영역(35%)이 가장 많았
다.
주제어: 음악치료연구, 연구동향, 분석
음악치료가 우리나라에서 정규학위과정으로 개설된 1997년 이후, 음악치료는
국내에서 점차 임상적으로나 학문적 영역에서 전문분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
다. 이는 1997년 숙명여대와 이화여대를 시작으로 매년 많은 학교에 음악치료학
과가 개설되고 있으며, 또한 기타 분야에서도 음악치료 관련논문이 많이 발표됨
을 통해 그 위치를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전문가적 지식과 소양을 갖춘 음
악치료사를 배출하기 위한 학위과정 개설 등 실천적 현장에서의 양적 발전과 더
불어 다양한 대상과 폭넓은 영역에 대한 연구논문 발표를 통한 질적 발전을 위
해서도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
연구란 과학적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증거가 없는 상식을 체계적․구체
적․논리적인 방법으로 이를 확인하여 이론을 정립해주는 경험과학적인 과정이
다. 그러므로 연구는 문제해결을 위해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을 이용하며, 이
러한 방법에 의하여 도출된 결과를 이론이라고 한다(석문주, 2004). 과학적 지식
한국음악치료학회(제8권 제1호, 2006)
- 38 -
을 기본으로 하는 음악치료 역시 다양한 대상과 여러 가지 방법으로 많은 영역
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이론을 정립
해 나가고 있다. 이상에서 알아본 것처럼, 음악치료가 학문영역으로 뿌리내리고
전문적인 연구 활동을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지만, 그동안 많은 영역
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해왔다. 이제는 이러한 발전을 기반으로 좀 더 다양한 주
제와 영역으로 더 많은 관심을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지금까
지의 연구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는 구체적인 틀을 마련하는 것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을 가지고 음악치료에서 연구동향을 분석한 선
행연구들이 있다. Jellison(1973), Gilbert(1979), James(1985) 그리고 Codding(1987)
은 NAMT(National Association for Music Therapy)에서 발간한 “Journal of
Music Therapy”의 연구 논문을 분석하였으며, Gfeller(1995)는 “Journal of Music
Therapy”와 AAMT(American Association for Music Therapy)의 공식 출판물인
“Music Therapy”를 비교하였다. 또한 Decuir(1987)는 “Journal of Music Therapy”,
NAMT의 또 다른 출판물인 “Music Therapy Perspective”, AAMT의 “Music
Therapy”, 그리고 예술치료를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는 “The Arts in Psychotherapy”
에서 음악치료 관련 논문에 관한 문헌연구를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김은주
(1999)가 1987년부터 1998년까지의 “Journal of Music Therapy”의 article 총
184편을 분석하였고, 남은정(2000)이 1982년부터 1998년까지 “Music Therapy
Perspective”에 수록된 170개의 연구물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음악치료연구에 올
바른 기반과 지식을 전달하려 하였다. 또한 한국음악치료 역사에 관해 논하면서
정은이(2001)는 국내에서 발표된 1973년 음악치료 관련 첫 논문을 시작으로
1996년까지의 논문 83편을 분석하였는데, 이를 대상별로 살펴보면 아동에 관한
논문이 총 30편으로 가장 많았다. 세부적으로 보면, 일반아동 3편, 자폐 10편, 정
신지체 12편, 신체장애 4편, 그리고 정서장애 1편이며, 청소년은 6편, 일반의료
분야는 8편, 기타(심상, 음악감상, 음악치료 역사 등)는 25편이 발표되었다. 한편,
1996년까지 노인에 관한 음악치료관련 논문은 한편도 발표되지 않았다.
현재 음악치료가 전문적인 학문으로 자리매김하는 이 시점에서 연구동향을 조
사․분석하는 것은 첫째, 음악치료의 과거와 미래의 전망을 제시할 수 있으며
둘째, 이를 통해 실천적 현장에서 일어나는 사실들을 서술할 수 있고 셋째, 도출
된 결과로 이루어진 이론을 통해 실천적 현장에서의 치료의 질적 향상과 더불어
미래의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할 수가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연
구동향의 전체적인 흐름을 자세하게 살펴보는 것은 학문의 발전에 있어 선행되
어야 할 중요한 일이라 하겠다. 이에 이 연구의 목적은 1997년에서 2005년까지
음악치료관련 석․박사 학위논문들의 내용과 방향 등을 분석하여 음악치료 연구
음악치료 관련 최근 연구동향을 통한 우리나라 음악치료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조망
- 39 -
의 흐름을 알아보려 하는 것이며, 이를 분석하고 정리하여 체계화시킨 결론들은
하나의 이론으로 정립되어 실천적 현장에서의 적용과 앞으로 연구방향에 대한
새로운 제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과 관련하여 다음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1. 관련논문 연구자의 학위와 배경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관련논문 연구대상은 어떠하며 연구자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 문제 3. 관련논문 연구방법은 어떠하며 연구자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 문제 4. 관련논문 연구내용은 어떠하며 연구자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방법
연구대상 및 범위
이 연구를 위해 수집한 자료대상은 숙명여대, 이화여대, 원광대, 한세대, 명지
대의 음악치료 전공 학과와 기타 관련 학과에서 발표된 음악치료관련 석․박사
학위논문이다. 이중 정은이(2001)의 연구에서 1996년까지 발표된 학위논문 현황
을 다루었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그 이후인 1997년부터의 학위논문을 수집하
였다. 또한 음악치료와 관련된 학술지들은 주로 음악치료 석사학위 논문들을 위
주로 게재하고 있기 때문에, 자료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제외하였다. 구체적인
자료수집 과정은 국회도서관,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그리고 각 대학의 중앙도서관
을 검색하여 1997년부터 2005년까지 발표된 음악치료, 음악요법을 주제로 한 논
문 총 488편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을 위한 분류기준
선정된 자료들은 1. 연도, 2. 연구자의 배경, 3. 학위구분, 4. 연구대상, 5. 연구
방법, 6. 연구내용에 따라 그 분포를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기준은 다음과 같
다.
1. 연도
1997년부터 2005년까지 연도별로 나누어 범주화하였다.
한국음악치료학회(제8권 제1호, 2006)
- 40 -
2. 연구자의 배경
음악치료 전공자와 비전공자로 분류하였으며, 기타전공자는 특수교육, 음악교
육, 유아교육, 기타 교육, 심리 상담, 사회복지, 간호, 신학, 음악 그리고, 기타로
범주화하였다.
3. 학위구분
석사학위 논문과 박사학위 논문으로 범주화하였다.
4. 연구대상
연구대상은 장애 대상, 비장애 대상, 환자 대상, 기타로 범주화하였다. 장애 대
상은 DSM-Ⅳ의 장애군을 기준으로 발달장애, 감각장애, 정서장애, 자폐, 정신지
체, ADHD, 정신질환, 치매, 신체장애, 뇌졸중, 뇌성마비, 다운증후군, 학습장애로
범주화 하였으며, 그 외의 대상은 기타장애로 범주화하였다. 비장애 대상은 연령
을 기준으로 신생아, 미취학 유아, 초등학생, 중․고등학생, 대학생, 일반성인, 노
인으로 범주화하였다. 또한 음악치료사, 부모, 교사, 관련 전문인은 따로 범주화
하였으며, 대상이 겹치거나 분류가 어려운 대상은 기타로 범주화하였다. 환자 대
상은 입원 환자들과 암 환자, 말기환자 등의 대상을 포함하였으며, 이 외의 사람
이 아닌 대상은 기타로 범주화하였다.
5.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양적연구, 질적연구, 문헌연구, 양적․질적 병행연구로 범주화하였
다. 양적연구는 다시 실험연구과 기술연구로 범주화 하였으며, 실험연구는 단일
대상연구와 집단실험연구로, 기술연구는 사례연구, 상관연구, 비교연구, 조사연
구, 기타연구로 범주화하였다.
6. 연구내용
연구내용은 음악치료목적을 기준으로 범주화하였다. 실험연구의 경우, 실험의
결과로 영향을 받는 변인 즉 종속변인을 기준으로 범주화 하였다. 예를 들어 ‘음
악 감상이 긴장이완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종속변인인 긴장이완을 기준으로
음악치료 관련 최근 연구동향을 통한 우리나라 음악치료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조망
- 41 -
‘정서-긴장이완’으로 범주화하였다. 만약 종속변인이 2개 이상일 경우는 각각 모
두를 반영하도록 고려하였는데, 예를 들어 '우울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일
경우 정서-우울, 정서-자아개념 모두로 범주화하였다. 따라서 논문수보다 더 많
은 빈도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기술연구의 경우, 각 영역별 요인이 모두 관여
된 상관연구의 경우는 상관으로 범주화하였고, 종교와 관련된 치유목회 관련 논
문은 따로 범주화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정리하면 <표 1>과 같다.
