ݺߣ

ݺߣShare a Scribd company logo
'약한 자급을 위한 생활의 4종 기예’워크샵
노출형광등조명 만들기



첫째 날.   목공, 전기, 재봉, 용접에 대한 부분적인 설명
        노출 형광등 조명 재료설명
        각자 제작할 노출 형광등 조명 드로잉
        드로잉 발표


둘째 날.   목공기계 다뤄보기
        조명몸통 목공 작업,
        형광등 전기 연결 작업


셋째 날.   용접시범과 재봉틀 다뤄보기
        지름 3mm 철 환봉으로 조명등보족 용접 및 밴딩작업
        펠트를 이용하여 조명보호케이스 재봉작업
약한 자급을 위한 생활의 4종기예 01.

목공
목공기계와 전동공구
조기댶
                                                    (수직가이드)
테이블 쏘
(table saw)

주로 넓은판재를 재단할 때 쓰인다.                    원형톱날
홈을 파는작업에도 쓰인다.
원형톱날이 테이블센타에서 회전하며 판재를 재단.
잘리는 높이와 각도 조정이 가능하다.

                                                                  톱날높이
                                                                  조절레버

판재 자르기
01. 판재의 두께에 맞게 톱날의 높이를 조절
                                   톱밥꺼내는
02. 조기댶(수직가이드)를 재단사이즈에 맞춰 눈금에 고정                           톱날각도
                                   입구
                                                    ѫ버튼   조절레버
03. 판재의 한쪽변이 조기댶에 잘 맞닿게 하여
    화살표방향으로 밀면서 재단




                                              집진기
                                              설치구
ѫ버튼
각도절단기
(miter saw)

주로 각재 길이방향 재단용으로 많이 쓰인다.
재단면의 각도를 변경하여 재단이 가능하다.
                                 수평가이드

각재 재단하기
01. 재단할 각도를 각도조절레버를 돌려 맞춘다.
02. 절단기의 수평가이드쪽으로 목재를 잘 고정한다.
03. 오른손으로 안전레버를 제끼고 ѫ버튼을 누른다.              각도조절
                                            레버
    재단이 되는 동안 목재가 튀지 않도록
    잘 잡고 있어야 한다.
04. 누르고 있던 ѫ버튼을 놓으면 작동이 멈춤다.
기어조절박스




                                               조명버튼      톱날각도
                                               ѫ버튼      조절레버

드릴링 머신                                           드릴프레스
(drilling machine)                               레버

수직축이 고정되어 반복적으로 구멍을 뚫거나,           높낮이
정확한 사이즈와 깊이로 구멍을 뚫어야할 때,           조정레버   척
회전반경이 커서 고정된 큰힘을 필요로하는
비트로 구멍을 뚫거나 회전축 홈을 딸 때 쓰인다.               드릴
                                          비트
회전축에 드릴비트를 달아 목재 또는 철재 등 여러재료에     높낮이
구멍을 뚫는다.                           고정레버
각 재료별 비트(드릴날)의 종류가 다르다.



판재 또는 각재 구멍 뚫기
01. 뚫을 구멍싸이즈와 재료에 맞는 드릴비트 끼우기
02. 재료를 구멍뚫을 위치에 비트가 내려오는 위치에 맞춰
    클램프로 고정하거나 왼손으로 잘 잡기
03. 오른손으로 드릴프레스 레버를 내려 구멍뚫기
일반탶카           디귿자타카      핀타카




에어타카와 콤프레셔
(air stapler & Compressors)

일반못사이즈의 핀이 들어가는 일반탶카,
문구용 스테플러같은 디귿자 핀이 들어가느 디귿자 타카,
실처럼 얇은 머리없는 핀이 들어가는 실타카,                    에어타카
콘크리트에 박을 수있는 콘크리트타카,
등의 에어타카 종류가 있다. 각각 다른종류의 핀이 들어간다.
못 대용으로 공기압을 이용해 핀을 쏴서
목재를 조립할 때 쓰인다.



