ݺߣ

ݺߣShare a Scribd company logo
The Journal ofYeolinEducation
2012. Vol. 20, No. 2, pp267~284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이
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예술 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정문성**·석문주***·모경환****·김해경·박새롬*
요 약
본 연구는 예술꽃씨앗학교 지원사업을 사례로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이 학생들의 문화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준실험연구이다. 예술꽃씨앗학교로 지정된 16개 초등학교의 문화예술교육프
로그램 적용하여 사전사후 비교조사를 통해 학생들의 문화예술적 영역과 인성적 영역의 변화를 검증하였
다. 문화예술성 효과는 음악영역, 미술영역, 공연영역의 세 영역에 대해 자기효능감, 기능, 창의성/문화예
술적 감성, 리더십, 교과학습태도, 정서통제, 자기표현/발표력, 사회성의 8개 하위 영역으로 나누어 조사하
였고, 인성적 효과는 자존/행복감, 표현/창의성, 협동/사회성의 세 영역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비교집단의
초등학생에게서는 나타나지 않은 변화가 실험집단의 초등학생에게 나타났다. 실험집단 학생들의 문화예술
적 영역에서 대부분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고, 인성적 영역에서는 자존/행복감에는 변화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표현/창의성과 협동/사회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결론적으로 문화예술교육은
초등학생의 문화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긍정적 변화를 주었음이 발견되었다.
주제어 : 문화예술교육, 예술 꽃 씨앗학교, 효과성
Ⅰ. 서 언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2005년 12월 29일 문화예술교
육지원법이 제정되었다. 이를 계기로 문화예술교육이 다양한 형태로 지원되었다(오세곤,
* 이 연구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지원으로 수행된 보고서의 일부를 수정보완한 것임
**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 서울대학교 부교수
 경인교육대학교 조교수
* 한빛초등학교 교사
268 ∙『열린교육연구』 제20집 제2호
2008; 석문주·권덕원·오지향, 2010; 석문주·최은식·최미영, 2010). 이 법에 의해 한국문화
예술교육진흥원이 설립되고,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가 지정 및 운영되면서 구체적인 문
화예술교육의 지원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특히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문화예술교육을
크게 사회문화예술교육과 학교문화예술교육으로 나누어 지원하였다(정문성 외, 2010). 예
술 꽃 씨앗학교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하나로 소규모 초등학교 전교생이 학교에
서 문화예술 활동을 통해 문화예술 역량 및 인성계발과 사교육 경감 모델 확산을 목적으
로 수행되었다. 특히 연중 문화예술교육 활동 및 컨설팅 지원으로 통해 학교문화예술교육
이기는 하지만 학교와 지역사회가 함께 만들어가는 학교사업을 지향하였다. 2008년에 10
개, 2011년에 16개, 2012년에 10개교를 4년간 지원하게 된다. 지역별 현황은 다음과 같다.
<표 1> 예술꽃씨앗학교 지역별 현황
구분
서
울
부
산
대
구
인
천
광
주
대
전
울
산
경
기
경
북
경
남
전
북
전
남
충
북
충
남
강
원
제
주
계
‘08지정 - 1 - - 1 - 1 - 2 1 - 2 - - 1 1 10
‘11지정 - 1 - - - 2 - 2 1 1 2 2 1 1 2 1 16
‘12지정 1 1 1 - - 1 - 1 - 2 1 1 - 1 - - 10
현재 1 2 1 - - 3 - 3 1 3 3 3 1 2 2 1 26
전체 1 3 1 - 1 3 1 3 3 4 4 5 1 1 3 2 36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이 과연 소기의 성과를 거두었는지, 문화예술교육 결과 어떤 변화
가 나타났는지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전개되었다(김정선, 2010;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2010, 김은영, 2011, Patteson, 2011). 본 연구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중의
하나인 예술 꽃 씨앗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이 학생들에게 어떤 변화를 가져
왔는지를 확인해보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 평가는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을 계속해나가기 위한 근거로서도 필요하고, 학문적으로도 필요하다. ‘설사 능력
이 있다하더라도, 그 능력을 평가해내지 못한다면, 그것은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다’라는
평가에 관련된 격언처럼 효과성의 실증적 확인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에 한국문화예
술교육진흥원은 ‘문화예술교육 장기 성과평가 모형 구축’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김용주 외,
2009). 이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사업의 성과지표가 개발되고, 이에 따른 성과평가가 수행
되기도 했다(이윤식 외, 2010). 김용주 외(2009)는 학교 문화예술교육사업에서 문화예술
교육 기회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확대, 일상적인 삶과 괴리된 문화예술
교육의 문제점을 치유하기 위해 현장학습과 지역사회 참여활동 기회 확대, 최종 수요자
중심 등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문화예술 프로그램의 결과 수혜자들에게 어떠한 구체적인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효과성 평가 연구는 거의 없었다(이윤식 외, 2010).
효과성 평가는 프로그램 자체의 평가라기보다는 프로그램 실천 결과로서 나타난 효과를
정문성 ․ 석문주 ․ 모경환 ․ 김해경 ․ 박새롬 /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이 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 269
통해 프로그램을 평가하려는 접근으로써 효과성 평가의 무게 중심은 과연 그 프로그램이
참여자나 관련자들을 변화시킬 수 있느냐에 관심을 둔다(박도순·홍후조, 2005; 배호순,
2008; 황성철, 2005; 황정규 외, 2011). 하지만 이때 문화예술교육은 양적인 변화보다는
질적인 변화가 중시되는 영역이어서 효과성의 객관성에 대한 논란이 많다(Eisner, 1991,
2002; Greene, 2011).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에 대한 객관적 지표로서 양적 평가의 요구
를 하면서도 양적 평가에 대한 다소의 거부감도 상존하고 있다. 그러나 정책적 지원이나
물질적 지원의 근거가 되는 객관적 지표에 대한 관심과 연구를 소홀히 할 수 없는 것도
현실이다. 게다가 학술적으로도 문화예술교육이 학생들에게 실제적으로 어떠한 의미있는
영향을 주는 것인지를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 실증적 근거가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이 참여한 학생들에게 어떠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쳤는지에 관하여 효과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 효과성의 범주
를 문화예술적 측면에만 한정하지 않고 인성적 측면까지도 포함하였다. 그 까닭은 문화예
술교육이 단순히 음악, 미술, 공연 등의 문화예술관련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만을 목표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예술교육은 예술적 기능 숙달뿐 아니라 다양하게 표현하는 능력, 함
께 예술하는 경험을 통하여 다름을 용인하도록 배우는 세계시민주의적 감수성 등을 함양
하는 것도 목표로 한다(Hansen, 2011). 이에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예술 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인성함양에 효과적인가?
1-1. 예술 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자존감과 행복감을 높이는 데 효과적인가?
1-2. 예술 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표현력과 창의성을 높이는 데 효과적인가?
1-3. 예술 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협동심과 사회성을 높이는 데 효과적인가?
1-4. 예술 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인성함양효과에 변인별 차이가 있는가?
2. 예술 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문화예술성 함양에 효과적인가?
2-1. 예술 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음악영역에서 문화예술성을 높이는 데 효과적인가?
2-2. 예술 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미술영역에서 문화예술성을 높이는 데 효과적인가?
2-3. 예술 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공연영역에서 문화예술성을 높이는 데 효과적인가?
2-4. 예술 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문화예술성 함양효과에 변인별 차이가 있는가?
Ⅱ.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 평가모형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평가하기위해서는 평가의 틀, 즉 효과성 평가 모형이 필요하다.
특히 본 연구의 대상인 예술 꽃 씨앗학교의 경우는 예술 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이 추구하
는 목표에 부합된 평가 모형을 수립해야 한다.
270 ∙『열린교육연구』 제20집 제2호
연구 대상인 예술 꽃 씨앗학교 교육과정 내에서 또는 방과 후 과정을 통해 전교생이 문
화예술교육활동을 하며, 이를 위해 전문예술 강사를 배치하고 이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기
자재, 지역사회의 참여와 지원 등 4년간 지원하며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교
육기자재 구입, 우수강사 및 코디네이터 활용, 문화예술 교재 개발, 학교별 특성화 모델
개발, 지역문화예술기관 협력, 학부모 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 동아리활동, 지역사회 문화
예술 축제 참여, 문화예술교육 중심의 교육과정의 재구성 등을 실천한다.
특히 학교마다 특성화 모델을 개발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이 존재하므로 이러한 문화예술
교육의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Top-down 방식과 Bottom-up 방식의 접근법이 필
요하다. 이에 예술꽃 씨앗학교의 교육계획서 분석, 그리고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이론과 선
행연구의 검토를 통해 직접적 효과성이라 할 수 있는 문화예술 영역과 잠재적 교육과정이
라 할 수 있는 인성 영역으로 구분하여 평가모형을 구성하였다(Bruner, 1986; Gardner,
1993; Eisner, 2002). 본 연구가 대상으로 하고 있는 16개 예술 꽃 씨앗학교들은 매우
이질적인 환경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프로그램의 차이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
로 효과성의 범위를 좁게 한정했을 때에는 다양한 학교들의 다양한 효과성이 충분히 평가
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그렇다고 해서 너무 광범한 영역을 평가 영역으로 했을 때에는
예술 꽃 씨앗학교의 구체적 목표가 정교하게 평가되지 못할 가능성이 많다. 따라서 적절
한 수준의 평가지표를 추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구체적 평가문항들은 척도로
서 통계적 기준을 충족해야 함과 동시에 전문가가 판단할 때 평가 목표와 유의미한 일관
성이 있어야 하며, 응답자가 초등학생이라는 점에서 문항의 가독성도 고려해야 하는 어려
움도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학생의 효과성은 인성적 효과성과 문화예술적 효과성으
로 구성하기로 하였다.
인성적 효과성의 측정은 정문성 외(2010)에서 사용한 검사 도구를 응용하기로 하였다.
왜냐하면 문화예술교육을 고려한 인성적 효과성에 관한 양적 도구가 개발된 사례가 거의
없고, 이 도구는 엄밀한 과학적 절차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되었
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 적용하기 유용하기 때문이다.