<표 1> 연구내용 범주화 기준
대분류 중분류
1. 음향심리
1. 리듬, 음고, 음색 선율 등의 지각/구별
2. 기타
2. 정서
1. 자기표현/정서/감정표현/인성/성격
2. 불안/우울/고통/불편감/분노/무기력
3. 만족도/삶의 질 4. 자아개념/자긍심/자기 효능감/자아 존중감
5. 창의성/정서지능 6. 스트레스/긴장이완 7. 기타
3. 행동
1. 문제행동/상동행동/자해행동/과잉행동/부적응
2. 적응/자기통제/눈 마주침/착석/집중력/주의력
3. 공격성 4. 기타
4. 사회
1. 상호작용/의사소통/관계
2. 사회성/응집력 3. 기타
5. 인지
1. 기억/회상 2. 과제수행
3. 언어향상/어휘습득/언어발달 4. 기타
6. 의료 1. 생리/뇌파 변화/체중/표정 2. 신체/언어재활 3. 기타
7. 이론
1. 선호도/인식도 2. 역사 3. 내용분석/논문분석
4. 실태조사/프로그램평가 5. 치료요인/이론연구/동양의학
6. 교육 7. 기타
8. 상관 1. 음악심리/음악교육 2. 심리학/인성/성격/학업성취 3. 기타
9. 종교적 1. 기독교/예배/목회자 관련 2. 기타(소리치료)
10. 기타 금연효과/치매증상 완화 등
분석절차
분석은 1997년부터 2005년까지의 음악치료 관련 석․박사 학위논문을 각 논문
의 제목과 내용을 중심으로 위의 분류기준에 따라 범주화하였다. 범주화는 객관
성을 위해 연구자 2인이 함께 하였으며, 연구자간 일치를 나타내는 kappa 통계
량은 .83이다. 또한 분류기준이 명확하지 않거나 이견을 보이는 내용에 대해서는
관련 전문가와 논의하여 범주화하였다. 분석한 자료는 SPSS window ver. 12.0
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계산하고, 범주형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한국음악치료학회(제8권 제1호, 2006)
- 42 -
결과
1997년부터 2005년까지 발표된 음악치료 관련 학위논문을 연도, 학위, 연구자
배경,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내용에 따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
음과 같다.
1. 연구자 학위와 배경에 따른 분석
1997년부터 2005년까지 분석된 음악치료 관련 학위논문은 총 488편이고, 이중
박사학위 논문은 1997년 1편(사회복지 전공), 2002년 1편(심리전공), 2003년 2편
(간호학, 기타 교육 전공), 2004년 1편(간호학) 총 5편이며, 석사학위논문은 총
483편이다. 연구자 배경을 살펴보면, 음악치료 전공자에 의해 발표된 논문은 총
276편(구성비; 57%)이며, 매년 평균 39편이 발표되었고, 1999년 15편에서 2005년
에는 38편으로 7년 동안 20편 증가하였다. 한편, 음악교육, 특수교육 등 기타전
공자에 의해 발표된 논문은 총 212편(구성비; 43%)이며, 매년 평균 24편이 발표
되었고, 1997년 4편에서 2005년 28편으로 8년 동안 24편 증가하였다. 연도별 연
구자 배경과 관련된 논문 수는 <표 2>, <그림 1>과 같다.
<표 2> 연구자 배경에 따른 논문 수
연도
음악
치료
기타전공
특수
교육
음악
교육
유아
교육
기타
교육
심리
상담
사회
복지
간호 신학 음악 기타* 계
97 2 1 1 4
98 4 1 1 1 1 8
99 15 1 4 2 2 2 2 13
00 43 2 12 2 1 1 2 4 2 1 27
01 43 3 6 1 4 1 5 1 1 22
02 41 5 3 3 4 4 7 2 1 29
03 50 8 9 1 3 2 3 3 1 2 2 34
04 46 7 12 1 6 1 5 8 1 1 5 47
05 38 7 3 2 0 4 1 6 1 1 3 28
계 276 33 55 10 17 15 24 29 7 9 13 212
구성비** 16 26 5 8 7 11 14 3 4 6 100
* 기타는 체육학, 대체의학 등 포함 ** 구성비는 기타전공 전체를 100으로 보고 계산
음악치료 관련 최근 연구동향을 통한 우리나라 음악치료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조망
- 43 -
0
10
20
30
40
50
60
97 98 99 00 01 02 03 04 05
연도
논
문
수
음악치료
기타전공
<그림 1> 연구자 배경에 따른 논문 추이
음악치료 전공이 아닌 기타 전공자를 살펴보면, 음악교육이 총 55편(구성비 26
%)으로 가장 많으며, 다음은 특수교육(총 33편; 구성비 16%), 간호학(총 29편;
구성비 14%), 사회복지(총 24편; 구성비 11%)순이다. 기타전공자의 구성은 다음
<그림 2>와 같다.
기타
6%
음악
4%
신학
3%
간호학
14%
사회복지
11%
심리상담
7%
기타교육
8%
유아교육
5%
특수교육
16%
음악교육
26%
<그림 2> 기타전공자의 구성
2. 연구 대상에 따른 분석
총 488편의 논문을 연구대상별로 살펴보면, 장애대상 연구는 총 228편, 비장애
대상 연구는 총 190편, 입원 환자, 말기환자, 암환자 등 환자대상연구는 총 29편,
기타 사람이 아닌 대상연구는 총 41편이다. 이를 연구자 배경에 따라 살펴보면,
한국음악치료학회(제8권 제1호, 2006)
- 44 -
음악치료 전공자의 경우 비장애 대상연구는 총 127편, 장애 대상연구는 총 130
편이며, 기타전공자의 경우 장애 대상연구는 총 98편, 비장애 대상연구는 총 63
편이다. 기타전공자의 경우 장애 대상연구가 비장애 대상연구보다 33편 많으며,
음악치료 전공자의 경우는 2003년 이후 비장애 대상연구가 장애 대상연구보다
약간 증가하고 있다.
연구자 배경에 따른 연구대상 차이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범주형 자료분석 결
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χ²=33.0, p< .00). 연구대상
에 따른 논문 수는 <표 3>과 같으며 연구자 배경에 따른 추이는 <그림 3>, <그
림 4>와 같다.
<표 3> 연구 대상에 따른 논문 수(음악치료/기타전공)
연도
비장애 장애 환자 기타
음악
치료
기타
전공
음악
치료
기타
전공
음악
치료
기타
전공
음악
치료
기타
전공
97 1 3
98 1 3 4
99 8 6 6 4 1 3
00 10 9 29 12 2 4 4
01 23 4 18 13 2 5
02 17 9 20 11 2 6 2 3
03 24 13 23 16 2 1 1 4
04 26 12 18 24 1 8 1 3
05 19 8 16 12 2 5 1 3
소계 127 63 130 98 7 22 12 29
계 190 228 29 41
0
5
10
15
20
25
30
97 98 99 00 01 02 03 04 05
연도
논
문
수
비장애
장애
환자
기타
<그림 3> 음악치료전공자의 연구대상 추이
음악치료 관련 최근 연구동향을 통한 우리나라 음악치료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조망
- 45 -
0
5
10
15
20
25
30
97 98 99 00 01 02 03 04 05
연 도
논
문
수
비장애
장애
환자
기타
<그림 4> 기타전공자의 연구대상 추이
1) 장애대상으로 분석
연구대상 중에 장애 대상연구(총 228편)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정신질환 대상
연구가 총 49편(21%)으로 가장 많으며, 이는 2002년을 기점으로 약간 감소하였
다. 한편, 자폐에 대한 연구는 총 44편(19%), 정신지체에 대한 연구는 총 38편
(17%)이다. 장애대상에 따른 논문 수는 <표 4>와 같다.
<표 4> 장애대상에 따른 논문 수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계
발달장애 1 2 3 1 7
감각장애 1 2 1 4
정서장애 1 2 1 4
자폐 2 2 9 8 5 6 8 4 44
정신지체 1 8 6 3 6 9 5 38
ADHD 2 3 2 2 1 2 12
정신질환 1 4 9 5 11 8 6 5 49
치매 1 1 1 3 4 1 3 1 3 18
뇌졸중 1 1 1 4 1 2 3 13
뇌성마비 3 1 1 1 6
다운증후군 1 2 2 5
학습장애 1 1 2 1 5 10
기타* 1 5 2 1 4 2 3 18
3 3 10 41 31 31 39 42 8 228
* 기타는 윌리엄스 증후군, 레트장애, 반응성 애착장애 등 포함
한국음악치료학회(제8권 제1호, 2006)
- 46 -
2) 비장애 대상으로 분석
연구대상 중 비장애 대상논문(총 190편)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중고생을 대상
으로 한 연구가 40편(21%)으로 가장 많으며,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31편
(16%),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29편(15%),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25편
(13%)이다. 비장애 대상에 따른 논문 수는 <표 5>와 같다.