목재 조립하기                                                     에어콤프레셔
01.   조립할 목재의 두께에 따른 타카심과 타카를 고른다.
02.   타카와 콤프레셔를 에어호스로 연결한다.
03.   콤프레셔를 시동을 걸고 공기압이 찰때까지 기다린다.
04.   콤프레셔는 일정압이 탱크에 차면 저절로 멈춘다.
05.   타카심이 박히는 방향이 어긋나 손을 박지 않도록
      조심해서 타카를 쏜다.




                                                   에어호스
ѫ스위치




                                                        가이드클램프
트리머
(trimmer)

 
홈을 파거나 모서리를 다듬는데 쓰인다.                  여러가지 모양의 트리머비트
루터와 비슷하나 크기가 작고 힘이 더 약하다.
일반적으로 몰딩작업이 가능하다.                                         트리머비트
굉장히 큰 소음이난다. 루터보다는 약하지만 회전력이 강력한
전동공구이다. 방심하다가는 손목이 돌아간다.




모서리 둥글게 다듬기

01. 둥글게 다듬기 트리머비트로 교체한다.
02. 깍아야 하는 깊이 만큼 비트가 나오도록 가이드를 고정한다.
    깊이 파야할때에는 조금씩 여러번 파낸다.
03. 목재를 작업테이블에 클램프로 잘고정한다.
04. 날방향을 바깥으로 하고 한손으로 꼭잡고 스위치를 킨다.
05. 천천히 날과 목재를 눈으로 확인하면서 깍는다.
ѫ버튼




                                        가이드판
직소
(Jig Saw)

자유곡선, 모양 따내기에 적합한 전동공구.
철재용, 목재용날이 따로있고,
거칠지만 빨리 잘리는 날,
속도는 좀 느리지만 곱게 잘리는 날
등 쓰임에 적합한 톱날로 교환해서 사용한다.



합판 모양 따내기
01. 합판에 따낼 모양을 스케치한다.
02. 쓰임에 맞는 톱날로 교체한다.
    톱날 교체방법은 손잡이 안쪽에 명시되어 있다.
03. 가이드판을 합판면에 완전히 면을 접하게 한 뒤
    손잡이의 빨간 ѫ버튼을 슬그머니 누르면
    천천히 톱날이 상하운동을 하며 재단이 된다.
04. 재단 중 밑판(책상상판등)이 함께 잘리지 않도록 유의한다.
05. 톱날이 완전히 멈춘후 합판면에서 떼어낸다.
06. 재단하는 동안 톱날 앞부분에서 바람이 나오면서
    톱밥을 날리므로 꼭 보안경을 쓰고하는것이 좋다.
홶쏘
                                                       지속버튼
                                               회전방향
                                               전환버튼


                                                ѫ버튼


                                나무,철 공용 드릴비트


전동드릴                            콘크리트 드릴비트
(Drill)

구멍을 뚫거나, 피스(나사)를 조일때 사용한다.
종류가 굉장히 많다.
일반드릴, 충전드릴, 임팩트드릴, 함마드릴, 등...

용도에 맞는 드릴비트를 쓰는것이 중요.
목재용, 철재용, 콘크리트용..



나무에 구멍뚫기
01. 구멍뚫을 위치의 중심에 송곳으로 꾹찍어 표시를
    한뒤 드릴비트의 중심을 잘맞춰 뚫는다.
02, 회전방향이 반대방향이면 나무가 타면서
    구멍이 잘 안뚫린다.
03. 목재가 드릴 회전력때문에 휙돌아갈 수있으니
    클램프로 조이거나 잘 잡는다.
ѫ버튼   속도조절다이얼


                                                     집진필터




                                      사포
전동 원형 샌더
(random orbit sander)

밸크로 타입의 사포를 장착해 사용할 수있는 원형샌더
표면을 갈아내는 전동사포기
사포 뒷면의 숫자는 높을 수록 곱다.
50방..100방..400방..1000방 등...

