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헬스케어 패러다임의 변화
◈ 헬스케어 1.0 공중보건의 시대 (18~20세기초) ◈
전염병의 예방과 확산 방지 (전국민)
인두접종의 개발, 청진기, 엑스레이 발명
◈ 헬스케어 2.0 질병치료의 시대 (20세기말) ◈
질병의 치료, 기대수명 [환자]
페니실린 발견, 신약 및 치료법 개발
◈ 헬스케어 3.0 건강수명의 시대 [21세기] ◈
개인 유전체 분석기술 기반 개인맞춤형치료
U-헬스, 웰니스
질병 예방 및 의료비 절감 [일반인/일상]
5. 보건의료 지표
<미국, 유럽 주요 국가의 헬스케어 지표>
The changing body-health nutrition and human development in the western world since 17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삼성경제연구소
8. 헬스케어 분야 10대 글로벌 트렌드
2007-2020
Drugs get Smarter
높음
Shift to
Personalized
Healthcare
Power Patient
Generation
Prevention
before Cure
Innovation vs.
Knowledge
헬스케어
산업에 미치는
영향
Healthcare
Globe trotters
Patients become
Customers
Hospitals go Virtual
Cyber Docs
Devices become monitors
낮음
낮음
확신도
높음
자료: Frost &Sullivan(2008)
9. 보건산업의 정의
“질병의 치료와 건강의 유지 및 증진과 관련된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과 유통을 담당하는 산
업”
• 의약품, 의료기기, 식품, 화장품, 의료서비스산업
•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모든 제품과 서비스 포함
• 병의 예방, 치료 또는 경감시킬 수 있는 모든 것을
포함하는 보건의료기술(HT)이 중심
10. 보건의료산업의 범위 – 상위 4,5단계?
5
웰니스 욕구
4
건강증진 욕구
3
필수의료 욕구
2
1
총체적 건강(육체, 정신)
건강검진, 성형 등
의
료
산
업
질병 진료
기본의료 욕구
예방 접종 등
생리적 건강 욕구
깨끗한 물, 맑은 공기
사
회
적
권
리
11. 보건산업 환경의 변화 추세
<시장>의 변화
• 고령화 사회에 따른 Ubiquitous, POC기능의“자가진단”수
요 급증
<패러다임>의 변화
• 생활수준의 향상, 웰빙에 따른“질병치료(cure)”로부터“건
강관리(care)”로의 인식 변화
<기술>의 변화
• Genomics, proteomics 등 BT의 급격한 발전에 따른 혁신적,
고신뢰성 biomarker들이 속속 발굴 활용
• NT/IT의 발전에 따른 모바일 소재 소자
12. 보건의료 – 산업으로 중요한가?
新성장동력 산업
• 의약품산업
2009년 세계시장은 전년대비 7% 성장, 국내시장은 전년
대비 5.9% 성장 (GDP의 1.6% 차지)
2009년 수출 22.2% 증가, 수입 0.9% 감소
국내 전문의약품 대 일반의약품 비율: 81% vs. 19%
• 의료기기산업
세계시장은 2013년까지 연평균 4.9% 성장 예상
2009년 우리나라 생산규모는 전년대비 9.5% 성장,
2003-2009년 연평균 9.9%의 높은 성장률 지속
13. 보건의료 – 산업으로 중요한가?