문화예술적 효과성은 관련 연구들을 검토하고, 여러 차례 연구진의 논의와 전문가의 자
문 등을 통해 직접 개발하여 사용하기로 하였다. 기본적인 구성은 예술 꽃 씨앗학교에서
주로 사용하는 세 영역 즉, 음악, 미술, 공연이다. 물론 문화예술은 문학, 미술, 음악, 무
용, 연극, 영화, 연예, 국악, 사진, 건축, 어문 및 출판 등 다양한 영역이 있다(문화예술진
흥법 제2조). 그러나 초등학교가 연구 대상이라는 점에서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익숙한 영
역을 중심으로 간단하게 분류하는 것이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고, 측정하기에도 편리하다
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초등학생들은 여타의 다양한 장르의 문화예술을 주로 이 세 영역
을 중심으로 분류할 것으로 판단했으며, 또한 복합적 활동이 많아서 주된 역할을 하는 영
역을 중심으로 학생들이 판단할 것으로 기대하였다.
각 영역별로는 문화예술교육으로 파급될 수 있는 초등학생들의 발달영역과 학교교육 목표
정문성 ․ 석문주 ․ 모경환 ․ 김해경 ․ 박새롬 /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이 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 271
영역 분류
인성
자존/행복감
각각 10개 문항으로 모두 30문항표현/창의성
협동/사회성
문화예술성
음악
1.자기 효능감
2.기능
3.창의성/문화예술적 감성
4.리더십
5.교과학습태도
6.정서통제
7.자기표현/발표력
8.사회성
미술
1.자기 효능감
2.기능
3.창의성/문화예술적 감성
4.리더십
5.교과학습태도
6.정서통제
<표 2> 학생에 대한 효과성 평가 모형
등을 고려하여 기존 연구(정문성 외, 2010)와 연구진 및 전문가의 협의를 거쳐 모두 여덟
가지 하위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여덟 가지 영역은 자기 효능감, 기능, 창의성/ 문화예술적
감성, 리더십, 교과학습 태도, 정서통제, 자기표현/ 발표력, 사회성이다. 이렇게 해서 개발된
효과성 평가 모형은 <표 2>와 같다. 인성적 효과는 문화예술교육을 받고 있는 초등학생들을
면접조사하여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에 대해 생각하고 느끼는 점을 조사하고, 담당 교사들을
면접조사하여 초등학생들을 관찰하여 발견하거나 기대하는 효과들을 조사하고, 문화예술치
료 등에 관련된 연구들을 종합하여 문항들을 추출하고, 예비문항으로 예비조사를 거쳐 문항
을 선정하고, 이를 세 가지로 영역화한 것이다(정문성 외, 2010). 또한 문화예술적 영역은
크게 음악, 미술, 공연의 세 영역으로 구분하였고, 각각의 8가지 유형은 정문성 외(2010)의
연구에서 문화예술교육을 받은 초등학생 15명을 3차례에 걸쳐 심층면접을 통해 밝혀낸 7가
지 변화 유형에 문화예술교육의 기능영역을 추가하여 8가지 하위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기
능 영역을 추가한 한 것은 문화예술교육의 중요한 효과임에 틀림없기 때문이다.
272 ∙『열린교육연구』 제20집 제2호
7.자기표현/발표력
8.사회성
1.자기 효능감
공연
2.기능
3.창의성/문화예술적 감성
4.리더십
5.교과학습태도
6.정서통제
7.자기표현/발표력
8.사회성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유사 실험설계(quasi-experimental design)로서
비동일 통제집단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를 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집단은 1년차 16개 예술 꽃 씨앗학교에 재학중인 학생이며, 비교 집단은 일반학교 학생이
다. 총 2097명의 학생 중 1824명은 예술 꽃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며, 나머지
273명은 통제집단이다. 효과성 검사 도구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5
점 척도로 하였으며, 평균점수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4, 5, 6학년으로 자기 기술식 검사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학년이라
는 점이 고려되었다. 일반 학교 5개교는 예술 꽃 씨앗학교 신청 자격을 가진 유사한 학교
로 예술 꽃 씨앗학교의 추천을 받고 해당 학교의 허락을 받아 선정하였다.
표집의 특성은 <표 3>과 같다. 학년별로는 4학년이 31.4%, 5학년이 35.1%, 6학년이
33.5%로 비교적 골고루 분포되었다. 성별로는 남자가 49.9%, 여자가 50.1%로 비교적 골
고루 분포되었다. 사교육 여부를 물었을 때 88.1%의 학생이 받았다고 응답하였으며,
11.9%의 학생은 받지 않았다고 응답하여 사교육을 받은 학생이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스스로가 생각하는 본인의 경제적 환경의 경우‘상’이라고 답한 학생이 6.2%, ‘중’이
라고 답한 학생은 90.2%, ‘하’라고 답한 3.6%로 대다수의 학생들이 스스로의 경제적 환경
수준을 중간 수준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문성 ․ 석문주 ․ 모경환 ․ 김해경 ․ 박새롬 /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이 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 273
구분
4년차 예술 꽃
씨앗학교 10개교
1년차 예술 꽃
씨앗학교 16개교
일반학교
5개교
계
학년
4 211(28.9%) 342(33.7%) 93(33.7%) 632(31.4%)
5 268(36.7%) 313(30.9%) 97(35.3%) 706(35.1%)
6 252(34.5%) 359(35.4%) 85(31.0%) 674(33.5%)
성별
남 350(47.9%) 510(50.3%) 142(51.6%) 1025(49.9%)
여 381(52.1%) 504(49.7%) 132(48.4%) 1026(50.1%)
사교육
여부
받음 650(89.3%) 856(84.4%) 220(82.6%) 1794(88.1%)
안받음 78(10.7%) 158(15.6%) 46(17.4%) 243(11.9%)
경제적
환경
상 54( 7.4%) 80( 7.9%) 11( 4.3%) 127 (6.2%)
중 641(88.0%) 896(88.8%) 249(91.7%) 1849(90.2%)
하 33( 4.5%) 33( 3.3%) 10( 4.1%) 73( 3.6%)
계 728(100%) 1014(100%) 273(100%) 2097(100%)
<표 3> 연구대상의 특징
사례수(백분율)
2. 평가도구
본 연구에서 활용된 평가도구는 전술한 바대로 인성적 효과성과 문화예술적 효과성으로
구성하였다.
인성적 효과성은 정문성 외(2010)의 ‘어린이 창의 Arts TREE 방과후 돌봄교실 문화예
술교육 지원사업 효과성 분석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 도구를 응용하기로 하였다. 왜냐하면
문화예술교육을 고려한 인성적 효과성에 관한 양적 도구가 개발된 사례가 거의 없고, 이
도구는 엄밀한 과학적 절차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되었다는 점
에서 본 연구에 적용하기 유용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 학생들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
한 검사 도구를 6단계의 절차를 거쳐 개발하였다. 1) 기초 자료의 분석, 2) 학생 및 교
사 대상 1차 예비조사, 3) 1차 예비 문항 개발, 4) 문항 평정 및 수정, 5) 2차 예비조
사와 문항 재수정, 6) 문항 양호도 평가 및 문항 선정의 절차를 거쳤다. 그 결과 ‘자존
감/행복감 영역(10문항)’, ‘표현/창의성 영역(11문항)’, ‘협동/사회성 영역(11문항)’으로
모두 32문항으로 된 검사 도구가 제작되었다.
그러나 이 검사 도구는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개발한 것이기 때문에 본 연구의
대상인 초등학교 4, 5, 6학년에 적용할 수 있는지 확인을 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이 검
사 도구가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을 포괄적으로 측정하는 것이지만 이 연구에서 적용한
프로그램은 방과후 돌봄교실로 방과후 과정인데다가 대도시의 선별된 학생집단을 대상으
274 ∙『열린교육연구』 제20집 제2호
로 한다는 점에서 예술 꽃 씨앗학교 프로그램과는 큰 차이가 있다. 따라서 예비조사를 통
해 이 검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고 수정하여 사용하기로 하였다. <표 4>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인성적 효과성 검사 도구이다.
영역 문 항
비
고
자존/행복감
1. 나는 내 자신이 좋다.
2. 나는 행복하다.
3. 학교에 오면 기분이 좋다.
4. 나는 아무에게도 도움이 안 되는 사람이다. R
5. 내 자신이 자랑스럽다.
6. 자꾸 화가 난다. R
7. 슬픈 생각이 날 때가 많다. R
8. 나는 학교에서 지내기가 힘들다. R
9. 나는 다른 사람으로 태어났으면 좋겠다. R
10. 나는 키가 크는 것처럼 생각과 마음도 자라고 있는 것 같다.
표현/창의성
11. 나는 궁금한 것이 많다.
12. 나는 한 가지 일을 시작하면 오랜 시간 집중할 수 있다.
13. 내 느낌을 몸짓이나 그림으로 나타낼 수 있다.
14. 세상에는 재미있는 것이 많은 것 같다.
15. 나는 재미있는 사람인 것 같다.
16. 만들기나 그리기가 재미있다.
17. 나는 재미있는 생각들을 많이 한다.
18. 새로운 것을 배우는 것이 좋다.
19. 한 가지를 보면 여러 가지 생각들이 떠 오른다.
20. 친구들이 하지 않는 새로운 생각을 하는 것이 즐겁다.
<표 4> 학생에 대한 효과성 평가 검사 도구(인성적 효과)
정문성 ․ 석문주 ․ 모경환 ․ 김해경 ․ 박새롬 /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이 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 275
영역 문 항
비
고
협동/사회성
21. 친구들이 자기 생각과 느낌을 말하는 것을 들으면 재미있다.
22. 친구들이 만들거나 그린 것을 보는 것이 재미있다.
23. 나를 좋아하는 친구들이 있다.
24. 친구가 행복하면 나도 행복하다.
25. 친구들과 함께 활동하는 것이 재미있다.
협동/사회성
26. 친구들 앞에서 내 생각과 느낌을 말하는 것이 좋다.
27. 나는 친구들을 도와주는 것이 좋다.
28. 나는 친구의 속마음을 알 수 있다.