면 곱게 다듬기
01.   거친사포부터 고운사포순서로 쓴다.
02.   적당한 거칠기의 사포를 구멍에 맞춰 부착한다
03.   목재가 튕겨나가지 않도록 잘 고정한다.
04.   속도조절다이얼을 돌려 속도설정 후 샌더를 가동시킨다.
규격 목재 사이즈
3X6합판 (尺)
(910X1820mm)




4X8합판 (尺)
(1220X2440mm)




                두께 2.7t / 4.8t / 8.5t / 11.5t / 14.5t / 17.5t / 24t




각재
(h=3600mm)      33X21mm 1단12개 / 30X30mm 1단12개 / 33x33mm 1단12개 / 42x42mm 1단6개 / 33x69mm 1단6개
12자
약한 자급을 위한 생활의 4종기예 02.

전기
백열등기구 구조와 형광등기구 구조
백열등기구의 구조

백열등기구의 구조는 굉장히 간단하다.
불이 안들어 온다면 소켓, 스위치, 플러그
3가지중 하나가 접촉불량이다.
아니면, 전구 필라멘트가 끊어졌거나.

전구는 밝을 수록 숫자가 높다.
너무 밝은(높은 와트의)전구를 사용할 때는
높은 와트의 전구를 꼿아도 되는 소재의 소켓인지,
전선의 용량이 맞는지를 확인해야한다.
형광등기구의 구조

백열등기구 보단 조금 복잡하지만 어렵지않은 구조이다.
원리를 알자면 조금 복잡하지만...

자기식안정기 형광등
요즘은 거의쓰이지 않는 방식 깜빡거리면서 불이 들어온다.
소음이 발생한다.
일명 쵸크다마 글로우램프가 있어야
시동을 걸 수있다.

전자식 안정기 형광등
전자회로로 이루어진 가벼운 안전기
깜빡거리거나 소음이 없다.
그 만큼 에너지는 소비가 적다.
형광등이 빛을 내는 원리

1)형광방전관: 형광물질을 바른 유리관에 아르곤과 수은을 넣고 밀봉하여 진공상태로 만든 관
으로 관 양쪽에 필라멘트 전극이 설치되어 있다. 전극은 이중 코일로 된 필라멘트에 산화바륨
이나 산화스트론튬 등의 산화 물질을 발라 높은 전압이 걸리면 쉽게 전자를 방출하여 방전을
일으키게된다. 수은 증기에 의하여 방사되는 빛은 90%가 눈에 보이지 않는 자외선으로,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을 내기 위해 유리관 안쪽에 형광물질을 칠해 놓는다. 결국 방사된 자외선이
형광물질을 자극하여 빛을 내게 되는 것이다.

2) 안정기와 글로우 램프는 고압을 만들어 방전을 시키고 방전이 일어난 이후에는 일정한 전류
가 흐르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형광등의 단점 중   하나가 방전 불꽃이 1초에 120번 깜박인다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 눈은 그렇
게 민감하지 않기   때문에 1초에 20번 이상 깜박이면 계속 켜져 있는 것으로 인식을 하는데 이
것을 잔상 효과라   하며 영화필름이 1초에 24장 바뀔 때 연속된 동작으로 느끼는 것과 같다. 형
광등의 수명이 다   되면 방전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깜박이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예전 자기식 형광등이 점등될 때 심하게 깜박이면 글로우 램프가 기능을 상실한 것이고 형광등
가장자리가 검은색으로 변하면서 불빛이 너울거리거나 깜박거리면 형광등 수명이 다 한 것으로
해석하면 된다.

요즘에 와서 인버터, 또는 바이오 스탠드라는 것이 나오고 있는데 형광등의 최대 단점인 깜박
거림을 해소시켜 주는 것이다. 가정용 전기는 1초당 60번 플러스 마이너스가 바뀌는 교류전원
인데 이를 전자회로를 이용하여 1초에 60Hz를 20,000~50,000Hz로 올려주기 때문에 60Hz를
공급할 때보다 깜박거리는 현상을 전혀 느낄 수가 없어 눈의 피로를 줄여주는 것이다
형광등 기구 재료와 납땜기
˳광등램      자기식 안전기
        클립




플러그   글로우    토글                      전선
       램프   스위치




                             형광등




                            형광등 소켓
납    용가재




납땜기 거치대    크리너


                 납땜기
약한 자급을 위한 생활의 4종 기예 03.