新성장동력 산업
• 의료서비스산업 + 병원경영
의료수요의 증가, 의료기관과 병상의 급증, 국민의료비의
급증, 의료관광 기회 vs. 위협
• 바이오보건산업
2009년 세계 바이오시장은 2300억달러 규모, 전년대비
5% 성장; 미국 41.2%, 유럽 21.5%, 아태 19.9%
2009년 한국의 생명공학시장은 50억달러 규모로 전세계
의 2.2% 점유; 최근 3년간 21.3% 성장
2009년 국내 바이오산업 생산규모는 약 5.6조원, 전년대
비 24.9% 증가
16. 주요국의 중점 육성 전략산업
미국
<미국혁신전략>
일본
<일본재흥전략>
독일
<하이테크2020>
중국
<7대 신성장산업>
청정에너지
세계 최고 수준의 IT
기후/에너지
에너지절약/
환경보호
바이오
건강수명 연장
보건의료
차세대 정보기술
나노
청정/경제적 에너지
정보통신
바이오
첨단제조업
사회인프라 및 교통
이동
(교통/항공/해양)
첨단장비제조
우주공학
고품질 농수산물
안전/보안
신에너지
의료기술
관광자원
-
신소재
교육기술
-
-
신에너지 자동차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17. 국가별 건강관리 투자 현황
정부 주도하의 유전체 회사인
Genomics England 설립(2012)
National Cancer Institute 지원을 통해
유전정보와 암 발생에 관한 상관관계 규명
유전자 정보 제공 서비스인
DTC 시장 활성화
EU 5개국과 14개 회사가 연합한 원격 건강
모니터링 프로젝트 TELEMED 진행
다수의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장비를 보유한
BGI 설립을 통해 대규모 유전자 정보 보유
다양한 건강관리 플랫폼과
웨어러블 건강관리 장비 활성화
U-Healthcare 서비스 시범사업 및
각 부처에서 유전체 연구개발 사업 지원
19. 전략적 R&D 투자 확대 등
범부처 보건의료 R&D 투자 강화를 위한 ‘보건의료기술진흥
법’ 개정 및 ‘국민건강을 위한 범부처 R&D 중장기 추진계
획’ 수립(7월)
* 미래 예측에 기반한 R&D 투자 전략 수립을 위하여 ‘미래
의료원정대’ 발족․운영(9월~)
연구중심병원 지정(10개, 3월), 세제지원․연구인력 병역특례 등 지원 추진
* 연구중심병원 R&D 예비타당성 통과(9월) 및 '14년 정부 예산(100억원)
반영
유전체 활용 맞춤의료 기술 촉진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상임위 계류중) 및
줄기세포‧재생의료 육성을 위한 기술로드맵 수립(12월) 추진
고령친화산업 기술경쟁력 제고를 위한 사회문제형 R&D 다부처 공동기획연
구 추진(9월) 및 R&D 기본방안 마련(12월) 중
20. BNIT 융합 유전체 사업
저비용 초고속 유전체 해독시대 도래
IT, BT, NT의 대표적 융합기술로 탄생한 차세
대 염기서열 분석장비는 유전자 분석 $100달
러 시대와 함께 개인별 맞춤의료 시대의 도래
를 현실화
Direct to Consumer Genetic Test
21. 일상생활 케어 서비스 산업
GE와 Intel 합작회사
카메라 없이 RF/적외선 이용하여, 사생활 침해없이 거주자(고령자 등)의 일상 생활
패턴 감지, 일상 생활 케어, 위험 조기 감지/전송, 조기 수습 가능
서비스료 주당 9파운드로 영국에서 상용화
22. 헬스케어 사업의 확대
치료
진단
사후관리
치료 중심 예방적 건강관리
사전예방
사전진단
진단
치료
사후관리
건강유지
<영역별 헬스케어 산업 구조 전망>
[억달러, %]
년도
예방
진단
치료
사후관리
합계
2010년
2,100 (6)
5,700 (16)
24,200 (68)
3,600 (10)
35,600
2015년
4,000 (8)
9,200 (19)
31,400 (63)
5,100 (10)
49,700
2020년
6,900 (10)
14,400 (21)
39,100 (57)
8,200 (12)
68,600
성장율(%)
12.4
9.7
4.9
8.7
6.8
IMS health
25. 웰니스 사업
일반인의 균형잡힌 웰니스 증진을 위한 응용 서비스 플랫폼 구축
사업기간 : `13~`16년, 정부출연금 : 127억원
주관기관 : (재)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저가격 일상생활형 안전 및 소통을 위한 디바이스 기술
클라우드 기반 개방형 정보시스템 기술
고령자 웰니스 서비스를 위한 유저 피드백 기술
26. 웰니스 사업
건강관리 분야
Health Management in Daily Life
Behavior modification,
Home-care, etc.
