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프로그램 개발 배경
세계화의 영향으로 다문화 가정이 증가함
But, 이에 따른 다문화 인식 교육은 부족
1.1
50000
청소년 다문화 수용성지수(KMCI) 비교
46954
40000
1년간 다문화 교육 받음
0.26
다문화 교육 전혀 받지…
1년간 다문화 활동 참여함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다문화 활동 참여 안함
62.23
30000
59.28
20000
10000
62.26
9389
↑
해외여행 및 거주 경험…
0
다문화 가정
해외여행 및 거주 경험…
2006 2007
2008 2009
학생 비율
다문화 가정 →
0
20
40
2012년 전국 100개 중고교 2500명 대상 조사. 100점 만점. 자료: 여성가족부
학생수 추이
59.97
61.46
59.52
2010 2011
60
2012
14. 차별화전략 미시적설계
1
문학을 이용한 다문화 교육
2
차별 경험 수업을 통한 내면화
3
학습자의 문제 상황 개입 및 재창조
4
이주배경 청소년들과 함께하는 다문화캠프
15. 차별화전략 미시적설계
1
2
3
4
다양한 상황에 대한 갂접경험, 다른 독자와
정서적 공유, 현상에 대한 새로운 시각 제공
차별의 부당함 내면화
문제 상황의 심각성에 대핚 인지,
스스로 문제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힘
다문화배경에 대한 이질성과 두려움 제거,
학습의 내용을 실제적으로 적용
17. 차별화전략 미시적설계
첫째,
다문화 이해 넓히기
둘째,
다문화 편견 지양하기
여러 가지 문화와 우리나라 문화를 비교, 체험하면서
‘차이’에 대해 인지하기
①인지 변화: ‘차이’와 ‘차별’이 다르다는 것,우리나라 다문화 상황,
올바르지 않은 태도 인지하기
②정서적 공감: 차이로 인해 차별당할 때의 마음 공감적 이해,
다문화 가정 친구들이 당하는 부당한 차별에 대한 공감
③행동변화 촉구: 차별 지양적 자세 가지기
→ 태도 변화의 시작점
셋째, 다문화를 대하는 우리 자세
①정서적 공감: 다문화배경 친구들이 겪는 어려움 이해
②행동변화: 부당한 상황에 개입, 창조적 활동을 통해 다문화 친구들을
대하는 자세에 대한 연습
넷째,
캠프
실제적 접촉, 그 동안의 인식 및 변화 과정을 총체적이고 실제적으로
적용하기 → 낯섦과 두려움 제거
19. 차별화전략 미시적설계
2 다문화 편견 지양하기
(6-10주차)
6차시
차별 체험 후 의견 나누기
7차시
다문화 관련 차별 경험 생각해보기
8차시
드라마 「깜근이 엄마」 감상하기
9차시
드라마 「깜근이 엄마」 시나리오 감상 후 드라마내의
문제상황 파악하기, 다문화 관련 차별에 대한 짧은
글짓기
10차시
EBS 다큐 프라임 영상을 보고 실제 생활에서의
다문화 차별 인식하기
20. 차별화전략 미시적설계
3 다문화를 대하는 우리 자세
(11-15주차)
11차시 다문화 친구들을 대하는 올바른 자세 토의하기
12차시 「깜근이 엄마」의 명근이를 대하는 올바른 자세 정의
13차시 학생들이 드라마 「깜근이 엄마」의 시나리오를 재구성
14차시
드라마 「깜근이 엄마」의 새로운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직접 UCC를 제작하기 위한 준비하기
15차시 본격적으로 UCC제작하기
21. 차별화전략 미시적설계
4 다문화 캠프
다문화 아동에 대한 편견을 실제적으로 깨보는 과정을 통해 다문화
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내면화 시키는 것을 넘어서 프로그램에서 나
누었던 이야기들을 실천해볼 수 있다.
-일반 학생:다문화 아동 비율이 5:2 정도 되도록 조를
짜서 캠프 기간 동안 함께 한다.
-캠프 활동은 주로 조별 게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다문화 아이들과 친해질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
-캠프가 끝나면 수료증과 문집을 증정한다.
30. 자체평가
다문화 전문가도 아니고, 초등학교에서 아이들을 만나본 경험 없이 설계핚 프로그
램이기 때문에 핚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핚다. 또핚 각 차시 마다 40분이라는 시갂
에 비하여 많은 내용과 활동을 담으려다보니 학생과 교사에게 많은 부담을 지울 수
있다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그러나 ‘다문화’에 대핚 인식이 우리 스스로도 부족했음을 알았고,
그래서 더욱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느끼고 진지핚 자세로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개
발하고자 하였다. 인지와 정서, 태도를 모두 다룰 수 있는 문학을 활용핚 점, 그 문
학을 보고 듣고 향유핛 수 있게 구성핚 점 그리고 실제적인 다문화 접촉을 꾀했다
는 점은 이 프로그램에서 보여주는 고민의 흔적이다.
핚 학기 동안 열심히 프로젝트에 참여핚 만큼 값진 결과물이 나온 것 같아서 뿌듯
하다. 미래에 우리 프로그램이 실현된다면 정말 좋겠다는 상상도 핛 만큼 의미 있
는 시갂이었다.
그리고………팀원사랑♥ 우리프로그램 사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