재봉
Ƹ루밵ӕ력
                                     조절장치


                                                        실패 꽃이 받침




                                                                       밑실 감기 장치


재봉틀 사용방법
                                             윗실 조절
                                             다이얼
① 압력조절장치의 숫자를 재봉하고자 하는 천에 맞게 조정
한다. 얇은 천은 약하게, 두꺼운 천은 세게.

② 톱니조절장치를 천에 따라 맞춘다. 얇은 천은 0~1, 보통
천은 1, 두꺼운 천은 2에 놓고 재봉한다.

                                                             바늘땀수                 돌림바퀴
③ 윗실과 밑실을 약 15cm 정도 노루발 밑으로 꺼낸 다음,
                                                             조절장치
실채기가 가장 위쪽에 있을 때 천천히 바퀴를 안쪽으로 돌리
며 작동을 시작한다.

④ 윗실과 밑실의 조정을 알맞게 한다. 윗실은 노루발을 내                                   재봉 모양 선택 표시판
려 좋은 상태에서 실채기에 걸려 있는 실을 당겨본다.
조금 팽팽한 듯 하면서 끌려나오는 상태가 정상이다. 밑실은
실패의 실을 북집에 끼운 다음 당겨 보아 윗실과 같이 팽팽
하게 끌려나오는 상태라야 한다.
                                                                       재봉모양
⑤ 바늘·실·천의 조화가 잘 이루어져야 한다.                    노루발 올림레버                  선택다이얼
                                             (노루발 뒤)
바늘은 항상 예리한지 살피고 실은 언제나 바늘구멍보다 가      노루발
늘어야 무리가 없으며 윗실과 밑실은 같은 굵기의 것을 사용                                       후진버튼
해야 한다.
                                                                        전원
                                                                        스위치와
                                                                        플러그
약한 자급을 위한 생활의 4종 기예 04.