생활환경관리 분야
Space
Indoor Air/water quality
Sanitation, etc.
Interior
Cloth
Physical Fitness & Exercise
활동/감성관리 분야
Outdoor Sports
Furniture, Lightning
Living appliances
SporTainments
Apparel & Fashion
Wearable Informatics
Emotional Entertainment
Well-Aging
[Healthy & Satisfactory Lifestyle]
• 개인의 체력 증진 및
건강 관리를 위한 활동을
직∙간접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제품
및 서비스
Human
[Safe & Convenient Living]
• 편리하고 안전한 삶의 터전
확보를 위한 생활환경 조성을
위한 제품 및 서비스
[Self-Directed Involvement]
• 건강한 육체와 더불어
정신, 감성적 가치를 지향하는
체험활동과 관련된 제품 및 서비스
27. 다부처 유전체 사업
사업기간 : `14~`21년 (총 8년), 정부출연금: 총 910억원
유전체 관련 산업 활성화
31. 국가중점과학기술 전략로드맵
미래창조과학부 범부처 국가전략로드맵 추진단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 수립(2013.7.8)을 계
기로 로드맵 수립의 제도화 추진중
• 과거 국가차원의 기술 로드맵을 두 차례 마련하여
과학기술기본계획에 반영하였으나, 수정⋅보완 부재
로 시간 경과와 함께 점차 활용도 저하
2002년 국가기술지도(National Technology Road Map)
2007년 국가R&D사업 Total Map
2002년 NTRM 수립 당시, 3년 주기로 수정⋅보완 계획이
있었으나 미실시
32. 국가중점과학기술 전략로드맵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에 따라 국가전략기
술(120개) 중 일정 기준에 따라 선정된 기술분
야에 대해 로드맵 작성
① 지속적인 경제성장 견인 부문
② 삶의 질 향상 기여 부문
과학기술기본법시행령에 로드맵 작성 제도화 근
거 마련 추진
• <국가 최상위 과학기술 R&D 통합로드맵 사업 정례
화 추진> 필요(국과위, 2010)
33. 국가중점과학기술 전략로드맵
추진일정
• 추진체계 구성 완료(2013.7)
• 대내외 환경변화 전망 및 기술현황 분석
(2013.8~10)
• 전략로드맵 작성(2013.10~12)
• 부처의견 및 각계 의견수렴 공청회 개최(2014.1)
• <범부처 전략로드맵 최종(안)> 마련(2014.2)
최종(안)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상정
34. 전략로드맵 대상기술 (N=52)
2대 부문 5대 분야
국가중점과학기술
1. IT융합 신산업 창출
지식정보보안 기술
빅데이터 기술
실감형 콘텐츠 기술
차세대 반도체 기술
스마트 자동차 기술
생산시스템 생산성 향상 기술
첨단플랜트 기술
방송통신융합플랫폼 기술
2. 미래성장동력 확충
바이오에너지 기술
의료기기 기술
서비스 로봇(진단치료, 건설 등) 기술
고부가가치 선박 기술
미래형 항공기 기술
차세대 에너지 저장장치