29. 나는 친구들이 자기 마음을 몸짓이나 그림으로 보여주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30. 나는 친구들과 함께 활동할 때 차례를 기다릴 수 있다.
<표 4> 계속
(나) 문화예술적 효과성 평가도구 개발
문화예술적 효과성 평가 도구는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보다 직접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이를 위해 예술 꽃 씨앗 학교의 프로그램의 주된 분야를 먼저 분석하였다. 평
가의 타당도를 얻기 위해서는 프로그램과 평가가 일관성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들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분류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크게 음악, 미술, 공연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문화예술적 장르와 초등학생들의 발달심리 등을 종합하여 예비 문항을 개발
하였다. 1차 예비 문항으로 3차에 걸친 연구자 협의회와 2차에 걸친 전문가 자문을 거쳐
여덟 가지 영역, 즉 자기효능감, 기능, 창의성/문화예술적 감성, 리더십, 교과학습 태도, 정
서통제, 자기표현/발표력, 사회성에서 영역별 2개 문항으로 구성하여 세 영역을 동일하게
구성하였는데 <표 5>는 음악 영역의 예시이다.
276 ∙『열린교육연구』 제20집 제2호
영역 분류 문 항
음악
1.자기효능감
나는 음악에 재능이 있다.
연습하면 음악 실력이 지금보다 향상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2.기능
나는 음악에 대해 많이 아는 편이다.
나는 노래나 악기 등의 연주를 잘 할 수 있다
3.창의성/문화예술적
감성
음악활동은 창의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
음악회에 가거나 집에서 음악을 듣는 등 학교 밖에서도 음악
활동을 한다.
4.리더십
친구들에게 음악을 가르쳐준다.
음악시간에 시범을 보이겠다고 지원한 적이 있다.
5.교과학습태도
음악활동이 다른 과목을 공부하는데 도움이 된다.
음악시간에 배운 것을 다른 과목 시간에 활용한다.
6.정서통제
음악활동을 하고 나면 기분이 좋아진다.
우울하거나 화가 날 때 음악활동을 하면 마음이 편안해 진다.
7. 자기표현/발표력
음악을 통해 나의 기분이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다.
다른 사람들 앞에서 음악활동(노래나 연주 등)을 발표하는 것이
즐겁다.
8. 사회성
음악활동을 하면서 친구들과 더 친해졌다.
음악에 대해 부모님과 대화를 나눈다.
<표 5> 음악 문화예술적 효과성 평가 도구(음악 영역 예시)
3. 연구절차
개발된 효과성 평가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도권 초등학교 2개교 4, 5, 6학년 6학급을 임의로 선정해 적용해 보았다. 담당 교사와
학생들의 면접을 통해 자기 기술식 응답을 하는데 있어서 학생들에게 이해할 수 없는 문
항이 없는지 확인하였다. 최종 확정된 효과성 평가 도구는 인성적 영역이 크론바하 신뢰
도(ALPHA)가 .9304, 문화예술적 영역이 .9684로 높게 나타났다.
각 집단에 대한 사전검사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본격적으로 진행되기 직전인 5월
초에 실시하였고, 사후 검사는 연구기간이 한정되어 있어서 프로그램이 끝나기 전인 11월
에 동일한 평가도구로 실시하였다.
정문성 ․ 석문주 ․ 모경환 ․ 김해경 ․ 박새롬 /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이 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 277
구분
예술 꽃 씨앗학교 일반학교
사전 사후 통계치 사전 사후 통계치
예
술
적
음
악
효능감 3.45 3.54 t=2.112** 3.40 3.44 t=0.440
기능 3.06 3.23 t=3.927** 3.06 3.09 t=0.320
교과태도 3.31 3.38 t=1.605 3.33 3.36 t=0.372
창의성 3.30 3.39 t=2.042* 3.14 3.20 t=1.850
표현력 3.04 3.21 t=3.745** 3.20 3.31 t=1.415
정서 3.38 3.44 t=1.326 3.25 3.27 t=1.331
리더십 2.51 2.78 t=5.566** 2.39 2.64 t=2.751**
사회성 2.74 2.96 t=4.855** 2.63 2.73 t=1.223
미
술
효능감 3.47 3.55 t=1.814 3.51 3.51 t=0.064
기능 3.06 3.20 t=3.028** 3.03 3.11 t=0.941
교과태도 3.49 3.59 t=2.100* 3.54 3.59 t=0.519
<표 7> 예술 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의 예술적 효과성 비교
구분
예술 꽃 씨앗학교 일반학교
사전 사후 통계치 사전 사후 통계치
인
성
적
자존-행복감 3.76 3.80 t=1.080 3.77 3.84 t=1.250
표현/창의성 3.67 3.77 t=3.112** 3.56 3.66 t=1.702
협동/사회성 3.34 3.42 t=2.822** 3.32 3.32 t=0.042
* p < .05 ** p < .01
<표 6> 예술 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의 인성적 효과성 비교
Ⅳ. 결과 분석
1. 인성적 효과
<표 6>은 인성적 영역에서 예술 꽃 씨앗학교와 일반학교간의 사전-사후 점수를 비교한
것이다. 분석 결과 자존/행복감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표현/창의성, 협동/사회성 영
역에서 예술 꽃 씨앗학교 학생들의 경우 사전-사후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
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학교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과는 대조적인
것이다. 따라서 예술 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이 학생들의 표현력과 창의성, 협동심과 사회성
을 증진시키는 데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2. 예술적 효과
278 ∙『열린교육연구』 제20집 제2호
창의성 3.35 3.45 t=2.357* 3.29 3.31 t=0.304
표현력 3.24 3.38 t=2.864** 3.20 3.27 t=1.236
정서 3.27 3.35 t=1.673 3.25 3.37 t=1.285
리더십 3.21 3.39 t=3.898** 3.20 3.38 t=2.065*
사회성 2.85 3.03 t=4.014** 2.81 2.91 t=1.198
공
연
효능감 3.21 3.35 t=2.978** 3.13 3.27 t=1.542
기능 2.86 3.05 t=4.087** 2.76 2.94 t=2.102*
교과태도 2.49 2.58 t=2.875** 2.44 2.56 t=1.972*
창의성 3.05 3.27 t=4.908** 3.01 3.13 t=1.403
표현력 2.99 3.17 t=3.871** 2.94 3.10 t=1.767
정서 3.13 3.28 t=2.880** 3.11 3.20 t=1.838
리더십 2.79 3.06 t=5.543** 2.74 2.93 t=2.065*
사회성 2.87 3.05 t=3.952** 2.72 2.91 t=2.133*
* p < .05 ** p < .01
<표 7>은 문화예술적 영역에 있어서 예술 꽃 씨앗학교와 일반학교간의 사전-사후 점수
를 비교한 것이다. 분석 결과 음악, 미술, 공연을 포괄하는 전 영역(음악 7개영역, 미술 6
개 영역, 공연 8개 전영역)에 걸쳐 예술 꽃 씨앗학교 학생들의 경우, 사전-사후간의 점수
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음악 5개 영역(효능감, 기능, 창의성, 표현력, 사회성), 미술 5개 영역(기능, 교과에
대한 태도, 창의성, 표현력, 사회성), 공연 4개 영역(효능감, 창의성, 표현력, 정서)에서는
일반학교에서는 어떠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과는 대조적으로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점수차를 나타냈다. 따라서 예술 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이 학생들의 음악적 능력,
미술적 능력, 공연적 눙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3. 변인별 효과
<표 8>은 예술 꽃 씨앗학교 학생들의 특성 변인(학년, 성별, 사교육, 경제적 수준)별로
사전-사후 점수를 비교한 것이다. 분석 결과 특히 경제적 수준이 중인 학생 집단, 사교육
을 받지 않은 학생, 남학생의 경우 사전-사후간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수준이 중인 학생의 경우 경제적 수준이 상 또는 하의 집단에서 유의미한 효과
가 한 차례도 나타나지 않았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표현/창의성, 협동/사회성, 음악 6개 영
역(효능감, 기능, 창의성, 표현력, 리더십, 사회성) 미술 5개 영역(기능, 창의성, 표현력, 리
더십, 사회성), 공연 8개 영역(효능감, 기능, 교과에 대한 태도, 창의성, 표현력, 정서, 리더
정문성 ․ 석문주 ․ 모경환 ․ 김해경 ․ 박새롬 /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이 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 279
영역 변인
학년 성별 사교육 경제적수준
4 5 6 남 여 유 무 상 중 하
인
성
자존/행복
표현/창의 * * ** ** **
협동/사회 * ** * **
예
술
음
악
효능감 * * *
기능 ** ** ** ** * **
교과에 대한
태도
**
창의성 *
표현력 * * * ** ** * **
정서 *
리더십 * ** ** ** ** ** ** **
사회성 * ** ** ** ** ** ** **
미
술
효능감 * *
기능 * ** * * * * **
교과에 대한
태도
* **
창의성 ** * ** *
표현력 * * * **
정서
리더십 * ** ** ** ** ** **
사회성 ** * ** ** ** ** **
공
연
효능감 ** ** * **
기능 * ** * ** ** ** * **
교과에 대한
태도
** * ** *
창의성 ** * * ** ** ** * **
표현력 * ** ** ** ** ** **
정서 * ** * **
리더십 ** ** ** ** ** ** ** **
사회성 * ** ** * ** * **
* p < .05 ** p < .01
<표 8> 예술 꽃 씨앗학교 학생 변인별 효과성 비교
십, 사회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를 통해 다수(88.8%)를 이루는 경
제적 수준이 중인 학생들에게 문화예술교육이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사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의 경우 표현/창의성, 협동/사회성, 음악 5개 영역(효능감,
기능, 표현력, 리더십, 사회성), 미술 7개 영역(효능감, 기능, 교과에 대한 태도, 창의성, 표
현력, 리더십, 사회성), 공연 6개 영역(효능감, 기능, 창의성, 표현력, 리더십, 사회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문화예술교육의 기회가 적은
사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들에게 문화예술교육의 효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280 ∙『열린교육연구』 제20집 제2호
또한 남학생의 경우 여학생에 비하여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의 차이에 따른 향상 수준
(점수 차이)으로 비교할 때 더 높은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표현/창의성, 협동/
사회성, 음악 5개 영역(효능감, 기능, 교과에 대한 태도, 표현력, 정서), 미술 3개 영역(교
과에 대한 태도, 창의성, 표현력), 공연 2개 영역(효능감, 정서)의 경우 여학생 집단에서는
나타나지 않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여학생에 비해 상대적으
로 효과성 점수가 낮은 편인 남학생에게 보다 큰 변화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및 제언
16개 예술 꽃 씨앗학교 경험 학생들의 문화예술교육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문화예술
교육의 효과성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문화예술교육은 초등학생의 인성적 변화를 유의미하게 가져올 수 있다.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인성적 측면에서 자존/행복감을 제외한 표현/창의성, 협동/사회성이 모두 통
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는 일반학교의 경우 어떠한 영역에서도 유의미한 차
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과는 대조를 이룬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이 초등학생의 표현력,
창의성, 협동심, 사회성을 함양하는 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은 초등학생의 문화예술적 영역에서 의미있는 변화를 가져올 수 있
다. 음악, 미술, 공연의 세 영역으로 나누었을 때, 우선 음악 영역에서 효과성이 나타났다.