용접
아르곤가스


                 보호면                                산소용접기
탁상그라인더                     용접마스크



               핸드그라인더




                                   아르곤용접기




         절단기

                   전기용접기
저작자 표시
비영리
변경 금지

More Related Content

약한 자급을 위한 생활의 4종 기예

  • 1. '약한 자급을 위한 생활의 4종 기예’워크샵
  • 2. 노출형광등조명 만들기 첫째 날. 목공, 전기, 재봉, 용접에 대한 부분적인 설명 노출 형광등 조명 재료설명 각자 제작할 노출 형광등 조명 드로잉 드로잉 발표 둘째 날. 목공기계 다뤄보기 조명몸통 목공 작업, 형광등 전기 연결 작업 셋째 날. 용접시범과 재봉틀 다뤄보기 지름 3mm 철 환봉으로 조명등보족 용접 및 밴딩작업 펠트를 이용하여 조명보호케이스 재봉작업
  • 3. 약한 자급을 위한 생활의 4종기예 01. 목공
  • 5. 조기댶 (수직가이드) 테이블 쏘 (table saw) 주로 넓은판재를 재단할 때 쓰인다. 원형톱날 홈을 파는작업에도 쓰인다. 원형톱날이 테이블센타에서 회전하며 판재를 재단. 잘리는 높이와 각도 조정이 가능하다. 톱날높이 조절레버 판재 자르기 01. 판재의 두께에 맞게 톱날의 높이를 조절 톱밥꺼내는 02. 조기댶(수직가이드)를 재단사이즈에 맞춰 눈금에 고정 톱날각도 입구 ѫ버튼 조절레버 03. 판재의 한쪽변이 조기댶에 잘 맞닿게 하여 화살표방향으로 밀면서 재단 집진기 설치구
  • 6. ѫ버튼 각도절단기 (miter saw) 주로 각재 길이방향 재단용으로 많이 쓰인다. 재단면의 각도를 변경하여 재단이 가능하다. 수평가이드 각재 재단하기 01. 재단할 각도를 각도조절레버를 돌려 맞춘다. 02. 절단기의 수평가이드쪽으로 목재를 잘 고정한다. 03. 오른손으로 안전레버를 제끼고 ѫ버튼을 누른다. 각도조절 레버 재단이 되는 동안 목재가 튀지 않도록 잘 잡고 있어야 한다. 04. 누르고 있던 ѫ버튼을 놓으면 작동이 멈춤다.
  • 7. 기어조절박스 조명버튼 톱날각도 ѫ버튼 조절레버 드릴링 머신 드릴프레스 (drilling machine) 레버 수직축이 고정되어 반복적으로 구멍을 뚫거나, 높낮이 정확한 사이즈와 깊이로 구멍을 뚫어야할 때, 조정레버 척 회전반경이 커서 고정된 큰힘을 필요로하는 비트로 구멍을 뚫거나 회전축 홈을 딸 때 쓰인다. 드릴 비트 회전축에 드릴비트를 달아 목재 또는 철재 등 여러재료에 높낮이 구멍을 뚫는다. 고정레버 각 재료별 비트(드릴날)의 종류가 다르다. 판재 또는 각재 구멍 뚫기 01. 뚫을 구멍싸이즈와 재료에 맞는 드릴비트 끼우기 02. 재료를 구멍뚫을 위치에 비트가 내려오는 위치에 맞춰 클램프로 고정하거나 왼손으로 잘 잡기 03. 오른손으로 드릴프레스 레버를 내려 구멍뚫기
  • 8. 일반탶카 디귿자타카 핀타카 에어타카와 콤프레셔 (air stapler & Compressors) 일반못사이즈의 핀이 들어가는 일반탶카, 문구용 스테플러같은 디귿자 핀이 들어가느 디귿자 타카, 실처럼 얇은 머리없는 핀이 들어가는 실타카, 에어타카 콘크리트에 박을 수있는 콘크리트타카, 등의 에어타카 종류가 있다. 각각 다른종류의 핀이 들어간다. 못 대용으로 공기압을 이용해 핀을 쏴서 목재를 조립할 때 쓰인다. 목재 조립하기 에어콤프레셔 01. 조립할 목재의 두께에 따른 타카심과 타카를 고른다. 02. 타카와 콤프레셔를 에어호스로 연결한다. 03. 콤프레셔를 시동을 걸고 공기압이 찰때까지 기다린다. 04. 콤프레셔는 일정압이 탱크에 차면 저절로 멈춘다. 05. 타카심이 박히는 방향이 어긋나 손을 박지 않도록 조심해서 타카를 쏜다. 에어호스