차세대 소재 기술
경제
지속성장
견인
35. 전략로드맵 대상기술 (N=52)
2대 부문 5대 분야
국가중점과학기술
3. 깨끗하고 편리한
환경조성
삶의 질
향상
기여
온실가스 저감 및 이용 기술
환경 통합 모니터링 및 관리 기술
오염물질 제어 및 처리 기술
기후변화 감시⋅예측⋅적응 기술
스마트 에코 빌딩 기술
유용폐자원 재활용 기술
4. 건강 장수 시대 구현
맞춤형 신약 개발 기술
생명시스템 분석 기술
유전체 정보 이용 기술
줄기세포 기술
원격건강관리서비스
5. 걱정 없는
안전사회 구축
식량자원 보존 및 식품가치 창출 기술
유용 유전자원 이용 기술
자연재해 모니터링⋅예측⋅대응 기술
사회적 복합 재난 예측⋅대응 기술
38. 국민건강R&D_연구개발투자 기본방향
박근혜정부 국정과제
(목표) 과학기술을 통한 국민 삶의 질 향상과 창조경제 구현
- 정부의 R&D 중점투자분야 선제 발굴 및 전략적 투자 강화
보건산업 미래성장산업 육성
고령 친화 산업 육성
• 제약산업 글로벌 10대 강국 도약
• 항노화 산업화 가능 분야 개발
• 첨단의료기기, 화장품 산업 육성
• 친고령 항노화산업 R&D 확대
• 신의료 융합서비스 발전기반 조성
• 융 복합 R&D 촉진 여건 마련
• 첨단의료기술개발 분야 집중 투자
• 항노화산업 연구 육성 기반 마련
• 연구중심병원 육성
• 한의약 세계화
39. 국민건강R&D_연구개발투자 기본방향
정부 연구개발 중기(`13~`17) 투자 방향
건강한 삶
안전사회 구현
국민행복기술
창조경제시대 시장선도형
바이오헬스케어산업 R&D 투자 확대
• 맞춤형 예방 재생의학
• 국가재난, 감염병 의약품 안전관리
• 전통적 핵심분야 글로벌 경쟁력 확보
• 유망 신기술의 ICT 융합 바이오 신성장동력 창출
2014년도 정부 연구개발 투자 방향
국민 삶의 질 향상
안전보장 미래 공공수요 대응
산업 고도화를 위한
핵심기술 투자 전략적 확충
• 도시화 고령화 경향에 의한 만성질병 관리
• 사회경제적 현안 대응 국민체감형 공공복지 기술
• 생명 보건의료 연구 선진화 기반 조성
• 바이오 헬스케어산업을 글로벌 성장엔진으로서 핵
심기술 개발 투자 강화
40. 국민건강R&D_비전/목표/5대전략/11개과제
국민건강 G7 선진국 도약
비전
- <2020 건강수명 75세 시대> 달성 R&D 투자 비중
산업별 세계시장 점유율
정부 R&D 중
건강 R&D
투자 비중 확대
목표
R&D 기술 수준
(`11년) 73.2%
↓
(`17년) 75.0%
•제약산업: (`12년) 1.5% →(`17년) 2.5%
•의료기기산업: (`12년) 1.5% →(`17년) 2%
•화장품산업: (`12년) 1.5% →(`17년) 2%
1
1.
2.
정부 R&D의 선진국 수준 확대
민간투자 활성화
2
핵심
추진
전략
건강 R&D 투자 지속적 확대
글로벌 수준의 기술개발을 위한
선택과 집중
1.
2.
4대 유형별 목적지향적 사업 추진
미래 유망분야 전략 사업 추진
3
성과 창출형 R&D 지원시스템
고도화
1.
2.
기획 성과 관리시스템 선진화
산업화 촉진을 위한 기술관리 시스템 구축
4
연구생태계 조성
1.
2.
3.
산 학 연 병원 선순환 협력체계 구축
글로벌 R&D 협력
인력 양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
5
건강산업 촉진을 위한 제도 개선
1.
2.