<표 5> 비장애 대상에 따른 논문 수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계
신생아 1 1 1 1 1 5
유아 2 3 2 6 5 3 4 25
아동 1 5 5 4 7 7 29
중고생 1 4 6 6 3 11 6 3 40
대학생 3 1 2 1 4 4 15
일반성인 1 1 1 4 6 4 9 5 31
노인 1 1 4 2 4 2 2 16
음악치료사 1 1 2 4
부모 1 1 1 3
교사 1 2 1 2 1 17
관련전문인 1 1 2
기타* 1 3 2 1 1 3 2 13
계 1 1 14 19 27 26 37 38 26 190
* 기타는 사례가 겹치는 것 등 포함
3. 연구방법에 따른 분석
적용된 연구방법별로 살펴보면, 양적연구는 총 411편, 양적, 질적 병행연구는
총 11편, 순수한 질적연구는 총 2편이며, 문헌연구는 총 64편이다. 이중 질적연
구 2편은 2000년, 2005년 음악치료 전공자에 의해 발표되었다. 이를 내용별로 살
펴보면, 양적연구 중 실험연구는 총 289편, 기술연구는 총 122편이다. 양적연구
중 단일대상연구는 2000년을 시작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양적, 질적 병행
연구도 2001년 이후 꾸준히 발표되고 있다. 연구방법에 따른 논문 수는 <표 6>
과 같다.
음악치료 관련 최근 연구동향을 통한 우리나라 음악치료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조망
- 47 -
<표 6> 연구방법에 따른 논문 수
양적연구
질적연구 문헌연구
양적 ・ 질적
병행연구
실험연구 기술연구
단일
대상
집단
사례
연구
상관
연구
비교
연구
조사
연구
기타
97 1 3
98 3 5
99 17 1 4 6
00 3 34 7 5 4 5 1 1 10
01 5 28 6 3 1 9 2 8 3
02 3 45 3 1 1 7 5 5
03 7 45 4 8 3 8 1 7 1
04 3 54 10 2 1 7 2 13 1
05 1 40 7 1 1 7 1 7 1
22 267 37 21 11 47 6
2 64 11
289 122
연구자 배경에 따른 연구방법 차이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범주형 자료분석 결
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χ² =57.8, p< .00). 즉 문헌
연구의 경우는 기타전공자(총 54편)에 의해 발표된 것이 음악치료 전공자(총 10
편)에 의해 발표된 것보다 많지만, 양적, 질적 병행연구(11편)와 순수한 질적연구
(2편)는 모두 음악치료 전공자에 의해 발표되었다. 한편, 실험연구는 음악치료
전공자에 의해 총 150편, 기타 전공자에 의해 총 139편이 발표되었으며, 기술연
구는 음악치료 전공자에 의해 총 103편, 기타 전공자에 의해 총 19편이 발표되
었다. 전공자에 따른 연구방법 추이는 <그림 5>, <그림 6>과 같다.
1 1
11
21 22
25
20
24
27
3
15
19
22
10
16
18
3 2 1 2
0
5
10
15
20
25
30
97 98 99 00 01 02 03 04 05
연도
논
문
수
실 험연 구
기 술연 구
문 헌연 구
<그림 5> 음악치료전공자의 연구방법 추이
한국음악치료학회(제8권 제1호, 2006)
- 48 -
1
6
3
16
11
23 25
21
33
2
2 3
15
2
4
5 6
11
7
46
7
53
0
5
10
15
20
25
30
35
97 98 99 00 01 02 03 04 05
연 도
논
문
수
실 험 연 구
기 술 연 구
문 헌 연 구
<그림 6> 기타전공자의 연구방법 추이
4. 연구내용에 따른 분석
총 488편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총 569개의 연구목적과 관련된 변인을 찾을
수 있었다. 이를 내용별로 범주화한 결과, 자기표현, 우울, 불안 등 정서와 관련된
내용이 총 198편(35%)으로 가장 많으며, 이중 57%는 음악치료전공자에 의해 발
표되었다. 다음으로 치료적 원인 같은 이론에 관한 연구가 총 87편(15%)으로 두
번째로 많은 내용을 차지하였는데, 이중 41%가 음악치료 전공자에 의해 발표되
었으며, 행동에 관한 연구는 총 62편으로 이중 39%가 음악치료 전공자에 의해
발표되었다.
정서와 관련된 논문을 하위 내용별로 살펴보면, 불안, 우울, 고통 감소에 관한
논문이 가장 많았으며(39%), 다음은 자기표현/감정표현(19%), 자긍심 증진 등 자
아개념 관련(19%), 스트레스 관련(10%), 창의성 및 정서지능 관련(8%) 순이다. 또
한 이론과 관련된 연구를 하위내용별로 살펴보면, 치료요인과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44%), 다음으로 선호도관련(18%), 프로그램 등 평가에 관한 논문(14%),
내용분석 연구(10%), 교육관련 연구(8%) 순이다. 행동과 관련된 연구를 하위내용
별로 살펴보면, 눈 마주침, 착석, 집중력 관련(48%), 상동행동, 자해행동 관련(35%),
공격성 관련(11%) 순이다. 의료와 관련된 연구를 하위내용별로 살펴보면, 생리적,
변화와 관련된 논문(53%)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신체/언어 재활과 관련된 논
문(43%) 순이다. 이중 생리적 변화와 관련된 논문은 기타전공자에 의해 발표된
논문이 많으며(65%), 재활 관련 논문은 모두 음악치료 전공자에 의해 발표되었다.
한편, 여러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연구는 모두 음악치료 전공자들에 의
해 발표되었는데, 하위내용별로 살펴보면, 음악심리, 교육관련(48%), 인성, 성격관
련(43%) 순이다. 연구내용에 따른 결과는 <표 7>, <그림 7>, <그림 8>과 같다.
음악치료 관련 최근 연구동향을 통한 우리나라 음악치료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조망
- 49 -
<표 7> 연구 내용에 따른 분류
음향심리 정서 행동 사회성 인지 의료 이론 상관 종교 기타**
97 3 1
98 5 2 2 1
99 8(5) 4(2) 4(1) 3(3) 1(1) 6(2) 1(1) 4(2)
00 4(3) 18(8) 9(4) 9(8) 8(7) 6(5) 16(7) 5(5) 5(2)
01 3(2) 19(13) 11(7) 7(4) 3(2) 2(2) 15(8) 4(4) 3(2) 3(2)
02 2(1) 41(25) 6(3) 9(6) 6(3) 9(3) 11(7) 1(1) 4(3)
03 5(3) 35(22) 11(4) 8(5) 2(1) 7(6) 18(7) 7(7) 1 2
04 4(4) 42(22) 11(2) 17(10) 8(4) 9(6) 11(2) 2(2) 7(3) 1(1)
05 4(3) 27(18) 10(3) 11(7) 6(4) 4(2) 8(3) 1(1) 5(1) 1(1)
22
(16)
198
(113)
62
(24)
67
(41)
36
(24)
38
(25)
87
(36)
21
(21)
16
(6)
22
(11)
* ( )는 음악치료 전공자에 의해 연구된 것임 ** 기타는 금연효과, 치매증상 완화 등 포함
5
8
13
25
22
18
22
3
13 20
9
6
16
10
0
5
10
15
20
25
30
35
97 98 99 00 01 02 03 04 05
연도
빈
도
음악치료
기타전공
<그림 7> 정서연구에 관한 음악치료전공자와 기타전공자 추이
2
7
8 7
7
326
11
9
5
7
4
9
0
5
10
15
20
25
30
35
97 98 99 00 01 02 03 04 05
연 도
빈
도
음 악 치 료
기 타 전 공
<그림 8> 이론연구에 관한 음악치료전공자와 기타전공자 추이
한국음악치료학회(제8권 제1호, 2006)
- 50 -
결론 및 제언
이 연구는 1997년에서 2005년까지 음악치료 관련 석․박사 학위논문들의 내용
과 방향 등을 분석하여 음악치료 연구의 흐름을 알아보려는 목적으로, 음악치료
관련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학위,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내용을 연구자 배경에
따라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총 488편의 논문이 분석되었으며, 이중 박사학위논
문은 총 5편, 석사학위논문은 총 483편이다. 연구문제를 통하여 나타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 배경에 따라서는 음악치료 전공자에 의한 논문은 총 276편, 음악
치료 이외의 전공자들에 발표된 논문은 총 212편이다. 1997년과 1998년에는 국
내에 음악치료학과가 개설되었으나, 학위 논문은 발표되기 이전이기 때문에 기
타 전공자에 의해서만 연구가 발표되었으며, 음악치료 전공자에 의한 논문은
1999년 처음으로 발표되었다.