  • 9. ѫ스위치 가이드클램프 트리머 (trimmer)   홈을 파거나 모서리를 다듬는데 쓰인다. 여러가지 모양의 트리머비트 루터와 비슷하나 크기가 작고 힘이 더 약하다. 일반적으로 몰딩작업이 가능하다. 트리머비트 굉장히 큰 소음이난다. 루터보다는 약하지만 회전력이 강력한 전동공구이다. 방심하다가는 손목이 돌아간다. 모서리 둥글게 다듬기 01. 둥글게 다듬기 트리머비트로 교체한다. 02. 깍아야 하는 깊이 만큼 비트가 나오도록 가이드를 고정한다. 깊이 파야할때에는 조금씩 여러번 파낸다. 03. 목재를 작업테이블에 클램프로 잘고정한다. 04. 날방향을 바깥으로 하고 한손으로 꼭잡고 스위치를 킨다. 05. 천천히 날과 목재를 눈으로 확인하면서 깍는다.
  • 10. ѫ버튼 가이드판 직소 (Jig Saw) 자유곡선, 모양 따내기에 적합한 전동공구. 철재용, 목재용날이 따로있고, 거칠지만 빨리 잘리는 날, 속도는 좀 느리지만 곱게 잘리는 날 등 쓰임에 적합한 톱날로 교환해서 사용한다. 합판 모양 따내기 01. 합판에 따낼 모양을 스케치한다. 02. 쓰임에 맞는 톱날로 교체한다. 톱날 교체방법은 손잡이 안쪽에 명시되어 있다. 03. 가이드판을 합판면에 완전히 면을 접하게 한 뒤 손잡이의 빨간 ѫ버튼을 슬그머니 누르면 천천히 톱날이 상하운동을 하며 재단이 된다. 04. 재단 중 밑판(책상상판등)이 함께 잘리지 않도록 유의한다. 05. 톱날이 완전히 멈춘후 합판면에서 떼어낸다. 06. 재단하는 동안 톱날 앞부분에서 바람이 나오면서 톱밥을 날리므로 꼭 보안경을 쓰고하는것이 좋다.
  • 11. 홶쏘 지속버튼 회전방향 전환버튼 ѫ버튼 나무,철 공용 드릴비트 전동드릴 콘크리트 드릴비트 (Drill) 구멍을 뚫거나, 피스(나사)를 조일때 사용한다. 종류가 굉장히 많다. 일반드릴, 충전드릴, 임팩트드릴, 함마드릴, 등... 용도에 맞는 드릴비트를 쓰는것이 중요. 목재용, 철재용, 콘크리트용.. 나무에 구멍뚫기 01. 구멍뚫을 위치의 중심에 송곳으로 꾹찍어 표시를 한뒤 드릴비트의 중심을 잘맞춰 뚫는다. 02, 회전방향이 반대방향이면 나무가 타면서 구멍이 잘 안뚫린다. 03. 목재가 드릴 회전력때문에 휙돌아갈 수있으니 클램프로 조이거나 잘 잡는다.
  • 12. ѫ버튼 속도조절다이얼 집진필터 사포 전동 원형 샌더 (random orbit sander) 밸크로 타입의 사포를 장착해 사용할 수있는 원형샌더 표면을 갈아내는 전동사포기 사포 뒷면의 숫자는 높을 수록 곱다. 50방..100방..400방..1000방 등... 면 곱게 다듬기 01. 거친사포부터 고운사포순서로 쓴다. 02. 적당한 거칠기의 사포를 구멍에 맞춰 부착한다 03. 목재가 튕겨나가지 않도록 잘 고정한다. 04. 속도조절다이얼을 돌려 속도설정 후 샌더를 가동시킨다.
  • 14. 3X6합판 (尺) (910X1820mm) 4X8합판 (尺) (1220X2440mm) 두께 2.7t / 4.8t / 8.5t / 11.5t / 14.5t / 17.5t / 24t 각재 (h=3600mm) 33X21mm 1단12개 / 30X30mm 1단12개 / 33x33mm 1단12개 / 42x42mm 1단6개 / 33x69mm 1단6개 12자
  • 15. 약한 자급을 위한 생활의 4종기예 02. 전기
  • 17. 백열등기구의 구조 백열등기구의 구조는 굉장히 간단하다. 불이 안들어 온다면 소켓, 스위치, 플러그 3가지중 하나가 접촉불량이다. 아니면, 전구 필라멘트가 끊어졌거나. 전구는 밝을 수록 숫자가 높다. 너무 밝은(높은 와트의)전구를 사용할 때는 높은 와트의 전구를 꼿아도 되는 소재의 소켓인지, 전선의 용량이 맞는지를 확인해야한다.
  • 18. 형광등기구의 구조 백열등기구 보단 조금 복잡하지만 어렵지않은 구조이다. 원리를 알자면 조금 복잡하지만... 자기식안정기 형광등 요즘은 거의쓰이지 않는 방식 깜빡거리면서 불이 들어온다. 소음이 발생한다. 일명 쵸크다마 글로우램프가 있어야 시동을 걸 수있다. 전자식 안정기 형광등 전자회로로 이루어진 가벼운 안전기 깜빡거리거나 소음이 없다. 그 만큼 에너지는 소비가 적다.
