ݺߣ

ݺߣShare a Scribd company logo
생명의숲은 1998년 생명의 숲가꾸기를 통해 건강한 사회를 만들고자 창립되었습니다.
        생명의숲은 지속가능한 사회, 녹색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시민과 함께 나무를 심고 숲을 가꾸는 숲 환경단체(NGO)입니다.
                       .

 서울시 마포구 성산동 209-4 숲센터 5층 ☎ 02-735-3232 Fax 02-735-3238
                    www.forest.or.kr
누가 왜 시작하였나

창립 배경   14년 전, 대한민국은…

              IMF경제위기로       가꾸어주지 않아
               인한 실업문제       죽어가는 우리숲

                         생명의숲
              환경문제중요성        새로운 시민운동
               사회인식확산        모델에 대한 관심

          생명의숲 사명 및 목적

        •어린 숲을 잘 가꾸고 키워나감으로 산림자원 및 국토/환경보전에 기여
        •고용 및 자원봉사 기회를 창출하여 국가발전 및 국민역량 결집
        •국토, 자연, 산림, 이웃을 사랑하는 국민정신함양 및 생명존중문화 구현
생명의숲, 어떤 활동을 하고 있나

주요 활동

                 •숲가꾸기 시범사업 진행(10개소)
        숲가꾸기운동   •지속가능한 산림경영모델 제시
                 •실직자 일자리 창출



                 •산림정책 모니터링
        산림정책운동   •산림정책 제도개선 : 숲가꾸기, 도시숲,
                  학교숲, 산촌, 산림휴양, 등산로 정책 등



                 •기후변화그린네트워크(CCGN)
        시민사회연대
                 •골프장 반대 운동
         운동      •4대강 반대 운동
생명의숲, 어떤 활동을 하고 있나

                  •지역사회 거점으로서의 학교숲
주요 활동
        학교숲운동     •전국 약 800여개 학교숲 조성
                  •과정/참여/활용 중심의 학교숲운동

                  •녹색도시공동체 만들기
        도시숲운동     •도시숲 가꿈이 양성
                  •세계평화의숲 조성 및 아파트숲 조성
                  •숲을 통한 녹색복지 향상
        사회복지시설숲
                  •생활아동들의 생태적 감수성 증진
          운동      • 수혜공간에서 나눔공간으로의 전환

                  •등산에서 ‘산행’으로/등산로에서 ‘숲길’로
         숲탐방운동    •전국 50여개 훼손된 숲길 복원
                  •자연친화적인 숲탐방문화 확산

                  •사라져가는 전통마을숲 및 마을문화 복원
        농산촌보전운동   •전국 50여개 전통마을숲 복원
                  •생태건축, 산촌유학 등 산촌네트워크구축
생명의숲, 어떤 활동을 하고 있나

주요 활동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생활실천 운동
        문화교육운동   •숲체험만이 아닌 돌봄과 가꿈의 숲교육
                 •숲교육활동가 양성



        아름다운숲    •보전가치가 있는 아름다운 숲 발굴
                 •11년간 182곳의 아름다운숲 선정
         전국대회
                  – 시민의숲, 전통마을숲, 학교숲, 천년의숲



                 •건전하고 환경친화적인 예식문화 보급
         러브그린
                 •결혼식 탄소배출상쇄를 위한 숲조성
         캠페인     •결혼식당 평균 80여그루의 나무필요
누구와 함께 하며, 어떻게 운영되는가
        1% 2% 4% 1%
회원 현황    4%                   일반     약 3,300여명의 회원과 함께!
                              가족     (전국 14개 조직, 9천여명의
         7%                   지도      회원과 함께!)
                              청소년
                        52%   단체
         29%                  기업
                              후원
                                          매달 5천원의 회비는 1년에
                              평생
                                          50그루의 나무를 심는 효과



재정 현황   수입                          지출
                5% 6%                      4%
                        5%
                                                16%
                              회비                      6%   인건비
                              후원금                          운영비
                              사업비                          사업비
                              기타                           기타
               84%                       74%
누구와 함께 하며, 어떻게 운영되는가

전국생명의숲

                          춘천생명의숲

                             강릉생명의숲
         중앙생명의숲

                              태백생명의숲
            충북생명의숲
                          대구생명의숲
         대전충남생명의숲
                               포항생명의숲
          전북생명의숲
                               울산생명의숲

         광주생명의숲                부산생명의숲


         목포생명의숲               경남생명의숲
생명의숲, 어떤 특성이 있나

주요 특성               숲전문
                    시민운동


          민관기업               대안제시
          파트너십               포지티브




            현장중심           네트워크
             참여형            운동

                    숲가꿈이 모임(관악산/세계평화의숲)
                    숲교육활동가 모임(라온숲)
                    숲식물공부 모임(숲누리식물교실)
                    대학생/청년 모임(청년숲)
                    백두대간 모니터링 모임(백두야)
                    사회복지시설모니터링 모임(움틈) 등 시민모임운영
생명의숲, 무엇을 꿈꾸는가