8개의 하위 영역 중 음악 정서를 제외한 음악 효능감, 음악 기능, 음악 교과에 대한 태도,
음악 창의성, 음악 표현력, 음악 리더십, 음악 사회성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
을 보였다. 일반학교의 경우 1개 영역(음악 리더십)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것과는
대조를 이룬다. 미술 영역에는 8개의 하위 영역 중 미술 효능감과 미술 정서를 제외한 미
술 기능, 미술 교과에 대한 태도, 미술 창의성, 미술 표현력, 미술 리더십, 미술 사회성 모
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는 일반학교의 경우 1개 영역(미술 리더십)
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것과는 대조를 이룬다. 공연 영역에서는 8개의 하위 영역
인 공연 효능감, 공연 기능, 공연 교과에 대한 태도, 공연 창의성, 공연 표현력, 공연 정서,
공연 리더십, 공연 사회성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일반학교의 경우
4개 영역(공연 기능, 공연 교과에 대한 태도, 공연 리더십, 공연 사회성)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것과는 대조를 이룬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이 초등학생의 문화예술적
영역에서 의미있는 변화를 가져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변인별로 보면, 문화예술교육은 경제적 수준이 중인 학생, 사교육을 받지 않은 학
생에게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수준이 상 또는 하의 집단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난 경우는 한 차례도 나타나지 않았던 반면, 경제적 수준이 중인 학생집단의
정문성 ․ 석문주 ․ 모경환 ․ 김해경 ․ 박새롬 /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이 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 281
경우 표현/창의성, 협동/사회성, 음악 6개 영역(효능감, 기능, 창의성, 표현력, 리더십, 사회
성) 미술 5개 영역(기능, 창의성, 표현력, 리더십, 사회성), 공연 8개 영역(효능감, 기능, 교
과에 대한 태도, 창의성, 표현력, 정서, 리더십, 사회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은 다수(88.8%)를 이루는 경제적 수준이 중인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변화를 주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사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 집단의 경우 표현/
창의성, 협동/사회성, 음악 5개 영역(효능감, 기능, 표현력, 리더십, 사회성), 미술 7개 영
역(효능감, 기능, 교과에 대한 태도, 창의성, 표현력, 리더십, 사회성), 공연 6개 영역(효능
감, 기능, 창의성, 표현력, 리더십, 사회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를
통해 예술 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이 상대적으로 문화예술교육의 기회가 적은 사교육을 받
지 않은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문화예술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예술 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은 남학생에게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
보다는 여학생이 대부분의 효과성 영역에서 점수가 높은 편이었지만 사전 검사와 사후 검
사의 차이에 따른 향상 수준(점수 차이)으로 비교할 때 남학생집단의 경우 더 높은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표현/창의성, 협동/사회성, 음악 5개 영역(효능감, 기능, 교과에
대한 태도, 표현력, 정서), 미술 3개 영역(교과에 대한 태도, 창의성, 표현력), 공연 2개 영
역(효능감, 정서)의 경우 여학생 집단에서는 나타나지 않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이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이 더 큼을 알
수 있다.
다섯째, 학년을 변인으로 분석한 결과 문화예술교육이 특정한 학년에서 두드러지는 효
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성적 영역과 예술적 영역 중 음악 영역에서는 6
학년 집단이 가장 높은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낸 반면, 미술 영역에서는 4학년, 공연 영역
에서는 5학년 집단이 가장 높은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변화에 대한 보다 정교한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
의 변화에 대한 양적 연구에 초점을 맞추었다. 16개 학교는 모두 이질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는 학교가 많았다. 따라서 이들의 평균점수를 이용한 양적 분석은 많은 것을 놓칠 수
있는 약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학교마다 결과의 차이가 큰 경우가 있는데, 왜 그러한 차
이가 나타났는지에 대해서는 양적 연구로 확인할 수가 없다. 따라서 질적 연구를 통한 보
완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종단적인 질적 연구를 병행하는 것도 필요하다.
둘째, 효과성 평가를 할 때 학생들의 전입‧전출 문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전출 전입
학생 수가 많은 수는 아니지만 예술 꽃 씨앗학교의 경우 대부분 소규모 학교이고, 학년별
로 보면 매우 적은 학생규모를 가지고 있어서 변인별 분석을 하기에는 소수의 변화도 매
우 결과에 민감하게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또한 학교마다 전입‧전출의 허용 정도가 다른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변화들을 효과성 평가시 고려해야 한다.
셋째, 예술 꽃 씨앗학교 차원에서 효과성 평가를 할 수 있도록 담당교사의 평가역량을
282 ∙『열린교육연구』 제20집 제2호
갖출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매뉴얼을 만들거나 연수 등의 방법이 유용할 것으로 생
각된다. 평가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처방을 하기 위함에 있다. 즉 평가를 통해 문제점이나
미진한 점을 발견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소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자
료는 예술 꽃 씨앗학교 간의 정보 교류를 통해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참고문헌
김용주‧오봉옥‧최영출‧박병식‧김광구‧정도상(2009). 문화예술교육 장기 성과평가모형 구축
연구.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김은영(2011).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영향에 대한 질적 연구. 예술경영연구. 19, 5-31.
김정선(2010).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평가, 어떻게 할 것인가?.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박도순·홍후조(2005).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서울: 문음사.
배호순(2008). 교육 프로그램 평가론. 서울: 원미사.
석문주·권덕원·오지향(2010). 국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현황 및 분석: 학교 문화 예
술교육 중 음악을 중심으로. 음악과 민족. 40, 205-233.
석문주·최은식·최미영(2010). 외국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 연구: 미국, 영
국, 핀란드, 일본을 중심으로. 예술교육연구, 8(2), 1-19.
오세곤(2008). 문화예술교육 관련 법령 및 제도 연구.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22, 5-37.
이윤식‧윤종현‧오세곤‧최천규(2010). 학교문화예술교육 성과평가 연구. 서울: 한국문화예술
교육진흥원
정문성‧김혜숙‧모경환‧김혁진‧최지영‧김보경(2010). 방과후학교 돌봄교실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 효과성 분석 연구. 서울: 서울문화재단.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2010).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평가 기준 및 지표 개발 연구, 서
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황성철(2005).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서울: 공동체.
황정규‧서민원‧최종근‧김민성‧양명희‧김재철‧강태훈‧이대식‧김준엽‧신종호‧박인우‧김동일(2011).
교육평가의 이해. 서울: 학지사.
Bruner, J. (1986). Actual minds, possible worlds.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Eisner, E. (1991). The enlightened eye: Qualitative inquiry and the
enhancement of educational practice. New York: Macmillan.
Eisner, E. (2002). The arts and the creation of mind. Yale University Press.
Gardner, H. (1993). Frames of mind: The theories of multiple intelligences.
정문성 ․ 석문주 ․ 모경환 ․ 김해경 ․ 박새롬 /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이 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 283
New York: Basic.
Greene, M. (2011). 블루 기타 변주곡. (문승호, 옮김). 서울: 다빈치.(원서출판
2010).
Hansen, D. T.(2011). Cosmopolitanism and Creativity in the World Today.
2011 서울국제창의예술교육 심포지엄( pp. 19-32).
Patteson, A. (2010). Learning Through the Arts: Music Champion program
evaluation research report, year 1. Available from the Royal
Conservatory, Toronto.
Patteson, A.(2011). Learning through the arts: an international education
program transforming lives and communities globally. 2011 서울국제창의
예술교육 심포지엄( pp. 61-74).
・ 접수일 2012년 3월 20일 / 수정일 2012년 4월 23일 / 게재확정일 2012년 5월 18일
・ 교신저자 : 석문주,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인천 계양구 계산1동 경인교육대학교 음악교육과,
Seongmoon@ginue.ac.kr
284 ∙『열린교육연구』 제20집 제2호
Abstract
The Effects of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on the Primary School Students
- Art-Flower Seed School Project-
Jeong, Moonseong* · Seog, Moonjoo* · Mo, Kyungwhan** · Kim, Haikung* · Park, Saerom***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Seoul Natonal University** · Hanbit Primary Schoo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se the effect of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on
primary school students. This research project ran pre/post tests on 1014 students of 16
Art-Flower Seed (AFS) Schools selected in 2011, and a control group of 273 students from 5
general schools was used to study the effects of the AFSSP on students. The results of the
pre/post test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AFSSP on the students shows that it has positive
effects in most subordinary areas. First, the AFSSP increased expression, creativity,
cooperation, and sociality in personality effect. Second, the AFSSP is effective in increasing
musical ability (7 areas, exclusive of musical emotion), visual art ability (6 areas, exclusive
of visual art effectiveness and visual art emotion), and performance ability (8 area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statisticall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 that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AFSSP)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primary school students.
