ݺߣ

ݺߣShare a Scribd company logo
좁은 세상 네트워크 법칙의 진화
     Chapter 9

      SMLab/ 민경태
목차
1.   참 좁은 세상
2.   좁은 세상 네트워크
3.   커넥터
4.   결속형, 교량형 자본
5.   구조적 공백을 넘나드는 네트워크
6.   반향실 효과
1. 참 좁은 세상

    세상이 좁다고 느끼는 이유
 1. 유유상종 (homophily): 비슷핚 사람끼리 모여 있다.
 2. 인맥이 풍부핚 사람

  6단계 붂리 이론(six degrees of seperation): 모르는 사이끼리도 여섯
  명만 거치면 아는 사이가 된다는 법칙
2. 좁은 세상 네트워크(Small World Network)

  1998년, 던컨 와츠(Duncan Watt)와 스티브 스트로가츠(steve
  Strogatz)이 만든 이름.

   특징 2가지
 – 작은 그룹은 밀도가 높다(연결 상태가 조밀) ex. 페이스북, SNS
 - 큐모가 큰 그룹은 밀도가 낮다. (소그룹 패턴으로는 큰 그룹 생성 불가)
3. 커넥터

  연결성(Connectivity)과 효과성(Effectivity)

  커다란 네트워크 안에 뿔뿔이 흩어져 있는 사람들 사이에 연결고리를 만드는
  일졸의 외교사

  사진
Chp9 끌쏠들
4. 결속형, 교량형 자본
 결속형 자본(Bonding capital): 동질적 그룹 내에서 관게의 깊이와 신
 뢰가 커지는 것.

 교량형 자본(Briding capital): 이질적 그룹 안에서 관계의 수가 많아
 지는 것.

 하워드 딘 대통령

                                 차이가 궁금하다면,
                      10만원을 빌려줄 사람이 몇 명 있는가?
5. 구조적 공백을 넘나드는 네트워크
   시카고대학 교수 로날드 버트(Ronald Burt)의 <좋은 아이디어의 사회적 기
   원>
   첫째, 대부붂의 좋은 아이디어는 구조적 공백(structural holes)에서 다
   리 역핛을 하는 사람들에게서 나왔다.
   둘째, 이 구조적 공백에서의 다리 역핛은 지위나 연령 같은 기타 변수(둘
   다 인맥과 상관관계가 있다)를 통제해도 유효했다.

-> 좋은 아이디어는 자기 부서 밖에 지인이 있는 사람들에게서 가장 많이 나왔
다. 반면, 인맥은 넓지만, 그 인맥이 모두 같은 부서 안에 있는 관리자들이 내놓
은 아이디어는 높은 점수를 받지 못했다.
6. 반향실 효과 (echo-chamber effect)
  반향실 내 음향처럼 폐쇄 공간 안에서 같은 정보와 아이디어가 돌고 돌
  며 강화되는 현상

  ‚구조적 공백 위를 넘나드는 네트워크를 가진 사람들은 다양하면서도 서로
  상충될 때가 많은 정보와 그 해석에 다른 사람들보다 일찍 접근핛 수 있다.
  시시핚 아이디어가 날카로운 통찰이 될 수도 있다.‛

  개인적 특성보다 교량형 자본으로 인해, 좋은 ‘아이디어를 갖게 될 위험’이 크
  다.

More Related Content

Chp9 끌쏠들

  • 1. 좁은 세상 네트워크 법칙의 진화 Chapter 9 SMLab/ 민경태
  • 2. 목차 1. 참 좁은 세상 2. 좁은 세상 네트워크 3. 커넥터 4. 결속형, 교량형 자본 5. 구조적 공백을 넘나드는 네트워크 6. 반향실 효과
  • 3. 1. 참 좁은 세상 세상이 좁다고 느끼는 이유 1. 유유상종 (homophily): 비슷핚 사람끼리 모여 있다. 2. 인맥이 풍부핚 사람 6단계 붂리 이론(six degrees of seperation): 모르는 사이끼리도 여섯 명만 거치면 아는 사이가 된다는 법칙
  • 4. 2. 좁은 세상 네트워크(Small World Network) 1998년, 던컨 와츠(Duncan Watt)와 스티브 스트로가츠(steve Strogatz)이 만든 이름. 특징 2가지 – 작은 그룹은 밀도가 높다(연결 상태가 조밀) ex. 페이스북, SNS - 큐모가 큰 그룹은 밀도가 낮다. (소그룹 패턴으로는 큰 그룹 생성 불가)
  • 5. 3. 커넥터 연결성(Connectivity)과 효과성(Effectivity) 커다란 네트워크 안에 뿔뿔이 흩어져 있는 사람들 사이에 연결고리를 만드는 일졸의 외교사 사진
  • 7. 4. 결속형, 교량형 자본 결속형 자본(Bonding capital): 동질적 그룹 내에서 관게의 깊이와 신 뢰가 커지는 것. 교량형 자본(Briding capital): 이질적 그룹 안에서 관계의 수가 많아 지는 것. 하워드 딘 대통령 차이가 궁금하다면, 10만원을 빌려줄 사람이 몇 명 있는가?
  • 8. 5. 구조적 공백을 넘나드는 네트워크 시카고대학 교수 로날드 버트(Ronald Burt)의 <좋은 아이디어의 사회적 기 원> 첫째, 대부붂의 좋은 아이디어는 구조적 공백(structural holes)에서 다 리 역핛을 하는 사람들에게서 나왔다. 둘째, 이 구조적 공백에서의 다리 역핛은 지위나 연령 같은 기타 변수(둘 다 인맥과 상관관계가 있다)를 통제해도 유효했다. -> 좋은 아이디어는 자기 부서 밖에 지인이 있는 사람들에게서 가장 많이 나왔 다. 반면, 인맥은 넓지만, 그 인맥이 모두 같은 부서 안에 있는 관리자들이 내놓 은 아이디어는 높은 점수를 받지 못했다.
  • 9. 6. 반향실 효과 (echo-chamber effect) 반향실 내 음향처럼 폐쇄 공간 안에서 같은 정보와 아이디어가 돌고 돌 며 강화되는 현상 ‚구조적 공백 위를 넘나드는 네트워크를 가진 사람들은 다양하면서도 서로 상충될 때가 많은 정보와 그 해석에 다른 사람들보다 일찍 접근핛 수 있다. 시시핚 아이디어가 날카로운 통찰이 될 수도 있다.‛ 개인적 특성보다 교량형 자본으로 인해, 좋은 ‘아이디어를 갖게 될 위험’이 크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