둘째, 장애 대상연구는 총 228편이며, 이중 음악치료 전공자에 의해 연구된 것
은 총 130편, 비장애 대상연구는 총 190편으로, 이중 음악치료 전공자에 의한 연
구는 총 127편이다. 음악치료가 비록 장애 대상으로 시작되었지만, 최근에는 많
은 음악치료사들에 의해 비장애 대상연구도 많이 발표되고 있는데, 노인관련 연
구를 살펴보면, 1997년 이전에는 한편도 발표되지 않았지만, 1999년을 시작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되고 있다. 비장애 대상연구 중 중고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는 2000년에 들어서면서 더욱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암환자, 말기환자 등을
대상으로 한 연구도 총 29편이 있다.
셋째, 실험연구와 기술연구를 포함한 양적연구는 총 411편이며, 이중 실험연구
는 총 289편, 기술연구는 총 122편이다. 실험연구 중 음악치료 전공자에 의한 연
구는 총 150편, 기타 전공자에 의한 연구는 139편이며, 기술연구는 음악치료 전
공자에 의한 연구는 총 103편, 기타 전공자에 의한 연구는 총 19편이다. 한편,
문헌연구는 총 64편으로 음악치료 전공자에 의해 10편, 기타 전공자에 의해 54
편이 발표되었으며, 양적, 질적 병행연구 11편과 순수한 질적연구는 모두 음악치
료 전공자에 의해 발표되었다. 이처럼 기타전공자들이 문헌연구를 많이 발표하
는 반면, 음악치료 전공자들은 실험을 통한 양적연구를 많이 적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질적인 접근법을 통한 연구도 발표하고 있다.
넷째, 연구내용은 주로 정서관련내용(35%)이 가장 많았으며, 치료적 원인과
같은 이론에 관한 연구는 총 87편(15%)으로 두 번째 많은 내용을 차지하였다.
정서와 관련된 논문은 불안, 우울, 고통 감소에 관한 논문이 가장 많았으며(39%),
음악치료 관련 최근 연구동향을 통한 우리나라 음악치료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조망
- 51 -
이론과 관련된 연구는 치료요인과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또한 행동과 관
련된 연구는 눈 마주침, 착석, 집중력 관련논문(48%)이 가장 많았으며, 여러 변
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연구는 음악심리, 교육관련(48%)연구가 가장 많았
다. 이처럼 정서와 관련된 논문은 연구자 배경과 관련 없이 많이 발표되고 있지
만, 행동, 이론과 관련된 연구는 기타전공자들에 의해 많이 발표된 반면, 신체/언
어 재활관련 논문과 음악적 요인과 기타 요인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는 연구들
은 모두 음악치료사들에 의해 발표되었다.
이상의 결론들을 통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음악치료사들에 의
한 전문적인 연구가 계속적으로 발표되어야 할 것이다. 1997년 처음 음악치료학
과가 개설된 이후 현재 5개 대학(숙명여대, 이화여대, 한세대, 명지대, 원광대)에
서 매년 약 80여명의 음악치료사를 배출하고 있는 것에 비해, 발표되는 논문은
매년 평균 39편 정도로 미흡하다. 따라서 미래 음악치료영역의 발전을 위해서
좀 더 전문적인 지식과 이론을 갖춘 음악치료 전공자들에 의해 많은 논문들이
발표될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대상과 내용면에서 더욱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
다. 현재 음악치료의 대부분 연구는 정신질환, 자폐 등 장애를 대상으로 하고 있
다. 하지만 최근 우리사회는 비록 장애진단을 받지는 않았지만, 대인관계, 사회
적인 부적응으로 인해 정신적, 육체적으로 건강한 정상생활을 유지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으며, 또한 고령화 사회로 인해 노인인구도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러한 시대적인 흐름을 반영하여 인터넷 중독 청소년, 섭식장
애 여성, 주부, 직장인, 노인 등 좀 더 다양한 대상으로 영역을 확대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내용면에서도 단순히 부적응적인 행동이나 정서에서 벗어나
좀 더 적극적인 교육적 개입, 또한 심리적인 탐구를 통한 연구들이 이루어진다
면 개개인의 성장을 위해서도 음악치료가 큰 영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셋
째, 연구방법 면에서 음악치료는 철저히 통제된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실험연구
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집단적인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여 실제적으로
임상에 적용하기에는 개별적으로 고려할 변인들이 많다. 따라서 음악치료에 대
한 개개인의 독특한 반응인 질적인 성격을 고려하여 현상학적 접근을 통한 질적
인 연구도 함께 이루어진다면, 많은 음악치료사들과 연구자들에게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음악치료학회(제8권 제1호, 2006)
- 52 -
참고문헌
김은주 (1999). “Journal of Music Therapy"(1987-1998)에 수록된 논문의 내용분
석 연구. 한국음악치료학회지, 1(1), 13-61.
남은정 (2000). “Music Therapy Perspective"(1982-1998)에 수록된 연구물의 내
용분석.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정은이 (2001). 한국음악치료의 역사 1960년대부터 1996년까지. 한국음악치료학
회지, 3(2), 21-39.
석문주 (2004). 음악교육의 최근 연구동향을 통한 우리나라 음악교육연구의 새로
운 접근. 음악교육연구, 27, 91-128.
Codding, P. A. (1987). A content analysis of the Journal of Music Therapy,
1977-1985. Journal of Music Therapy, 24(4), 195-202.
Decuir, A. (1987). Reading for music therapy students: an analysis of clinical
and research literature form the Journal of Music Therapy. In C. D.
Maranto, & K. Bruscia(Eds.), Perspectives on Music Therapy Education
and Training, 57-70.
Gfeller, K. (1995). The status of music therapy research. In Barbara L. Wheeler
(Ed.), Music therapy researc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erspectives(pp.
29-63). Phoenixville, PA; Barcelona Publishers.
Gilbert, J. P. (1979). Published research in music therapy, 1973-1978: Content,
focu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Music Therapy,
16(3), 102-110.
James, M. R. (1985). Sources of article published in the Journal of Music
Therapy: The first twenty years, 1964-1983. Journal of Music Therapy,
22(2), 87-94.
Jellison, J. A. (1973). The frequency and general mode of inquiry of research
in music therapy, 1952-1972. Counci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35, 1-8.
음악치료 관련 최근 연구동향을 통한 우리나라 음악치료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조망
- 53 -
The New Paradigm View of Music Therapy Inquiry
in Korea through Current Research Trends
in Music Therapy
Park, So-Yeon
Hwang, Eun-You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research in music therapy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s from 1997 to 2005, and to make some direc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music therapy research in Korea. The theses used in this
study include theses of master's and doctoral's degree, total of 488 and were divided
by degree, major, and background of the researchers, subjects of the theses, methods
and contents of the researche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ere listed as follows.
First, degree of theses were divided as follows; 5 doctoral's degrees and 483 master's
degrees. Those of all, there were 276 music therapy major's theses and 212 of others.
Second, subjects used in the theses were divided as follows; 228 disabilities, 190
non-disabilities, 29 patients and 41 others. Third, targeted research methods were
divided as follows; 411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64 literature research methods,
2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11 quantitative-qualitative mixed research methods.
Fourth, the field of emotion was the highest(35%) in the research contents.