Key Words : culture and art education, the Art-Flower Seed School Project, effectiveness

More Related Content

2012 정문성석문주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이 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 1. The Journal ofYeolinEducation 2012. Vol. 20, No. 2, pp267~284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이 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예술 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정문성**·석문주***·모경환****·김해경·박새롬* 요 약 본 연구는 예술꽃씨앗학교 지원사업을 사례로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이 학생들의 문화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준실험연구이다. 예술꽃씨앗학교로 지정된 16개 초등학교의 문화예술교육프 로그램 적용하여 사전사후 비교조사를 통해 학생들의 문화예술적 영역과 인성적 영역의 변화를 검증하였 다. 문화예술성 효과는 음악영역, 미술영역, 공연영역의 세 영역에 대해 자기효능감, 기능, 창의성/문화예 술적 감성, 리더십, 교과학습태도, 정서통제, 자기표현/발표력, 사회성의 8개 하위 영역으로 나누어 조사하 였고, 인성적 효과는 자존/행복감, 표현/창의성, 협동/사회성의 세 영역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비교집단의 초등학생에게서는 나타나지 않은 변화가 실험집단의 초등학생에게 나타났다. 실험집단 학생들의 문화예술 적 영역에서 대부분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고, 인성적 영역에서는 자존/행복감에는 변화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표현/창의성과 협동/사회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결론적으로 문화예술교육은 초등학생의 문화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긍정적 변화를 주었음이 발견되었다. 주제어 : 문화예술교육, 예술 꽃 씨앗학교, 효과성 Ⅰ. 서 언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2005년 12월 29일 문화예술교 육지원법이 제정되었다. 이를 계기로 문화예술교육이 다양한 형태로 지원되었다(오세곤, * 이 연구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지원으로 수행된 보고서의 일부를 수정보완한 것임 **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 서울대학교 부교수 경인교육대학교 조교수 * 한빛초등학교 교사
  • 2. 268 ∙『열린교육연구』 제20집 제2호 2008; 석문주·권덕원·오지향, 2010; 석문주·최은식·최미영, 2010). 이 법에 의해 한국문화 예술교육진흥원이 설립되고,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가 지정 및 운영되면서 구체적인 문 화예술교육의 지원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특히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문화예술교육을 크게 사회문화예술교육과 학교문화예술교육으로 나누어 지원하였다(정문성 외, 2010). 예 술 꽃 씨앗학교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하나로 소규모 초등학교 전교생이 학교에 서 문화예술 활동을 통해 문화예술 역량 및 인성계발과 사교육 경감 모델 확산을 목적으 로 수행되었다. 특히 연중 문화예술교육 활동 및 컨설팅 지원으로 통해 학교문화예술교육 이기는 하지만 학교와 지역사회가 함께 만들어가는 학교사업을 지향하였다. 2008년에 10 개, 2011년에 16개, 2012년에 10개교를 4년간 지원하게 된다. 지역별 현황은 다음과 같다. <표 1> 예술꽃씨앗학교 지역별 현황 구분 서 울 부 산 대 구 인 천 광 주 대 전 울 산 경 기 경 북 경 남 전 북 전 남 충 북 충 남 강 원 제 주 계 ‘08지정 - 1 - - 1 - 1 - 2 1 - 2 - - 1 1 10 ‘11지정 - 1 - - - 2 - 2 1 1 2 2 1 1 2 1 16 ‘12지정 1 1 1 - - 1 - 1 - 2 1 1 - 1 - - 10 현재 1 2 1 - - 3 - 3 1 3 3 3 1 2 2 1 26 전체 1 3 1 - 1 3 1 3 3 4 4 5 1 1 3 2 36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이 과연 소기의 성과를 거두었는지, 문화예술교육 결과 어떤 변화 가 나타났는지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전개되었다(김정선, 2010;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2010, 김은영, 2011, Patteson, 2011). 본 연구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중의 하나인 예술 꽃 씨앗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이 학생들에게 어떤 변화를 가져 왔는지를 확인해보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 평가는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을 계속해나가기 위한 근거로서도 필요하고, 학문적으로도 필요하다. ‘설사 능력 이 있다하더라도, 그 능력을 평가해내지 못한다면, 그것은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다’라는 평가에 관련된 격언처럼 효과성의 실증적 확인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에 한국문화예 술교육진흥원은 ‘문화예술교육 장기 성과평가 모형 구축’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김용주 외, 2009). 이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사업의 성과지표가 개발되고, 이에 따른 성과평가가 수행 되기도 했다(이윤식 외, 2010). 김용주 외(2009)는 학교 문화예술교육사업에서 문화예술 교육 기회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확대, 일상적인 삶과 괴리된 문화예술 교육의 문제점을 치유하기 위해 현장학습과 지역사회 참여활동 기회 확대, 최종 수요자 중심 등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문화예술 프로그램의 결과 수혜자들에게 어떠한 구체적인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효과성 평가 연구는 거의 없었다(이윤식 외, 2010). 효과성 평가는 프로그램 자체의 평가라기보다는 프로그램 실천 결과로서 나타난 효과를
  • 3. 정문성 ․ 석문주 ․ 모경환 ․ 김해경 ․ 박새롬 /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이 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 269 통해 프로그램을 평가하려는 접근으로써 효과성 평가의 무게 중심은 과연 그 프로그램이 참여자나 관련자들을 변화시킬 수 있느냐에 관심을 둔다(박도순·홍후조, 2005; 배호순, 2008; 황성철, 2005; 황정규 외, 2011). 하지만 이때 문화예술교육은 양적인 변화보다는 질적인 변화가 중시되는 영역이어서 효과성의 객관성에 대한 논란이 많다(Eisner, 1991, 2002; Greene, 2011).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에 대한 객관적 지표로서 양적 평가의 요구 를 하면서도 양적 평가에 대한 다소의 거부감도 상존하고 있다. 그러나 정책적 지원이나 물질적 지원의 근거가 되는 객관적 지표에 대한 관심과 연구를 소홀히 할 수 없는 것도 현실이다. 게다가 학술적으로도 문화예술교육이 학생들에게 실제적으로 어떠한 의미있는 영향을 주는 것인지를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 실증적 근거가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이 참여한 학생들에게 어떠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쳤는지에 관하여 효과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 효과성의 범주 를 문화예술적 측면에만 한정하지 않고 인성적 측면까지도 포함하였다. 그 까닭은 문화예 술교육이 단순히 음악, 미술, 공연 등의 문화예술관련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만을 목표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예술교육은 예술적 기능 숙달뿐 아니라 다양하게 표현하는 능력, 함 께 예술하는 경험을 통하여 다름을 용인하도록 배우는 세계시민주의적 감수성 등을 함양 하는 것도 목표로 한다(Hansen, 2011). 이에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예술 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인성함양에 효과적인가? 1-1. 예술 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자존감과 행복감을 높이는 데 효과적인가? 1-2. 예술 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표현력과 창의성을 높이는 데 효과적인가? 1-3. 예술 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협동심과 사회성을 높이는 데 효과적인가? 1-4. 예술 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인성함양효과에 변인별 차이가 있는가? 2. 예술 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문화예술성 함양에 효과적인가? 2-1. 예술 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음악영역에서 문화예술성을 높이는 데 효과적인가? 2-2. 예술 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미술영역에서 문화예술성을 높이는 데 효과적인가? 2-3. 예술 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공연영역에서 문화예술성을 높이는 데 효과적인가? 2-4. 예술 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문화예술성 함양효과에 변인별 차이가 있는가? Ⅱ.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 평가모형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평가하기위해서는 평가의 틀, 즉 효과성 평가 모형이 필요하다. 특히 본 연구의 대상인 예술 꽃 씨앗학교의 경우는 예술 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이 추구하 는 목표에 부합된 평가 모형을 수립해야 한다.