  • 19. 형광등이 빛을 내는 원리 1)형광방전관: 형광물질을 바른 유리관에 아르곤과 수은을 넣고 밀봉하여 진공상태로 만든 관 으로 관 양쪽에 필라멘트 전극이 설치되어 있다. 전극은 이중 코일로 된 필라멘트에 산화바륨 이나 산화스트론튬 등의 산화 물질을 발라 높은 전압이 걸리면 쉽게 전자를 방출하여 방전을 일으키게된다. 수은 증기에 의하여 방사되는 빛은 90%가 눈에 보이지 않는 자외선으로,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을 내기 위해 유리관 안쪽에 형광물질을 칠해 놓는다. 결국 방사된 자외선이 형광물질을 자극하여 빛을 내게 되는 것이다. 2) 안정기와 글로우 램프는 고압을 만들어 방전을 시키고 방전이 일어난 이후에는 일정한 전류 가 흐르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형광등의 단점 중 하나가 방전 불꽃이 1초에 120번 깜박인다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 눈은 그렇 게 민감하지 않기 때문에 1초에 20번 이상 깜박이면 계속 켜져 있는 것으로 인식을 하는데 이 것을 잔상 효과라 하며 영화필름이 1초에 24장 바뀔 때 연속된 동작으로 느끼는 것과 같다. 형 광등의 수명이 다 되면 방전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깜박이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예전 자기식 형광등이 점등될 때 심하게 깜박이면 글로우 램프가 기능을 상실한 것이고 형광등 가장자리가 검은색으로 변하면서 불빛이 너울거리거나 깜박거리면 형광등 수명이 다 한 것으로 해석하면 된다. 요즘에 와서 인버터, 또는 바이오 스탠드라는 것이 나오고 있는데 형광등의 최대 단점인 깜박 거림을 해소시켜 주는 것이다. 가정용 전기는 1초당 60번 플러스 마이너스가 바뀌는 교류전원 인데 이를 전자회로를 이용하여 1초에 60Hz를 20,000~50,000Hz로 올려주기 때문에 60Hz를 공급할 때보다 깜박거리는 현상을 전혀 느낄 수가 없어 눈의 피로를 줄여주는 것이다
  • 21. ˳광등램 자기식 안전기 클립 플러그 글로우 토글 전선 램프 스위치 형광등 형광등 소켓
  • 22. 용가재 납땜기 거치대 크리너 납땜기
  • 23. 약한 자급을 위한 생활의 4종 기예 03. 재봉
  • 24. Ƹ루밵ӕ력 조절장치 실패 꽃이 받침 밑실 감기 장치 재봉틀 사용방법 윗실 조절 다이얼 ① 압력조절장치의 숫자를 재봉하고자 하는 천에 맞게 조정 한다. 얇은 천은 약하게, 두꺼운 천은 세게. ② 톱니조절장치를 천에 따라 맞춘다. 얇은 천은 0~1, 보통 천은 1, 두꺼운 천은 2에 놓고 재봉한다. 바늘땀수 돌림바퀴 ③ 윗실과 밑실을 약 15cm 정도 노루발 밑으로 꺼낸 다음, 조절장치 실채기가 가장 위쪽에 있을 때 천천히 바퀴를 안쪽으로 돌리 며 작동을 시작한다. ④ 윗실과 밑실의 조정을 알맞게 한다. 윗실은 노루발을 내 재봉 모양 선택 표시판 려 좋은 상태에서 실채기에 걸려 있는 실을 당겨본다. 조금 팽팽한 듯 하면서 끌려나오는 상태가 정상이다. 밑실은 실패의 실을 북집에 끼운 다음 당겨 보아 윗실과 같이 팽팽 하게 끌려나오는 상태라야 한다. 재봉모양 ⑤ 바늘·실·천의 조화가 잘 이루어져야 한다. 노루발 올림레버 선택다이얼 (노루발 뒤) 바늘은 항상 예리한지 살피고 실은 언제나 바늘구멍보다 가 노루발 늘어야 무리가 없으며 윗실과 밑실은 같은 굵기의 것을 사용 후진버튼 해야 한다. 전원 스위치와 플러그
  • 25. 약한 자급을 위한 생활의 4종 기예 04. 용접
  • 26. 아르곤가스 보호면 산소용접기 탁상그라인더 용접마스크 핸드그라인더 아르곤용접기 절단기 전기용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