Key word: music therapy research, research trend, analysis

More Related Content

박소연황은영2006 음악치료 관련 최근_연구동향을_통한_우리나라_음악치료연구의_새로운_패러다임_조망

  • 1. - 37 - 한국음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2006, Vol. 8, No. 1, pp. 37-53 음악치료 관련 최근 연구동향을 통한 우리나라 음악치료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조망 박 소 연․황 은 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음악학과) 이 연구는 1997년부터 2005년까지 음악치료 관련 학위논문을 조사․분석하여 향후 음악 치료 발전을 위한 이론을 제시하고 현재까지 관련 연구의 흐름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분석대상 논문은 석․박사 학위논문 총 488편이며, 연구자의 학위와 배경, 연구대상, 연구 방법, 연구내용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박사학위논문은 5편, 석사학위논 문은 483편이었고, 음악치료 전공자의 논문은 276편, 기타 전공자의 논문은 212편이었다. 둘째, 연구된 대상은 장애대상은 228편, 비장애대상 190편, 환자대상 29편, 기타 41편이었 다. 셋째, 연구방법은 양적연구가 411편으로 가장 많았고, 문헌연구 64편, 질적연구 2편, 양적․질적 병행연구 11편이었다. 넷째, 연구내용에 있어서는 정서영역(35%)이 가장 많았 다. 주제어: 음악치료연구, 연구동향, 분석 음악치료가 우리나라에서 정규학위과정으로 개설된 1997년 이후, 음악치료는 국내에서 점차 임상적으로나 학문적 영역에서 전문분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 다. 이는 1997년 숙명여대와 이화여대를 시작으로 매년 많은 학교에 음악치료학 과가 개설되고 있으며, 또한 기타 분야에서도 음악치료 관련논문이 많이 발표됨 을 통해 그 위치를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전문가적 지식과 소양을 갖춘 음 악치료사를 배출하기 위한 학위과정 개설 등 실천적 현장에서의 양적 발전과 더 불어 다양한 대상과 폭넓은 영역에 대한 연구논문 발표를 통한 질적 발전을 위 해서도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 연구란 과학적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증거가 없는 상식을 체계적․구체 적․논리적인 방법으로 이를 확인하여 이론을 정립해주는 경험과학적인 과정이 다. 그러므로 연구는 문제해결을 위해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을 이용하며, 이 러한 방법에 의하여 도출된 결과를 이론이라고 한다(석문주, 2004). 과학적 지식
  • 2. 한국음악치료학회(제8권 제1호, 2006) - 38 - 을 기본으로 하는 음악치료 역시 다양한 대상과 여러 가지 방법으로 많은 영역 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이론을 정립 해 나가고 있다. 이상에서 알아본 것처럼, 음악치료가 학문영역으로 뿌리내리고 전문적인 연구 활동을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지만, 그동안 많은 영역 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해왔다. 이제는 이러한 발전을 기반으로 좀 더 다양한 주 제와 영역으로 더 많은 관심을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지금까 지의 연구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는 구체적인 틀을 마련하는 것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을 가지고 음악치료에서 연구동향을 분석한 선 행연구들이 있다. Jellison(1973), Gilbert(1979), James(1985) 그리고 Codding(1987) 은 NAMT(National Association for Music Therapy)에서 발간한 “Journal of Music Therapy”의 연구 논문을 분석하였으며, Gfeller(1995)는 “Journal of Music Therapy”와 AAMT(American Association for Music Therapy)의 공식 출판물인 “Music Therapy”를 비교하였다. 또한 Decuir(1987)는 “Journal of Music Therapy”, NAMT의 또 다른 출판물인 “Music Therapy Perspective”, AAMT의 “Music Therapy”, 그리고 예술치료를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는 “The Arts in Psychotherapy” 에서 음악치료 관련 논문에 관한 문헌연구를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김은주 (1999)가 1987년부터 1998년까지의 “Journal of Music Therapy”의 article 총 184편을 분석하였고, 남은정(2000)이 1982년부터 1998년까지 “Music Therapy Perspective”에 수록된 170개의 연구물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음악치료연구에 올 바른 기반과 지식을 전달하려 하였다. 또한 한국음악치료 역사에 관해 논하면서 정은이(2001)는 국내에서 발표된 1973년 음악치료 관련 첫 논문을 시작으로 1996년까지의 논문 83편을 분석하였는데, 이를 대상별로 살펴보면 아동에 관한 논문이 총 30편으로 가장 많았다. 세부적으로 보면, 일반아동 3편, 자폐 10편, 정 신지체 12편, 신체장애 4편, 그리고 정서장애 1편이며, 청소년은 6편, 일반의료 분야는 8편, 기타(심상, 음악감상, 음악치료 역사 등)는 25편이 발표되었다. 한편, 1996년까지 노인에 관한 음악치료관련 논문은 한편도 발표되지 않았다. 현재 음악치료가 전문적인 학문으로 자리매김하는 이 시점에서 연구동향을 조 사․분석하는 것은 첫째, 음악치료의 과거와 미래의 전망을 제시할 수 있으며 둘째, 이를 통해 실천적 현장에서 일어나는 사실들을 서술할 수 있고 셋째, 도출 된 결과로 이루어진 이론을 통해 실천적 현장에서의 치료의 질적 향상과 더불어 미래의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할 수가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연 구동향의 전체적인 흐름을 자세하게 살펴보는 것은 학문의 발전에 있어 선행되 어야 할 중요한 일이라 하겠다. 이에 이 연구의 목적은 1997년에서 2005년까지 음악치료관련 석․박사 학위논문들의 내용과 방향 등을 분석하여 음악치료 연구
  • 3. 음악치료 관련 최근 연구동향을 통한 우리나라 음악치료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조망 - 39 - 의 흐름을 알아보려 하는 것이며, 이를 분석하고 정리하여 체계화시킨 결론들은 하나의 이론으로 정립되어 실천적 현장에서의 적용과 앞으로 연구방향에 대한 새로운 제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과 관련하여 다음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1. 관련논문 연구자의 학위와 배경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관련논문 연구대상은 어떠하며 연구자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 문제 3. 관련논문 연구방법은 어떠하며 연구자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 문제 4. 관련논문 연구내용은 어떠하며 연구자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방법 연구대상 및 범위 이 연구를 위해 수집한 자료대상은 숙명여대, 이화여대, 원광대, 한세대, 명지 대의 음악치료 전공 학과와 기타 관련 학과에서 발표된 음악치료관련 석․박사 학위논문이다. 이중 정은이(2001)의 연구에서 1996년까지 발표된 학위논문 현황 을 다루었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그 이후인 1997년부터의 학위논문을 수집하 였다. 또한 음악치료와 관련된 학술지들은 주로 음악치료 석사학위 논문들을 위 주로 게재하고 있기 때문에, 자료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제외하였다. 구체적인 자료수집 과정은 국회도서관,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그리고 각 대학의 중앙도서관 을 검색하여 1997년부터 2005년까지 발표된 음악치료, 음악요법을 주제로 한 논 문 총 488편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을 위한 분류기준 선정된 자료들은 1. 연도, 2. 연구자의 배경, 3. 학위구분, 4. 연구대상, 5. 연구 방법, 6. 연구내용에 따라 그 분포를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기준은 다음과 같 다. 1. 연도 1997년부터 2005년까지 연도별로 나누어 범주화하였다.