  • 4. 270 ∙『열린교육연구』 제20집 제2호 연구 대상인 예술 꽃 씨앗학교 교육과정 내에서 또는 방과 후 과정을 통해 전교생이 문 화예술교육활동을 하며, 이를 위해 전문예술 강사를 배치하고 이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기 자재, 지역사회의 참여와 지원 등 4년간 지원하며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교 육기자재 구입, 우수강사 및 코디네이터 활용, 문화예술 교재 개발, 학교별 특성화 모델 개발, 지역문화예술기관 협력, 학부모 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 동아리활동, 지역사회 문화 예술 축제 참여, 문화예술교육 중심의 교육과정의 재구성 등을 실천한다. 특히 학교마다 특성화 모델을 개발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이 존재하므로 이러한 문화예술 교육의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Top-down 방식과 Bottom-up 방식의 접근법이 필 요하다. 이에 예술꽃 씨앗학교의 교육계획서 분석, 그리고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이론과 선 행연구의 검토를 통해 직접적 효과성이라 할 수 있는 문화예술 영역과 잠재적 교육과정이 라 할 수 있는 인성 영역으로 구분하여 평가모형을 구성하였다(Bruner, 1986; Gardner, 1993; Eisner, 2002). 본 연구가 대상으로 하고 있는 16개 예술 꽃 씨앗학교들은 매우 이질적인 환경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프로그램의 차이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 로 효과성의 범위를 좁게 한정했을 때에는 다양한 학교들의 다양한 효과성이 충분히 평가 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그렇다고 해서 너무 광범한 영역을 평가 영역으로 했을 때에는 예술 꽃 씨앗학교의 구체적 목표가 정교하게 평가되지 못할 가능성이 많다. 따라서 적절 한 수준의 평가지표를 추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구체적 평가문항들은 척도로 서 통계적 기준을 충족해야 함과 동시에 전문가가 판단할 때 평가 목표와 유의미한 일관 성이 있어야 하며, 응답자가 초등학생이라는 점에서 문항의 가독성도 고려해야 하는 어려 움도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학생의 효과성은 인성적 효과성과 문화예술적 효과성으 로 구성하기로 하였다. 인성적 효과성의 측정은 정문성 외(2010)에서 사용한 검사 도구를 응용하기로 하였다. 왜냐하면 문화예술교육을 고려한 인성적 효과성에 관한 양적 도구가 개발된 사례가 거의 없고, 이 도구는 엄밀한 과학적 절차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되었 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 적용하기 유용하기 때문이다. 문화예술적 효과성은 관련 연구들을 검토하고, 여러 차례 연구진의 논의와 전문가의 자 문 등을 통해 직접 개발하여 사용하기로 하였다. 기본적인 구성은 예술 꽃 씨앗학교에서 주로 사용하는 세 영역 즉, 음악, 미술, 공연이다. 물론 문화예술은 문학, 미술, 음악, 무 용, 연극, 영화, 연예, 국악, 사진, 건축, 어문 및 출판 등 다양한 영역이 있다(문화예술진 흥법 제2조). 그러나 초등학교가 연구 대상이라는 점에서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익숙한 영 역을 중심으로 간단하게 분류하는 것이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고, 측정하기에도 편리하다 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초등학생들은 여타의 다양한 장르의 문화예술을 주로 이 세 영역 을 중심으로 분류할 것으로 판단했으며, 또한 복합적 활동이 많아서 주된 역할을 하는 영 역을 중심으로 학생들이 판단할 것으로 기대하였다. 각 영역별로는 문화예술교육으로 파급될 수 있는 초등학생들의 발달영역과 학교교육 목표
  • 5. 정문성 ․ 석문주 ․ 모경환 ․ 김해경 ․ 박새롬 /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이 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 271 영역 분류 인성 자존/행복감 각각 10개 문항으로 모두 30문항표현/창의성 협동/사회성 문화예술성 음악 1.자기 효능감 2.기능 3.창의성/문화예술적 감성 4.리더십 5.교과학습태도 6.정서통제 7.자기표현/발표력 8.사회성 미술 1.자기 효능감 2.기능 3.창의성/문화예술적 감성 4.리더십 5.교과학습태도 6.정서통제 <표 2> 학생에 대한 효과성 평가 모형 등을 고려하여 기존 연구(정문성 외, 2010)와 연구진 및 전문가의 협의를 거쳐 모두 여덟 가지 하위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여덟 가지 영역은 자기 효능감, 기능, 창의성/ 문화예술적 감성, 리더십, 교과학습 태도, 정서통제, 자기표현/ 발표력, 사회성이다. 이렇게 해서 개발된 효과성 평가 모형은 <표 2>와 같다. 인성적 효과는 문화예술교육을 받고 있는 초등학생들을 면접조사하여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에 대해 생각하고 느끼는 점을 조사하고, 담당 교사들을 면접조사하여 초등학생들을 관찰하여 발견하거나 기대하는 효과들을 조사하고, 문화예술치 료 등에 관련된 연구들을 종합하여 문항들을 추출하고, 예비문항으로 예비조사를 거쳐 문항 을 선정하고, 이를 세 가지로 영역화한 것이다(정문성 외, 2010). 또한 문화예술적 영역은 크게 음악, 미술, 공연의 세 영역으로 구분하였고, 각각의 8가지 유형은 정문성 외(2010)의 연구에서 문화예술교육을 받은 초등학생 15명을 3차례에 걸쳐 심층면접을 통해 밝혀낸 7가 지 변화 유형에 문화예술교육의 기능영역을 추가하여 8가지 하위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기 능 영역을 추가한 한 것은 문화예술교육의 중요한 효과임에 틀림없기 때문이다.
  • 6. 272 ∙『열린교육연구』 제20집 제2호 7.자기표현/발표력 8.사회성 1.자기 효능감 공연 2.기능 3.창의성/문화예술적 감성 4.리더십 5.교과학습태도 6.정서통제 7.자기표현/발표력 8.사회성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유사 실험설계(quasi-experimental design)로서 비동일 통제집단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를 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집단은 1년차 16개 예술 꽃 씨앗학교에 재학중인 학생이며, 비교 집단은 일반학교 학생이 다. 총 2097명의 학생 중 1824명은 예술 꽃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며, 나머지 273명은 통제집단이다. 효과성 검사 도구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5 점 척도로 하였으며, 평균점수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4, 5, 6학년으로 자기 기술식 검사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학년이라 는 점이 고려되었다. 일반 학교 5개교는 예술 꽃 씨앗학교 신청 자격을 가진 유사한 학교 로 예술 꽃 씨앗학교의 추천을 받고 해당 학교의 허락을 받아 선정하였다. 표집의 특성은 <표 3>과 같다. 학년별로는 4학년이 31.4%, 5학년이 35.1%, 6학년이 33.5%로 비교적 골고루 분포되었다. 성별로는 남자가 49.9%, 여자가 50.1%로 비교적 골 고루 분포되었다. 사교육 여부를 물었을 때 88.1%의 학생이 받았다고 응답하였으며, 11.9%의 학생은 받지 않았다고 응답하여 사교육을 받은 학생이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스스로가 생각하는 본인의 경제적 환경의 경우‘상’이라고 답한 학생이 6.2%, ‘중’이 라고 답한 학생은 90.2%, ‘하’라고 답한 3.6%로 대다수의 학생들이 스스로의 경제적 환경 수준을 중간 수준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7. 정문성 ․ 석문주 ․ 모경환 ․ 김해경 ․ 박새롬 /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이 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 273 구분 4년차 예술 꽃 씨앗학교 10개교 1년차 예술 꽃 씨앗학교 16개교 일반학교 5개교 계 학년 4 211(28.9%) 342(33.7%) 93(33.7%) 632(31.4%) 5 268(36.7%) 313(30.9%) 97(35.3%) 706(35.1%) 6 252(34.5%) 359(35.4%) 85(31.0%) 674(33.5%) 성별 남 350(47.9%) 510(50.3%) 142(51.6%) 1025(49.9%) 여 381(52.1%) 504(49.7%) 132(48.4%) 1026(50.1%) 사교육 여부 받음 650(89.3%) 856(84.4%) 220(82.6%) 1794(88.1%) 안받음 78(10.7%) 158(15.6%) 46(17.4%) 243(11.9%) 경제적 환경 상 54( 7.4%) 80( 7.9%) 11( 4.3%) 127 (6.2%) 중 641(88.0%) 896(88.8%) 249(91.7%) 1849(90.2%) 하 33( 4.5%) 33( 3.3%) 10( 4.1%) 73( 3.6%) 계 728(100%) 1014(100%) 273(100%) 2097(100%) <표 3> 연구대상의 특징 사례수(백분율) 2. 평가도구 본 연구에서 활용된 평가도구는 전술한 바대로 인성적 효과성과 문화예술적 효과성으로 구성하였다. 인성적 효과성은 정문성 외(2010)의 ‘어린이 창의 Arts TREE 방과후 돌봄교실 문화예 술교육 지원사업 효과성 분석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 도구를 응용하기로 하였다. 왜냐하면 문화예술교육을 고려한 인성적 효과성에 관한 양적 도구가 개발된 사례가 거의 없고, 이 도구는 엄밀한 과학적 절차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되었다는 점 에서 본 연구에 적용하기 유용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 학생들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 한 검사 도구를 6단계의 절차를 거쳐 개발하였다. 1) 기초 자료의 분석, 2) 학생 및 교 사 대상 1차 예비조사, 3) 1차 예비 문항 개발, 4) 문항 평정 및 수정, 5) 2차 예비조 사와 문항 재수정, 6) 문항 양호도 평가 및 문항 선정의 절차를 거쳤다. 그 결과 ‘자존 감/행복감 영역(10문항)’, ‘표현/창의성 영역(11문항)’, ‘협동/사회성 영역(11문항)’으로 모두 32문항으로 된 검사 도구가 제작되었다. 그러나 이 검사 도구는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개발한 것이기 때문에 본 연구의 대상인 초등학교 4, 5, 6학년에 적용할 수 있는지 확인을 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이 검 사 도구가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을 포괄적으로 측정하는 것이지만 이 연구에서 적용한 프로그램은 방과후 돌봄교실로 방과후 과정인데다가 대도시의 선별된 학생집단을 대상으
  • 8. 274 ∙『열린교육연구』 제20집 제2호 로 한다는 점에서 예술 꽃 씨앗학교 프로그램과는 큰 차이가 있다. 따라서 예비조사를 통 해 이 검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고 수정하여 사용하기로 하였다. <표 4>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인성적 효과성 검사 도구이다. 영역 문 항 비 고 자존/행복감 1. 나는 내 자신이 좋다. 2. 나는 행복하다. 3. 학교에 오면 기분이 좋다. 4. 나는 아무에게도 도움이 안 되는 사람이다. R 5. 내 자신이 자랑스럽다. 6. 자꾸 화가 난다. R 7. 슬픈 생각이 날 때가 많다. R 8. 나는 학교에서 지내기가 힘들다. R 9. 나는 다른 사람으로 태어났으면 좋겠다. R 10. 나는 키가 크는 것처럼 생각과 마음도 자라고 있는 것 같다. 표현/창의성 11. 나는 궁금한 것이 많다. 12. 나는 한 가지 일을 시작하면 오랜 시간 집중할 수 있다. 13. 내 느낌을 몸짓이나 그림으로 나타낼 수 있다. 14. 세상에는 재미있는 것이 많은 것 같다. 15. 나는 재미있는 사람인 것 같다. 16. 만들기나 그리기가 재미있다. 17. 나는 재미있는 생각들을 많이 한다. 18. 새로운 것을 배우는 것이 좋다. 19. 한 가지를 보면 여러 가지 생각들이 떠 오른다. 20. 친구들이 하지 않는 새로운 생각을 하는 것이 즐겁다. <표 4> 학생에 대한 효과성 평가 검사 도구(인성적 효과)
  • 9. 정문성 ․ 석문주 ․ 모경환 ․ 김해경 ․ 박새롬 /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이 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 275 영역 문 항 비 고 협동/사회성 21. 친구들이 자기 생각과 느낌을 말하는 것을 들으면 재미있다. 22. 친구들이 만들거나 그린 것을 보는 것이 재미있다. 23. 나를 좋아하는 친구들이 있다. 24. 친구가 행복하면 나도 행복하다. 25. 친구들과 함께 활동하는 것이 재미있다. 협동/사회성 26. 친구들 앞에서 내 생각과 느낌을 말하는 것이 좋다. 27. 나는 친구들을 도와주는 것이 좋다. 28. 나는 친구의 속마음을 알 수 있다. 29. 나는 친구들이 자기 마음을 몸짓이나 그림으로 보여주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30. 나는 친구들과 함께 활동할 때 차례를 기다릴 수 있다. <표 4> 계속 (나) 문화예술적 효과성 평가도구 개발 문화예술적 효과성 평가 도구는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보다 직접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이를 위해 예술 꽃 씨앗 학교의 프로그램의 주된 분야를 먼저 분석하였다. 평 가의 타당도를 얻기 위해서는 프로그램과 평가가 일관성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들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분류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크게 음악, 미술, 공연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문화예술적 장르와 초등학생들의 발달심리 등을 종합하여 예비 문항을 개발 하였다. 1차 예비 문항으로 3차에 걸친 연구자 협의회와 2차에 걸친 전문가 자문을 거쳐 여덟 가지 영역, 즉 자기효능감, 기능, 창의성/문화예술적 감성, 리더십, 교과학습 태도, 정 서통제, 자기표현/발표력, 사회성에서 영역별 2개 문항으로 구성하여 세 영역을 동일하게 구성하였는데 <표 5>는 음악 영역의 예시이다.