 생명의숲
비전2020




              1998년   2020비전

              숲가꾸기    숲공동체

More Related Content

생명의숲 활동소개

  • 1. 생명의숲은 1998년 생명의 숲가꾸기를 통해 건강한 사회를 만들고자 창립되었습니다. 생명의숲은 지속가능한 사회, 녹색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시민과 함께 나무를 심고 숲을 가꾸는 숲 환경단체(NGO)입니다. . 서울시 마포구 성산동 209-4 숲센터 5층 ☎ 02-735-3232 Fax 02-735-3238 www.forest.or.kr
  • 2. 누가 왜 시작하였나 창립 배경 14년 전, 대한민국은… IMF경제위기로 가꾸어주지 않아 인한 실업문제 죽어가는 우리숲 생명의숲 환경문제중요성 새로운 시민운동 사회인식확산 모델에 대한 관심 생명의숲 사명 및 목적 •어린 숲을 잘 가꾸고 키워나감으로 산림자원 및 국토/환경보전에 기여 •고용 및 자원봉사 기회를 창출하여 국가발전 및 국민역량 결집 •국토, 자연, 산림, 이웃을 사랑하는 국민정신함양 및 생명존중문화 구현
  • 3. 생명의숲, 어떤 활동을 하고 있나 주요 활동 •숲가꾸기 시범사업 진행(10개소) 숲가꾸기운동 •지속가능한 산림경영모델 제시 •실직자 일자리 창출 •산림정책 모니터링 산림정책운동 •산림정책 제도개선 : 숲가꾸기, 도시숲, 학교숲, 산촌, 산림휴양, 등산로 정책 등 •기후변화그린네트워크(CCGN) 시민사회연대 •골프장 반대 운동 운동 •4대강 반대 운동
  • 4. 생명의숲, 어떤 활동을 하고 있나 •지역사회 거점으로서의 학교숲 주요 활동 학교숲운동 •전국 약 800여개 학교숲 조성 •과정/참여/활용 중심의 학교숲운동 •녹색도시공동체 만들기 도시숲운동 •도시숲 가꿈이 양성 •세계평화의숲 조성 및 아파트숲 조성 •숲을 통한 녹색복지 향상 사회복지시설숲 •생활아동들의 생태적 감수성 증진 운동 • 수혜공간에서 나눔공간으로의 전환 •등산에서 ‘산행’으로/등산로에서 ‘숲길’로 숲탐방운동 •전국 50여개 훼손된 숲길 복원 •자연친화적인 숲탐방문화 확산 •사라져가는 전통마을숲 및 마을문화 복원 농산촌보전운동 •전국 50여개 전통마을숲 복원 •생태건축, 산촌유학 등 산촌네트워크구축
  • 5. 생명의숲, 어떤 활동을 하고 있나 주요 활동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생활실천 운동 문화교육운동 •숲체험만이 아닌 돌봄과 가꿈의 숲교육 •숲교육활동가 양성 아름다운숲 •보전가치가 있는 아름다운 숲 발굴 •11년간 182곳의 아름다운숲 선정 전국대회 – 시민의숲, 전통마을숲, 학교숲, 천년의숲 •건전하고 환경친화적인 예식문화 보급 러브그린 •결혼식 탄소배출상쇄를 위한 숲조성 캠페인 •결혼식당 평균 80여그루의 나무필요
  • 6. 누구와 함께 하며, 어떻게 운영되는가 1% 2% 4% 1% 회원 현황 4% 일반  약 3,300여명의 회원과 함께! 가족 (전국 14개 조직, 9천여명의 7% 지도 회원과 함께!) 청소년 52% 단체 29% 기업 후원 매달 5천원의 회비는 1년에 평생 50그루의 나무를 심는 효과 재정 현황 수입 지출 5% 6% 4% 5% 16% 회비 6% 인건비 후원금 운영비 사업비 사업비 기타 기타 84% 74%
  • 7. 누구와 함께 하며, 어떻게 운영되는가 전국생명의숲 춘천생명의숲 강릉생명의숲 중앙생명의숲 태백생명의숲 충북생명의숲 대구생명의숲 대전충남생명의숲 포항생명의숲 전북생명의숲 울산생명의숲 광주생명의숲 부산생명의숲 목포생명의숲 경남생명의숲
  • 8. 생명의숲, 어떤 특성이 있나 주요 특성 숲전문 시민운동 민관기업 대안제시 파트너십 포지티브 현장중심 네트워크 참여형 운동 숲가꿈이 모임(관악산/세계평화의숲) 숲교육활동가 모임(라온숲) 숲식물공부 모임(숲누리식물교실) 대학생/청년 모임(청년숲) 백두대간 모니터링 모임(백두야) 사회복지시설모니터링 모임(움틈) 등 시민모임운영
  • 9. 생명의숲, 무엇을 꿈꾸는가 생명의숲 비전2020 1998년 2020비전 숲가꾸기 숲공동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