  • 4. 한국음악치료학회(제8권 제1호, 2006) - 40 - 2. 연구자의 배경 음악치료 전공자와 비전공자로 분류하였으며, 기타전공자는 특수교육, 음악교 육, 유아교육, 기타 교육, 심리 상담, 사회복지, 간호, 신학, 음악 그리고, 기타로 범주화하였다. 3. 학위구분 석사학위 논문과 박사학위 논문으로 범주화하였다. 4. 연구대상 연구대상은 장애 대상, 비장애 대상, 환자 대상, 기타로 범주화하였다. 장애 대 상은 DSM-Ⅳ의 장애군을 기준으로 발달장애, 감각장애, 정서장애, 자폐, 정신지 체, ADHD, 정신질환, 치매, 신체장애, 뇌졸중, 뇌성마비, 다운증후군, 학습장애로 범주화 하였으며, 그 외의 대상은 기타장애로 범주화하였다. 비장애 대상은 연령 을 기준으로 신생아, 미취학 유아, 초등학생, 중․고등학생, 대학생, 일반성인, 노 인으로 범주화하였다. 또한 음악치료사, 부모, 교사, 관련 전문인은 따로 범주화 하였으며, 대상이 겹치거나 분류가 어려운 대상은 기타로 범주화하였다. 환자 대 상은 입원 환자들과 암 환자, 말기환자 등의 대상을 포함하였으며, 이 외의 사람 이 아닌 대상은 기타로 범주화하였다. 5.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양적연구, 질적연구, 문헌연구, 양적․질적 병행연구로 범주화하였 다. 양적연구는 다시 실험연구과 기술연구로 범주화 하였으며, 실험연구는 단일 대상연구와 집단실험연구로, 기술연구는 사례연구, 상관연구, 비교연구, 조사연 구, 기타연구로 범주화하였다. 6. 연구내용 연구내용은 음악치료목적을 기준으로 범주화하였다. 실험연구의 경우, 실험의 결과로 영향을 받는 변인 즉 종속변인을 기준으로 범주화 하였다. 예를 들어 ‘음 악 감상이 긴장이완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종속변인인 긴장이완을 기준으로
  • 5. 음악치료 관련 최근 연구동향을 통한 우리나라 음악치료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조망 - 41 - ‘정서-긴장이완’으로 범주화하였다. 만약 종속변인이 2개 이상일 경우는 각각 모 두를 반영하도록 고려하였는데, 예를 들어 '우울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일 경우 정서-우울, 정서-자아개념 모두로 범주화하였다. 따라서 논문수보다 더 많 은 빈도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기술연구의 경우, 각 영역별 요인이 모두 관여 된 상관연구의 경우는 상관으로 범주화하였고, 종교와 관련된 치유목회 관련 논 문은 따로 범주화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정리하면 <표 1>과 같다. <표 1> 연구내용 범주화 기준 대분류 중분류 1. 음향심리 1. 리듬, 음고, 음색 선율 등의 지각/구별 2. 기타 2. 정서 1. 자기표현/정서/감정표현/인성/성격 2. 불안/우울/고통/불편감/분노/무기력 3. 만족도/삶의 질 4. 자아개념/자긍심/자기 효능감/자아 존중감 5. 창의성/정서지능 6. 스트레스/긴장이완 7. 기타 3. 행동 1. 문제행동/상동행동/자해행동/과잉행동/부적응 2. 적응/자기통제/눈 마주침/착석/집중력/주의력 3. 공격성 4. 기타 4. 사회 1. 상호작용/의사소통/관계 2. 사회성/응집력 3. 기타 5. 인지 1. 기억/회상 2. 과제수행 3. 언어향상/어휘습득/언어발달 4. 기타 6. 의료 1. 생리/뇌파 변화/체중/표정 2. 신체/언어재활 3. 기타 7. 이론 1. 선호도/인식도 2. 역사 3. 내용분석/논문분석 4. 실태조사/프로그램평가 5. 치료요인/이론연구/동양의학 6. 교육 7. 기타 8. 상관 1. 음악심리/음악교육 2. 심리학/인성/성격/학업성취 3. 기타 9. 종교적 1. 기독교/예배/목회자 관련 2. 기타(소리치료) 10. 기타 금연효과/치매증상 완화 등 분석절차 분석은 1997년부터 2005년까지의 음악치료 관련 석․박사 학위논문을 각 논문 의 제목과 내용을 중심으로 위의 분류기준에 따라 범주화하였다. 범주화는 객관 성을 위해 연구자 2인이 함께 하였으며, 연구자간 일치를 나타내는 kappa 통계 량은 .83이다. 또한 분류기준이 명확하지 않거나 이견을 보이는 내용에 대해서는 관련 전문가와 논의하여 범주화하였다. 분석한 자료는 SPSS window ver. 12.0 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계산하고, 범주형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 6. 한국음악치료학회(제8권 제1호, 2006) - 42 - 결과 1997년부터 2005년까지 발표된 음악치료 관련 학위논문을 연도, 학위, 연구자 배경,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내용에 따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 음과 같다. 1. 연구자 학위와 배경에 따른 분석 1997년부터 2005년까지 분석된 음악치료 관련 학위논문은 총 488편이고, 이중 박사학위 논문은 1997년 1편(사회복지 전공), 2002년 1편(심리전공), 2003년 2편 (간호학, 기타 교육 전공), 2004년 1편(간호학) 총 5편이며, 석사학위논문은 총 483편이다. 연구자 배경을 살펴보면, 음악치료 전공자에 의해 발표된 논문은 총 276편(구성비; 57%)이며, 매년 평균 39편이 발표되었고, 1999년 15편에서 2005년 에는 38편으로 7년 동안 20편 증가하였다. 한편, 음악교육, 특수교육 등 기타전 공자에 의해 발표된 논문은 총 212편(구성비; 43%)이며, 매년 평균 24편이 발표 되었고, 1997년 4편에서 2005년 28편으로 8년 동안 24편 증가하였다. 연도별 연 구자 배경과 관련된 논문 수는 <표 2>, <그림 1>과 같다. <표 2> 연구자 배경에 따른 논문 수 연도 음악 치료 기타전공 특수 교육 음악 교육 유아 교육 기타 교육 심리 상담 사회 복지 간호 신학 음악 기타* 계 97 2 1 1 4 98 4 1 1 1 1 8 99 15 1 4 2 2 2 2 13 00 43 2 12 2 1 1 2 4 2 1 27 01 43 3 6 1 4 1 5 1 1 22 02 41 5 3 3 4 4 7 2 1 29 03 50 8 9 1 3 2 3 3 1 2 2 34 04 46 7 12 1 6 1 5 8 1 1 5 47 05 38 7 3 2 0 4 1 6 1 1 3 28 계 276 33 55 10 17 15 24 29 7 9 13 212 구성비** 16 26 5 8 7 11 14 3 4 6 100 * 기타는 체육학, 대체의학 등 포함 ** 구성비는 기타전공 전체를 100으로 보고 계산
  • 7. 음악치료 관련 최근 연구동향을 통한 우리나라 음악치료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조망 - 43 - 0 10 20 30 40 50 60 97 98 99 00 01 02 03 04 05 연도 논 문 수 음악치료 기타전공 <그림 1> 연구자 배경에 따른 논문 추이 음악치료 전공이 아닌 기타 전공자를 살펴보면, 음악교육이 총 55편(구성비 26 %)으로 가장 많으며, 다음은 특수교육(총 33편; 구성비 16%), 간호학(총 29편; 구성비 14%), 사회복지(총 24편; 구성비 11%)순이다. 기타전공자의 구성은 다음 <그림 2>와 같다. 기타 6% 음악 4% 신학 3% 간호학 14% 사회복지 11% 심리상담 7% 기타교육 8% 유아교육 5% 특수교육 16% 음악교육 26% <그림 2> 기타전공자의 구성 2. 연구 대상에 따른 분석 총 488편의 논문을 연구대상별로 살펴보면, 장애대상 연구는 총 228편, 비장애 대상 연구는 총 190편, 입원 환자, 말기환자, 암환자 등 환자대상연구는 총 29편, 기타 사람이 아닌 대상연구는 총 41편이다. 이를 연구자 배경에 따라 살펴보면,
  • 8. 한국음악치료학회(제8권 제1호, 2006) - 44 - 음악치료 전공자의 경우 비장애 대상연구는 총 127편, 장애 대상연구는 총 130 편이며, 기타전공자의 경우 장애 대상연구는 총 98편, 비장애 대상연구는 총 63 편이다. 기타전공자의 경우 장애 대상연구가 비장애 대상연구보다 33편 많으며, 음악치료 전공자의 경우는 2003년 이후 비장애 대상연구가 장애 대상연구보다 약간 증가하고 있다. 연구자 배경에 따른 연구대상 차이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범주형 자료분석 결 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χ²=33.0, p< .00). 연구대상 에 따른 논문 수는 <표 3>과 같으며 연구자 배경에 따른 추이는 <그림 3>, <그 림 4>와 같다. <표 3> 연구 대상에 따른 논문 수(음악치료/기타전공) 연도 비장애 장애 환자 기타 음악 치료 기타 전공 음악 치료 기타 전공 음악 치료 기타 전공 음악 치료 기타 전공 97 1 3 98 1 3 4 99 8 6 6 4 1 3 00 10 9 29 12 2 4 4 01 23 4 18 13 2 5 02 17 9 20 11 2 6 2 3 03 24 13 23 16 2 1 1 4 04 26 12 18 24 1 8 1 3 05 19 8 16 12 2 5 1 3 소계 127 63 130 98 7 22 12 29 계 190 228 29 41 0 5 10 15 20 25 30 97 98 99 00 01 02 03 04 05 연도 논 문 수 비장애 장애 환자 기타 <그림 3> 음악치료전공자의 연구대상 추이
  • 9. 음악치료 관련 최근 연구동향을 통한 우리나라 음악치료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조망 - 45 - 0 5 10 15 20 25 30 97 98 99 00 01 02 03 04 05 연 도 논 문 수 비장애 장애 환자 기타 <그림 4> 기타전공자의 연구대상 추이 1) 장애대상으로 분석 연구대상 중에 장애 대상연구(총 228편)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정신질환 대상 연구가 총 49편(21%)으로 가장 많으며, 이는 2002년을 기점으로 약간 감소하였 다. 한편, 자폐에 대한 연구는 총 44편(19%), 정신지체에 대한 연구는 총 38편 (17%)이다. 장애대상에 따른 논문 수는 <표 4>와 같다. <표 4> 장애대상에 따른 논문 수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계 발달장애 1 2 3 1 7 감각장애 1 2 1 4 정서장애 1 2 1 4 자폐 2 2 9 8 5 6 8 4 44 정신지체 1 8 6 3 6 9 5 38 ADHD 2 3 2 2 1 2 12 정신질환 1 4 9 5 11 8 6 5 49 치매 1 1 1 3 4 1 3 1 3 18 뇌졸중 1 1 1 4 1 2 3 13 뇌성마비 3 1 1 1 6 다운증후군 1 2 2 5 학습장애 1 1 2 1 5 10 기타* 1 5 2 1 4 2 3 18 3 3 10 41 31 31 39 42 8 228 * 기타는 윌리엄스 증후군, 레트장애, 반응성 애착장애 등 포함
  • 10. 한국음악치료학회(제8권 제1호, 2006) - 46 - 2) 비장애 대상으로 분석 연구대상 중 비장애 대상논문(총 190편)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중고생을 대상 으로 한 연구가 40편(21%)으로 가장 많으며,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31편 (16%),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29편(15%),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25편 (13%)이다. 비장애 대상에 따른 논문 수는 <표 5>와 같다. <표 5> 비장애 대상에 따른 논문 수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계 신생아 1 1 1 1 1 5 유아 2 3 2 6 5 3 4 25 아동 1 5 5 4 7 7 29 중고생 1 4 6 6 3 11 6 3 40 대학생 3 1 2 1 4 4 15 일반성인 1 1 1 4 6 4 9 5 31 노인 1 1 4 2 4 2 2 16 음악치료사 1 1 2 4 부모 1 1 1 3 교사 1 2 1 2 1 17 관련전문인 1 1 2 기타* 1 3 2 1 1 3 2 13 계 1 1 14 19 27 26 37 38 26 190 * 기타는 사례가 겹치는 것 등 포함 3. 연구방법에 따른 분석 적용된 연구방법별로 살펴보면, 양적연구는 총 411편, 양적, 질적 병행연구는 총 11편, 순수한 질적연구는 총 2편이며, 문헌연구는 총 64편이다. 이중 질적연 구 2편은 2000년, 2005년 음악치료 전공자에 의해 발표되었다. 이를 내용별로 살 펴보면, 양적연구 중 실험연구는 총 289편, 기술연구는 총 122편이다. 양적연구 중 단일대상연구는 2000년을 시작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양적, 질적 병행 연구도 2001년 이후 꾸준히 발표되고 있다. 연구방법에 따른 논문 수는 <표 6> 과 같다.