  • 10. 276 ∙『열린교육연구』 제20집 제2호 영역 분류 문 항 음악 1.자기효능감 나는 음악에 재능이 있다. 연습하면 음악 실력이 지금보다 향상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2.기능 나는 음악에 대해 많이 아는 편이다. 나는 노래나 악기 등의 연주를 잘 할 수 있다 3.창의성/문화예술적 감성 음악활동은 창의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 음악회에 가거나 집에서 음악을 듣는 등 학교 밖에서도 음악 활동을 한다. 4.리더십 친구들에게 음악을 가르쳐준다. 음악시간에 시범을 보이겠다고 지원한 적이 있다. 5.교과학습태도 음악활동이 다른 과목을 공부하는데 도움이 된다. 음악시간에 배운 것을 다른 과목 시간에 활용한다. 6.정서통제 음악활동을 하고 나면 기분이 좋아진다. 우울하거나 화가 날 때 음악활동을 하면 마음이 편안해 진다. 7. 자기표현/발표력 음악을 통해 나의 기분이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다. 다른 사람들 앞에서 음악활동(노래나 연주 등)을 발표하는 것이 즐겁다. 8. 사회성 음악활동을 하면서 친구들과 더 친해졌다. 음악에 대해 부모님과 대화를 나눈다. <표 5> 음악 문화예술적 효과성 평가 도구(음악 영역 예시) 3. 연구절차 개발된 효과성 평가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도권 초등학교 2개교 4, 5, 6학년 6학급을 임의로 선정해 적용해 보았다. 담당 교사와 학생들의 면접을 통해 자기 기술식 응답을 하는데 있어서 학생들에게 이해할 수 없는 문 항이 없는지 확인하였다. 최종 확정된 효과성 평가 도구는 인성적 영역이 크론바하 신뢰 도(ALPHA)가 .9304, 문화예술적 영역이 .9684로 높게 나타났다. 각 집단에 대한 사전검사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본격적으로 진행되기 직전인 5월 초에 실시하였고, 사후 검사는 연구기간이 한정되어 있어서 프로그램이 끝나기 전인 11월 에 동일한 평가도구로 실시하였다.
  • 11. 정문성 ․ 석문주 ․ 모경환 ․ 김해경 ․ 박새롬 /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이 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 277 구분 예술 꽃 씨앗학교 일반학교 사전 사후 통계치 사전 사후 통계치 예 술 적 음 악 효능감 3.45 3.54 t=2.112** 3.40 3.44 t=0.440 기능 3.06 3.23 t=3.927** 3.06 3.09 t=0.320 교과태도 3.31 3.38 t=1.605 3.33 3.36 t=0.372 창의성 3.30 3.39 t=2.042* 3.14 3.20 t=1.850 표현력 3.04 3.21 t=3.745** 3.20 3.31 t=1.415 정서 3.38 3.44 t=1.326 3.25 3.27 t=1.331 리더십 2.51 2.78 t=5.566** 2.39 2.64 t=2.751** 사회성 2.74 2.96 t=4.855** 2.63 2.73 t=1.223 미 술 효능감 3.47 3.55 t=1.814 3.51 3.51 t=0.064 기능 3.06 3.20 t=3.028** 3.03 3.11 t=0.941 교과태도 3.49 3.59 t=2.100* 3.54 3.59 t=0.519 <표 7> 예술 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의 예술적 효과성 비교 구분 예술 꽃 씨앗학교 일반학교 사전 사후 통계치 사전 사후 통계치 인 성 적 자존-행복감 3.76 3.80 t=1.080 3.77 3.84 t=1.250 표현/창의성 3.67 3.77 t=3.112** 3.56 3.66 t=1.702 협동/사회성 3.34 3.42 t=2.822** 3.32 3.32 t=0.042 * p < .05 ** p < .01 <표 6> 예술 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의 인성적 효과성 비교 Ⅳ. 결과 분석 1. 인성적 효과 <표 6>은 인성적 영역에서 예술 꽃 씨앗학교와 일반학교간의 사전-사후 점수를 비교한 것이다. 분석 결과 자존/행복감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표현/창의성, 협동/사회성 영 역에서 예술 꽃 씨앗학교 학생들의 경우 사전-사후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 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학교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과는 대조적인 것이다. 따라서 예술 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이 학생들의 표현력과 창의성, 협동심과 사회성 을 증진시키는 데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2. 예술적 효과
  • 12. 278 ∙『열린교육연구』 제20집 제2호 창의성 3.35 3.45 t=2.357* 3.29 3.31 t=0.304 표현력 3.24 3.38 t=2.864** 3.20 3.27 t=1.236 정서 3.27 3.35 t=1.673 3.25 3.37 t=1.285 리더십 3.21 3.39 t=3.898** 3.20 3.38 t=2.065* 사회성 2.85 3.03 t=4.014** 2.81 2.91 t=1.198 공 연 효능감 3.21 3.35 t=2.978** 3.13 3.27 t=1.542 기능 2.86 3.05 t=4.087** 2.76 2.94 t=2.102* 교과태도 2.49 2.58 t=2.875** 2.44 2.56 t=1.972* 창의성 3.05 3.27 t=4.908** 3.01 3.13 t=1.403 표현력 2.99 3.17 t=3.871** 2.94 3.10 t=1.767 정서 3.13 3.28 t=2.880** 3.11 3.20 t=1.838 리더십 2.79 3.06 t=5.543** 2.74 2.93 t=2.065* 사회성 2.87 3.05 t=3.952** 2.72 2.91 t=2.133* * p < .05 ** p < .01 <표 7>은 문화예술적 영역에 있어서 예술 꽃 씨앗학교와 일반학교간의 사전-사후 점수 를 비교한 것이다. 분석 결과 음악, 미술, 공연을 포괄하는 전 영역(음악 7개영역, 미술 6 개 영역, 공연 8개 전영역)에 걸쳐 예술 꽃 씨앗학교 학생들의 경우, 사전-사후간의 점수 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음악 5개 영역(효능감, 기능, 창의성, 표현력, 사회성), 미술 5개 영역(기능, 교과에 대한 태도, 창의성, 표현력, 사회성), 공연 4개 영역(효능감, 창의성, 표현력, 정서)에서는 일반학교에서는 어떠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과는 대조적으로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점수차를 나타냈다. 따라서 예술 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이 학생들의 음악적 능력, 미술적 능력, 공연적 눙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3. 변인별 효과 <표 8>은 예술 꽃 씨앗학교 학생들의 특성 변인(학년, 성별, 사교육, 경제적 수준)별로 사전-사후 점수를 비교한 것이다. 분석 결과 특히 경제적 수준이 중인 학생 집단, 사교육 을 받지 않은 학생, 남학생의 경우 사전-사후간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수준이 중인 학생의 경우 경제적 수준이 상 또는 하의 집단에서 유의미한 효과 가 한 차례도 나타나지 않았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표현/창의성, 협동/사회성, 음악 6개 영 역(효능감, 기능, 창의성, 표현력, 리더십, 사회성) 미술 5개 영역(기능, 창의성, 표현력, 리 더십, 사회성), 공연 8개 영역(효능감, 기능, 교과에 대한 태도, 창의성, 표현력, 정서, 리더
  • 13. 정문성 ․ 석문주 ․ 모경환 ․ 김해경 ․ 박새롬 /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이 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 279 영역 변인 학년 성별 사교육 경제적수준 4 5 6 남 여 유 무 상 중 하 인 성 자존/행복 표현/창의 * * ** ** ** 협동/사회 * ** * ** 예 술 음 악 효능감 * * * 기능 ** ** ** ** * ** 교과에 대한 태도 ** 창의성 * 표현력 * * * ** ** * ** 정서 * 리더십 * ** ** ** ** ** ** ** 사회성 * ** ** ** ** ** ** ** 미 술 효능감 * * 기능 * ** * * * * ** 교과에 대한 태도 * ** 창의성 ** * ** * 표현력 * * * ** 정서 리더십 * ** ** ** ** ** ** 사회성 ** * ** ** ** ** ** 공 연 효능감 ** ** * ** 기능 * ** * ** ** ** * ** 교과에 대한 태도 ** * ** * 창의성 ** * * ** ** ** * ** 표현력 * ** ** ** ** ** ** 정서 * ** * ** 리더십 ** ** ** ** ** ** ** ** 사회성 * ** ** * ** * ** * p < .05 ** p < .01 <표 8> 예술 꽃 씨앗학교 학생 변인별 효과성 비교 십, 사회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를 통해 다수(88.8%)를 이루는 경 제적 수준이 중인 학생들에게 문화예술교육이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사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의 경우 표현/창의성, 협동/사회성, 음악 5개 영역(효능감, 기능, 표현력, 리더십, 사회성), 미술 7개 영역(효능감, 기능, 교과에 대한 태도, 창의성, 표 현력, 리더십, 사회성), 공연 6개 영역(효능감, 기능, 창의성, 표현력, 리더십, 사회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문화예술교육의 기회가 적은 사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들에게 문화예술교육의 효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 14. 280 ∙『열린교육연구』 제20집 제2호 또한 남학생의 경우 여학생에 비하여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의 차이에 따른 향상 수준 (점수 차이)으로 비교할 때 더 높은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표현/창의성, 협동/ 사회성, 음악 5개 영역(효능감, 기능, 교과에 대한 태도, 표현력, 정서), 미술 3개 영역(교 과에 대한 태도, 창의성, 표현력), 공연 2개 영역(효능감, 정서)의 경우 여학생 집단에서는 나타나지 않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여학생에 비해 상대적으 로 효과성 점수가 낮은 편인 남학생에게 보다 큰 변화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및 제언 16개 예술 꽃 씨앗학교 경험 학생들의 문화예술교육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문화예술 교육의 효과성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문화예술교육은 초등학생의 인성적 변화를 유의미하게 가져올 수 있다.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인성적 측면에서 자존/행복감을 제외한 표현/창의성, 협동/사회성이 모두 통 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는 일반학교의 경우 어떠한 영역에서도 유의미한 차 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과는 대조를 이룬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이 초등학생의 표현력, 창의성, 협동심, 사회성을 함양하는 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은 초등학생의 문화예술적 영역에서 의미있는 변화를 가져올 수 있 다. 음악, 미술, 공연의 세 영역으로 나누었을 때, 우선 음악 영역에서 효과성이 나타났다. 8개의 하위 영역 중 음악 정서를 제외한 음악 효능감, 음악 기능, 음악 교과에 대한 태도, 음악 창의성, 음악 표현력, 음악 리더십, 음악 사회성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 을 보였다. 일반학교의 경우 1개 영역(음악 리더십)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것과는 대조를 이룬다. 미술 영역에는 8개의 하위 영역 중 미술 효능감과 미술 정서를 제외한 미 술 기능, 미술 교과에 대한 태도, 미술 창의성, 미술 표현력, 미술 리더십, 미술 사회성 모 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는 일반학교의 경우 1개 영역(미술 리더십) 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것과는 대조를 이룬다. 공연 영역에서는 8개의 하위 영역 인 공연 효능감, 공연 기능, 공연 교과에 대한 태도, 공연 창의성, 공연 표현력, 공연 정서, 공연 리더십, 공연 사회성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일반학교의 경우 4개 영역(공연 기능, 공연 교과에 대한 태도, 공연 리더십, 공연 사회성)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것과는 대조를 이룬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이 초등학생의 문화예술적 영역에서 의미있는 변화를 가져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변인별로 보면, 문화예술교육은 경제적 수준이 중인 학생, 사교육을 받지 않은 학 생에게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수준이 상 또는 하의 집단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난 경우는 한 차례도 나타나지 않았던 반면, 경제적 수준이 중인 학생집단의