기술개발 규제 환경 선진화
기술개발 촉진을 위한 제도 개선
41. 국민건강R&D_선택과 집중
4대 유형별 목적지향적 사업 추진
Disease
Care
Well-being
Safety
질병극복 기술
(10대 질환)
돌봄 기술
(Care Technology)
건강증진 기술
공공안전 기술
• 난치질환형
(암,심뇌혈관질환)
• 다빈도형
(근골격,안질환,신장)
• 생활습관형
(비만,정신,대사)
• 희귀질환형
• 뇌연구 원천기술
• 질환별 R&D 네트워크
•
•
•
•
• 스마트 의료시스템
• 화장품/한의약 실용화
R&D
• 정신건강 R&D
• 감염병 R&D
• 환경보건기술
• 식의약 안전관리기술
고령 친화 R&D
생활 밀착형 건강기술
의료서비스 R&D
사회서비스 R&D
42. 국민건강R&D_선택과 집중
미래 유망분야 전략사업 추진
유전체
• 유전체 자원 확보,
활용
• 유전체 분석기술
• 맞춤의료 기술
• 다부처 유전체 R&D
사업
줄기세포
• 휘귀,난치성 질환
세포치료제
• 줄기세포 기반 치료제,
신약
• 줄기세포 유효성,
안전성 연구
• 줄기세포 특성별
핵심기술
• 차세대 줄기세포
치료제
신약
• 범부처 전주기
신약개발
• 항암신약개발
• 개량신약, 백신, 희귀
의약품, 천연물의약품
• 임상시험 글로벌
선도센터 선정,육성
의료기기
• 차세대 융복합 기술
및 제품 개발
• 혁신형 의공학 R&D
• 의료현장 수요 발굴
45. 산업부 계획_소아, 청소년 건강관리 서비스
학교, 캠프 등 단체회원을 보유한 시설에 휴대형 운동모니터링 기기에서 측정, 분석되는 정보를
관리하는 IT솔루션을 제공하여 이를 통한 회원이용료 수익을 창출하는 사업
구분
운동량 측정기기
전문 콘텐츠
참여
운동량 센서,
포탈 사업자,
주체
기기 제조사
S/W개발사
기술, 제품 및
서비스내용
운동속도, 거리, 위치
등 측정, 송수신 기기
개발
전문 프로그램 및 콘텐
츠 기획, 개발 공급
서비스 운영
서비스 사업자
전문 인력의 프로그램
서비스 플랫폼
서비스 과금
SNS, 포탈 사업자, 플
통신 사업자,
랫폼 및 S/W개발사
서비스 사업자
플랫폼 개발
다 기종 단말 별
관리, 서비스 인력 관 웹, 모바일 단말 어플
리, 운영
등 개발 공급
S/W 관리 운영 및
서비스 비용 과금
47. 산업부 계획_웨어러블 건강관리 서비스
휴대용 디바이스를 이용한 건강 모니터링
아디다스의 지능형 신발
- 충격량, 속도, 바닥상태감지용 센서
BodyBugg
-가속도, 혈류, 피부저항 센서 등을 활용하
여 칼로리소모, 사용자 상태(취침, 조깅
등 상태) 구별
- RF 통신, 웹 연동
Polar
-가슴띠 형태의 심박수 측정 모듈, 신발 부착
형 속도 측정 모듈, 손목시계형 단말로 구성
-측정 모듈로부터 RF 통신을 통해 손목시계
형 단말에 데이터 전송
-PC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데이터 저장
및 관리
48. 산업부 계획_센서 이용 건강관리 서비스
댁내 센서를 이용한 고령자 행위추적기반 건강 모니터링
고령자 행위기반 이상징후 감지
수면
배변
식사
휴식
외출
귀가
낙상
49. 산업부 계획_로봇 이용 웰라이프 서비스
불편한 거동을 도와주는 로봇 슈트 (Robot suit)
가사일을 도와주는 로봇 (Home service robot)
53. 법⋅제도 개선 필요
법제도적
기반 미비
건강관리 서비스법 및 의료기관간 표준의료정보화 등 미비로
인해 본격적인 서비스산업 창출이 어려움
원격진료 허용을 위한 의료법 및 약사법 등 개정 추진
의료기관 정보화 추진 시 표준진료서식 마련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강화가 필수적이며, 이와 관련된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강화
제도 마련이 요구됨
개인정보 수집/제공/활용 절차 마련,
활용범위 규정 수립 필요
유전자정보
차별금지법
강화
현 생명윤리기본법 상 명시되어 있는 유전자정보 보호법과 더불어
미국과 같은 유전자 정보 차별 금지 내용 강화
미국은 2008년 유전정보 차별 금지법(GINA) 발효
국내 상황에 맞게 유전정보 차별 금지법 제정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