  • 11. 음악치료 관련 최근 연구동향을 통한 우리나라 음악치료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조망 - 47 - <표 6> 연구방법에 따른 논문 수 양적연구 질적연구 문헌연구 양적 ・ 질적 병행연구 실험연구 기술연구 단일 대상 집단 사례 연구 상관 연구 비교 연구 조사 연구 기타 97 1 3 98 3 5 99 17 1 4 6 00 3 34 7 5 4 5 1 1 10 01 5 28 6 3 1 9 2 8 3 02 3 45 3 1 1 7 5 5 03 7 45 4 8 3 8 1 7 1 04 3 54 10 2 1 7 2 13 1 05 1 40 7 1 1 7 1 7 1 22 267 37 21 11 47 6 2 64 11 289 122 연구자 배경에 따른 연구방법 차이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범주형 자료분석 결 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χ² =57.8, p< .00). 즉 문헌 연구의 경우는 기타전공자(총 54편)에 의해 발표된 것이 음악치료 전공자(총 10 편)에 의해 발표된 것보다 많지만, 양적, 질적 병행연구(11편)와 순수한 질적연구 (2편)는 모두 음악치료 전공자에 의해 발표되었다. 한편, 실험연구는 음악치료 전공자에 의해 총 150편, 기타 전공자에 의해 총 139편이 발표되었으며, 기술연 구는 음악치료 전공자에 의해 총 103편, 기타 전공자에 의해 총 19편이 발표되 었다. 전공자에 따른 연구방법 추이는 <그림 5>, <그림 6>과 같다. 1 1 11 21 22 25 20 24 27 3 15 19 22 10 16 18 3 2 1 2 0 5 10 15 20 25 30 97 98 99 00 01 02 03 04 05 연도 논 문 수 실 험연 구 기 술연 구 문 헌연 구 <그림 5> 음악치료전공자의 연구방법 추이
  • 12. 한국음악치료학회(제8권 제1호, 2006) - 48 - 1 6 3 16 11 23 25 21 33 2 2 3 15 2 4 5 6 11 7 46 7 53 0 5 10 15 20 25 30 35 97 98 99 00 01 02 03 04 05 연 도 논 문 수 실 험 연 구 기 술 연 구 문 헌 연 구 <그림 6> 기타전공자의 연구방법 추이 4. 연구내용에 따른 분석 총 488편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총 569개의 연구목적과 관련된 변인을 찾을 수 있었다. 이를 내용별로 범주화한 결과, 자기표현, 우울, 불안 등 정서와 관련된 내용이 총 198편(35%)으로 가장 많으며, 이중 57%는 음악치료전공자에 의해 발 표되었다. 다음으로 치료적 원인 같은 이론에 관한 연구가 총 87편(15%)으로 두 번째로 많은 내용을 차지하였는데, 이중 41%가 음악치료 전공자에 의해 발표되 었으며, 행동에 관한 연구는 총 62편으로 이중 39%가 음악치료 전공자에 의해 발표되었다. 정서와 관련된 논문을 하위 내용별로 살펴보면, 불안, 우울, 고통 감소에 관한 논문이 가장 많았으며(39%), 다음은 자기표현/감정표현(19%), 자긍심 증진 등 자 아개념 관련(19%), 스트레스 관련(10%), 창의성 및 정서지능 관련(8%) 순이다. 또 한 이론과 관련된 연구를 하위내용별로 살펴보면, 치료요인과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44%), 다음으로 선호도관련(18%), 프로그램 등 평가에 관한 논문(14%), 내용분석 연구(10%), 교육관련 연구(8%) 순이다. 행동과 관련된 연구를 하위내용 별로 살펴보면, 눈 마주침, 착석, 집중력 관련(48%), 상동행동, 자해행동 관련(35%), 공격성 관련(11%) 순이다. 의료와 관련된 연구를 하위내용별로 살펴보면, 생리적, 변화와 관련된 논문(53%)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신체/언어 재활과 관련된 논 문(43%) 순이다. 이중 생리적 변화와 관련된 논문은 기타전공자에 의해 발표된 논문이 많으며(65%), 재활 관련 논문은 모두 음악치료 전공자에 의해 발표되었다. 한편, 여러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연구는 모두 음악치료 전공자들에 의 해 발표되었는데, 하위내용별로 살펴보면, 음악심리, 교육관련(48%), 인성, 성격관 련(43%) 순이다. 연구내용에 따른 결과는 <표 7>, <그림 7>, <그림 8>과 같다.