  • 15. 정문성 ․ 석문주 ․ 모경환 ․ 김해경 ․ 박새롬 /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이 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 281 경우 표현/창의성, 협동/사회성, 음악 6개 영역(효능감, 기능, 창의성, 표현력, 리더십, 사회 성) 미술 5개 영역(기능, 창의성, 표현력, 리더십, 사회성), 공연 8개 영역(효능감, 기능, 교 과에 대한 태도, 창의성, 표현력, 정서, 리더십, 사회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은 다수(88.8%)를 이루는 경제적 수준이 중인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변화를 주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사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 집단의 경우 표현/ 창의성, 협동/사회성, 음악 5개 영역(효능감, 기능, 표현력, 리더십, 사회성), 미술 7개 영 역(효능감, 기능, 교과에 대한 태도, 창의성, 표현력, 리더십, 사회성), 공연 6개 영역(효능 감, 기능, 창의성, 표현력, 리더십, 사회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를 통해 예술 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이 상대적으로 문화예술교육의 기회가 적은 사교육을 받 지 않은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문화예술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예술 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은 남학생에게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 보다는 여학생이 대부분의 효과성 영역에서 점수가 높은 편이었지만 사전 검사와 사후 검 사의 차이에 따른 향상 수준(점수 차이)으로 비교할 때 남학생집단의 경우 더 높은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표현/창의성, 협동/사회성, 음악 5개 영역(효능감, 기능, 교과에 대한 태도, 표현력, 정서), 미술 3개 영역(교과에 대한 태도, 창의성, 표현력), 공연 2개 영 역(효능감, 정서)의 경우 여학생 집단에서는 나타나지 않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이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이 더 큼을 알 수 있다. 다섯째, 학년을 변인으로 분석한 결과 문화예술교육이 특정한 학년에서 두드러지는 효 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성적 영역과 예술적 영역 중 음악 영역에서는 6 학년 집단이 가장 높은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낸 반면, 미술 영역에서는 4학년, 공연 영역 에서는 5학년 집단이 가장 높은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변화에 대한 보다 정교한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 의 변화에 대한 양적 연구에 초점을 맞추었다. 16개 학교는 모두 이질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는 학교가 많았다. 따라서 이들의 평균점수를 이용한 양적 분석은 많은 것을 놓칠 수 있는 약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학교마다 결과의 차이가 큰 경우가 있는데, 왜 그러한 차 이가 나타났는지에 대해서는 양적 연구로 확인할 수가 없다. 따라서 질적 연구를 통한 보 완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종단적인 질적 연구를 병행하는 것도 필요하다. 둘째, 효과성 평가를 할 때 학생들의 전입‧전출 문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전출 전입 학생 수가 많은 수는 아니지만 예술 꽃 씨앗학교의 경우 대부분 소규모 학교이고, 학년별 로 보면 매우 적은 학생규모를 가지고 있어서 변인별 분석을 하기에는 소수의 변화도 매 우 결과에 민감하게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또한 학교마다 전입‧전출의 허용 정도가 다른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변화들을 효과성 평가시 고려해야 한다. 셋째, 예술 꽃 씨앗학교 차원에서 효과성 평가를 할 수 있도록 담당교사의 평가역량을
  • 16. 282 ∙『열린교육연구』 제20집 제2호 갖출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매뉴얼을 만들거나 연수 등의 방법이 유용할 것으로 생 각된다. 평가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처방을 하기 위함에 있다. 즉 평가를 통해 문제점이나 미진한 점을 발견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소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자 료는 예술 꽃 씨앗학교 간의 정보 교류를 통해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참고문헌 김용주‧오봉옥‧최영출‧박병식‧김광구‧정도상(2009). 문화예술교육 장기 성과평가모형 구축 연구.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김은영(2011).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영향에 대한 질적 연구. 예술경영연구. 19, 5-31. 김정선(2010).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평가, 어떻게 할 것인가?.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박도순·홍후조(2005).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서울: 문음사. 배호순(2008). 교육 프로그램 평가론. 서울: 원미사. 석문주·권덕원·오지향(2010). 국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현황 및 분석: 학교 문화 예 술교육 중 음악을 중심으로. 음악과 민족. 40, 205-233. 석문주·최은식·최미영(2010). 외국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 연구: 미국, 영 국, 핀란드, 일본을 중심으로. 예술교육연구, 8(2), 1-19. 오세곤(2008). 문화예술교육 관련 법령 및 제도 연구.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22, 5-37. 이윤식‧윤종현‧오세곤‧최천규(2010). 학교문화예술교육 성과평가 연구. 서울: 한국문화예술 교육진흥원 정문성‧김혜숙‧모경환‧김혁진‧최지영‧김보경(2010). 방과후학교 돌봄교실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 효과성 분석 연구. 서울: 서울문화재단.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2010).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평가 기준 및 지표 개발 연구, 서 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황성철(2005).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서울: 공동체. 황정규‧서민원‧최종근‧김민성‧양명희‧김재철‧강태훈‧이대식‧김준엽‧신종호‧박인우‧김동일(2011). 교육평가의 이해. 서울: 학지사. Bruner, J. (1986). Actual minds, possible worlds.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Eisner, E. (1991). The enlightened eye: Qualitative inquiry and the enhancement of educational practice. New York: Macmillan. Eisner, E. (2002). The arts and the creation of mind. Yale University Press. Gardner, H. (1993). Frames of mind: The theories of multiple intelligences.
  • 17. 정문성 ․ 석문주 ․ 모경환 ․ 김해경 ․ 박새롬 /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이 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 283 New York: Basic. Greene, M. (2011). 블루 기타 변주곡. (문승호, 옮김). 서울: 다빈치.(원서출판 2010). Hansen, D. T.(2011). Cosmopolitanism and Creativity in the World Today. 2011 서울국제창의예술교육 심포지엄( pp. 19-32). Patteson, A. (2010). Learning Through the Arts: Music Champion program evaluation research report, year 1. Available from the Royal Conservatory, Toronto. Patteson, A.(2011). Learning through the arts: an international education program transforming lives and communities globally. 2011 서울국제창의 예술교육 심포지엄( pp. 61-74). ・ 접수일 2012년 3월 20일 / 수정일 2012년 4월 23일 / 게재확정일 2012년 5월 18일 ・ 교신저자 : 석문주,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인천 계양구 계산1동 경인교육대학교 음악교육과, Seongmoon@ginue.ac.kr
  • 18. 284 ∙『열린교육연구』 제20집 제2호 Abstract The Effects of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on the Primary School Students - Art-Flower Seed School Project- Jeong, Moonseong* · Seog, Moonjoo* · Mo, Kyungwhan** · Kim, Haikung* · Park, Saerom***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Seoul Natonal University** · Hanbit Primary Schoo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se the effect of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on primary school students. This research project ran pre/post tests on 1014 students of 16 Art-Flower Seed (AFS) Schools selected in 2011, and a control group of 273 students from 5 general schools was used to study the effects of the AFSSP on students. The results of the pre/post test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AFSSP on the students shows that it has positive effects in most subordinary areas. First, the AFSSP increased expression, creativity, cooperation, and sociality in personality effect. Second, the AFSSP is effective in increasing musical ability (7 areas, exclusive of musical emotion), visual art ability (6 areas, exclusive of visual art effectiveness and visual art emotion), and performance ability (8 area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statisticall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 that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AFSSP)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primary school students. Key Words : culture and art education, the Art-Flower Seed School Project, effectiv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