  • 13. 음악치료 관련 최근 연구동향을 통한 우리나라 음악치료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조망 - 49 - <표 7> 연구 내용에 따른 분류 음향심리 정서 행동 사회성 인지 의료 이론 상관 종교 기타** 97 3 1 98 5 2 2 1 99 8(5) 4(2) 4(1) 3(3) 1(1) 6(2) 1(1) 4(2) 00 4(3) 18(8) 9(4) 9(8) 8(7) 6(5) 16(7) 5(5) 5(2) 01 3(2) 19(13) 11(7) 7(4) 3(2) 2(2) 15(8) 4(4) 3(2) 3(2) 02 2(1) 41(25) 6(3) 9(6) 6(3) 9(3) 11(7) 1(1) 4(3) 03 5(3) 35(22) 11(4) 8(5) 2(1) 7(6) 18(7) 7(7) 1 2 04 4(4) 42(22) 11(2) 17(10) 8(4) 9(6) 11(2) 2(2) 7(3) 1(1) 05 4(3) 27(18) 10(3) 11(7) 6(4) 4(2) 8(3) 1(1) 5(1) 1(1) 22 (16) 198 (113) 62 (24) 67 (41) 36 (24) 38 (25) 87 (36) 21 (21) 16 (6) 22 (11) * ( )는 음악치료 전공자에 의해 연구된 것임 ** 기타는 금연효과, 치매증상 완화 등 포함 5 8 13 25 22 18 22 3 13 20 9 6 16 10 0 5 10 15 20 25 30 35 97 98 99 00 01 02 03 04 05 연도 빈 도 음악치료 기타전공 <그림 7> 정서연구에 관한 음악치료전공자와 기타전공자 추이 2 7 8 7 7 326 11 9 5 7 4 9 0 5 10 15 20 25 30 35 97 98 99 00 01 02 03 04 05 연 도 빈 도 음 악 치 료 기 타 전 공 <그림 8> 이론연구에 관한 음악치료전공자와 기타전공자 추이
  • 14. 한국음악치료학회(제8권 제1호, 2006) - 50 - 결론 및 제언 이 연구는 1997년에서 2005년까지 음악치료 관련 석․박사 학위논문들의 내용 과 방향 등을 분석하여 음악치료 연구의 흐름을 알아보려는 목적으로, 음악치료 관련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학위,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내용을 연구자 배경에 따라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총 488편의 논문이 분석되었으며, 이중 박사학위논 문은 총 5편, 석사학위논문은 총 483편이다. 연구문제를 통하여 나타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 배경에 따라서는 음악치료 전공자에 의한 논문은 총 276편, 음악 치료 이외의 전공자들에 발표된 논문은 총 212편이다. 1997년과 1998년에는 국 내에 음악치료학과가 개설되었으나, 학위 논문은 발표되기 이전이기 때문에 기 타 전공자에 의해서만 연구가 발표되었으며, 음악치료 전공자에 의한 논문은 1999년 처음으로 발표되었다. 둘째, 장애 대상연구는 총 228편이며, 이중 음악치료 전공자에 의해 연구된 것 은 총 130편, 비장애 대상연구는 총 190편으로, 이중 음악치료 전공자에 의한 연 구는 총 127편이다. 음악치료가 비록 장애 대상으로 시작되었지만, 최근에는 많 은 음악치료사들에 의해 비장애 대상연구도 많이 발표되고 있는데, 노인관련 연 구를 살펴보면, 1997년 이전에는 한편도 발표되지 않았지만, 1999년을 시작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되고 있다. 비장애 대상연구 중 중고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는 2000년에 들어서면서 더욱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암환자, 말기환자 등을 대상으로 한 연구도 총 29편이 있다. 셋째, 실험연구와 기술연구를 포함한 양적연구는 총 411편이며, 이중 실험연구 는 총 289편, 기술연구는 총 122편이다. 실험연구 중 음악치료 전공자에 의한 연 구는 총 150편, 기타 전공자에 의한 연구는 139편이며, 기술연구는 음악치료 전 공자에 의한 연구는 총 103편, 기타 전공자에 의한 연구는 총 19편이다. 한편, 문헌연구는 총 64편으로 음악치료 전공자에 의해 10편, 기타 전공자에 의해 54 편이 발표되었으며, 양적, 질적 병행연구 11편과 순수한 질적연구는 모두 음악치 료 전공자에 의해 발표되었다. 이처럼 기타전공자들이 문헌연구를 많이 발표하 는 반면, 음악치료 전공자들은 실험을 통한 양적연구를 많이 적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질적인 접근법을 통한 연구도 발표하고 있다. 넷째, 연구내용은 주로 정서관련내용(35%)이 가장 많았으며, 치료적 원인과 같은 이론에 관한 연구는 총 87편(15%)으로 두 번째 많은 내용을 차지하였다. 정서와 관련된 논문은 불안, 우울, 고통 감소에 관한 논문이 가장 많았으며(39%),
  • 15. 음악치료 관련 최근 연구동향을 통한 우리나라 음악치료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조망 - 51 - 이론과 관련된 연구는 치료요인과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또한 행동과 관 련된 연구는 눈 마주침, 착석, 집중력 관련논문(48%)이 가장 많았으며, 여러 변 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연구는 음악심리, 교육관련(48%)연구가 가장 많았 다. 이처럼 정서와 관련된 논문은 연구자 배경과 관련 없이 많이 발표되고 있지 만, 행동, 이론과 관련된 연구는 기타전공자들에 의해 많이 발표된 반면, 신체/언 어 재활관련 논문과 음악적 요인과 기타 요인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는 연구들 은 모두 음악치료사들에 의해 발표되었다. 이상의 결론들을 통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음악치료사들에 의 한 전문적인 연구가 계속적으로 발표되어야 할 것이다. 1997년 처음 음악치료학 과가 개설된 이후 현재 5개 대학(숙명여대, 이화여대, 한세대, 명지대, 원광대)에 서 매년 약 80여명의 음악치료사를 배출하고 있는 것에 비해, 발표되는 논문은 매년 평균 39편 정도로 미흡하다. 따라서 미래 음악치료영역의 발전을 위해서 좀 더 전문적인 지식과 이론을 갖춘 음악치료 전공자들에 의해 많은 논문들이 발표될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대상과 내용면에서 더욱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 다. 현재 음악치료의 대부분 연구는 정신질환, 자폐 등 장애를 대상으로 하고 있 다. 하지만 최근 우리사회는 비록 장애진단을 받지는 않았지만, 대인관계, 사회 적인 부적응으로 인해 정신적, 육체적으로 건강한 정상생활을 유지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으며, 또한 고령화 사회로 인해 노인인구도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러한 시대적인 흐름을 반영하여 인터넷 중독 청소년, 섭식장 애 여성, 주부, 직장인, 노인 등 좀 더 다양한 대상으로 영역을 확대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내용면에서도 단순히 부적응적인 행동이나 정서에서 벗어나 좀 더 적극적인 교육적 개입, 또한 심리적인 탐구를 통한 연구들이 이루어진다 면 개개인의 성장을 위해서도 음악치료가 큰 영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셋 째, 연구방법 면에서 음악치료는 철저히 통제된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실험연구 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집단적인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여 실제적으로 임상에 적용하기에는 개별적으로 고려할 변인들이 많다. 따라서 음악치료에 대 한 개개인의 독특한 반응인 질적인 성격을 고려하여 현상학적 접근을 통한 질적 인 연구도 함께 이루어진다면, 많은 음악치료사들과 연구자들에게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16. 한국음악치료학회(제8권 제1호, 2006) - 52 - 참고문헌 김은주 (1999). “Journal of Music Therapy"(1987-1998)에 수록된 논문의 내용분 석 연구. 한국음악치료학회지, 1(1), 13-61. 남은정 (2000). “Music Therapy Perspective"(1982-1998)에 수록된 연구물의 내 용분석.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정은이 (2001). 한국음악치료의 역사 1960년대부터 1996년까지. 한국음악치료학 회지, 3(2), 21-39. 석문주 (2004). 음악교육의 최근 연구동향을 통한 우리나라 음악교육연구의 새로 운 접근. 음악교육연구, 27, 91-128. Codding, P. A. (1987). A content analysis of the Journal of Music Therapy, 1977-1985. Journal of Music Therapy, 24(4), 195-202. Decuir, A. (1987). Reading for music therapy students: an analysis of clinical and research literature form the Journal of Music Therapy. In C. D. Maranto, & K. Bruscia(Eds.), Perspectives on Music Therapy Education and Training, 57-70. Gfeller, K. (1995). The status of music therapy research. In Barbara L. Wheeler (Ed.), Music therapy researc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erspectives(pp. 29-63). Phoenixville, PA; Barcelona Publishers. Gilbert, J. P. (1979). Published research in music therapy, 1973-1978: Content, focu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Music Therapy, 16(3), 102-110. James, M. R. (1985). Sources of article published in the Journal of Music Therapy: The first twenty years, 1964-1983. Journal of Music Therapy, 22(2), 87-94. Jellison, J. A. (1973). The frequency and general mode of inquiry of research in music therapy, 1952-1972. Counci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35, 1-8.
  • 17. 음악치료 관련 최근 연구동향을 통한 우리나라 음악치료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조망 - 53 - The New Paradigm View of Music Therapy Inquiry in Korea through Current Research Trends in Music Therapy Park, So-Yeon Hwang, Eun-You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research in music therapy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s from 1997 to 2005, and to make some direc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music therapy research in Korea. The theses used in this study include theses of master's and doctoral's degree, total of 488 and were divided by degree, major, and background of the researchers, subjects of the theses, methods and contents of the researche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ere listed as follows. First, degree of theses were divided as follows; 5 doctoral's degrees and 483 master's degrees. Those of all, there were 276 music therapy major's theses and 212 of others. Second, subjects used in the theses were divided as follows; 228 disabilities, 190 non-disabilities, 29 patients and 41 others. Third, targeted research methods were divided as follows; 411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64 literature research methods, 2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11 quantitative-qualitative mixed research methods. Fourth, the field of emotion was the highest(35%) in the research contents. Key word: music therapy research, research trend,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