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0회 생명공학정책연구포럼에서 발표한 자료입니다. 우리나라가 현재의 위치에 오기 까지의 지난 100년간의 역사를 되돌아보고, 우리나라 생명공학의 정책, 성과, 향후 비젼과 목표, 마지막으로 생명공학이 어떻게 박근혜정부의 창조경제 실현에 기여할 수 있는 지를 제안하고, 마지막에는 이를 위한 우리의 각오를 담았습니다. 앞으로 5년이 아니라 향후 10-20년 이후를 바라보고 일을 하는 우리나라 정부가 되기를 간곡히 바랍니다.
1 of 28
More Related Content
창조경제와 생명공학
1. 생명공학육성법 제정 30주년 기념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수립 20주년 기념
(제40회 생명공학정책연구포럼 발표자료)
2013. 4. 4
장수익
(충북대학교)
9. 그리고, 얻은 성과는....
’11년 바이오 G7
강국 진입
정부예산 확충 : 1조 5,916억원
기술경쟁력 확보 및
과학•기술논문 창출 : 11위(’10년) 산업적 성과 창출 가시화
특허기술 경쟁력 : 15위(’10년)
7위
연구개발인력 양성 : 5,447명 연구성과 및 11위 (2차 1단계)
산업화 시장 창출 : 19.1조원 * 산업 성과 창출
12위 (3단계)
연구성과 15위 (2차 1단계)
창출
15위
15위 (3단계) 신약17개 (누적)
연구정책 (2단계)
및 시스템 정비
17위 (2단계) 신약13개 (누적)
21위
SCIE기준 (1단계)
한국논문게재
신약8개 (누적) 미국등록특허기준 한국기술력지수 순위
건수 순위 국내 최초
(단계별 평균순위]
22위 신약 개발
신약5개 (누적)
(1단계)
BT 벤처 붐
29위 (500여개 탄생)
’94 ’97 ’98 ’01 ’02 ’06 ’07 ’11 ~’16
1단계('94~'97) 2단계('98~'01) 3단계('02~'06) 2차 1단계('07~'11)
* 19.1조원 시장은 바이오 산업 분야와 제약 분야를 포함한 넓은 의미의 바이오 시장 9
10. 그리고, 투자, 바이오산업 생산규모의 확대로 이어져..
|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전략적 투자 확대 및 바이오 산업 규모의 급격한 성장
2000년대 본격적으로 R&D 투자 증가 (매년 평균 약 23% 증가)
※ '94년 536억원 → '00년 2,364억원 → '11년 1조 5,011억원의 급격한 증가추세
국내 바이오산업 생산규모는 지난 5년간 약 2배 증가(3.1조원(‘06)→6.2조원(‘10))
※ ('94년) 1,735억원, (‘06) 31,595억원, (‘10년) 61,604억원, (’12년) 94,901억원 (예상치, 한국산업마케팅연구소)
- 또한, 최근 3년간(’08-’10) 생산증가율은 16.8%이며, 일반제조업 4.8%의 약 3.5배
< 생명공학분야 정부투자 현황(1994~2010) > < 국내 바이오산업 수급규모(2006~2010) >
출처 : 연차별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 교육과학기술부 (단, 2011년은 계획치임) 출처 : 지식경제부 국내바이오산업실태조사(2012)
12. 생명공학과 창조경제는 어떻게??
| BT기반 ICT 창조경제
“BT를 기반으로 ICT를 포함하는 현존하는 기술과 문화를 융합”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경제
(생명공학) x (ICT+NT+GT+ST+ET+문화) = BT기반 창조 산업 + 새로운 일자리
국민 정부 출연연 연구자 산업체 대학교
(필요요소) 국민의 동의 및 지지 + 부처간 협력 및 칸막이 제거 + 출연(연)간의
협력 및 융합 + 수요자 중심의 연구 + 산업체간의 M&A 및 협력 +
대학간 인력교육의 연계, 통합 및 융합
13. BT가 다른 기술과 만나서 융합을 하면....
|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은 새로운 혁신기술이 창출됨
차세대유전체해독기술(NGS) 장비 및 1인당 유전자 분석 비용
14. BT가 다른 기술과 만나서 융합을 하면....
|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은 새로운 시장이 창출됨
- 미 포스브(Forbes)지는 20년 내 유전체 분석시장의 1,000억불 규모 확대 전망
※ ’10년 유전체 분석 시장은 약 41억불 규모 추산
<유전체 관련 시장 성장 예상 규모(2030년)>
구분 내용 예상 규모
암 시장 유전체 검사, 암 관련 맞춤형 치료제 개발 및 소비 시장 약 400억 불
원인 불명의 증상과 희귀 질병, 혹은 유전적 위험 요인 검사를 위한
유전질환 시장 시장 및 새롭게 발견되는 질환의 유전적 데이터를 해석하기 위한 약 200억 불
유전체 정밀 검사 시장
전염 병 발 생 경 로 추적 및 병 원, 공항 , 대형 쇼핑몰과 같은
전염병 시장 약 100억 불
공공장소에서 병원균 식별 시장
개인 게놈지도 유전체 분석 검사의 시장 가격이 2,000불 이하로 낮아질 경우, 개인
약 100억 불
분석 시장 유전체 지도 작성이 활발해 질 것
보다 나은 육종 및 품종 선별을 통해 수확율 극대화를 위한 최적의
농업 시장 약 50억 불
씨앗 선별 및 생산
그 외 응용 산업 바이오 연료를 디자인, 새로운 효소 개발 등 방대한 분야의 응용 약 150억 불
출처 : Forbes(2011)
15. BT가 다른 기술과 만나서 융합을 하면....
|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은 새로운 제품이 창출됨
BT와 ICT, BT와 NT간의 융합기술의 예
- KAIST 박현규 교수팀, 손가락을 통해 터치스크린에 전달되는 생체정보를 인식
※ 모바일 기기를 터치하는 것만으로 DNA의 유무와 농도를 측정
- 생명(연) 정봉현 박사팀, 풀러렌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초민감도 진단기술개발
※ 생명(연) 정봉현 박사 - “나노와 생명과학은 ‘이종교배’ 연구이며, 기초원천을 기반으로 한 융합기술 분야에 투자
한다면 새로운 산업을 창출 가능”
<스마트폰 적용 가능 질병진단 기술> <생체친화적 풀러렌 나노입자>
16. BT는 일자리를 창출하는 기술
| 미국의 생명공학과 일자리 창출 사례
미국의 바이오산업은 꾸준한 성장을 통해 고임금, 고성장 산업으로 정착 중
- 미국의 주요 경제산업과 비교하였을 때, 바이오산업은 현재 미국 내 고품질의
일자리 창출을 선도
※ 지난 10년(’01~’10)간 미국 내 대다수 분야에서 일자리손실이 발생하였으나, 바이오산업은 6.4%의 고용 증가 발생
<미국의 바이오산업 및 지식기반산업의 고용트랜드 분석(’01-’10)>
17. BT는 일자리를 창출하는 기술
| 한국의 생명공학과 일자리 창출 사례
BT 기술융합을 통해 1000만불 수출 달성 및 고용우수 중소기업으로 성장
※ 1998년 창립, 직원 3명으로 시작, 현재 150명 (고용증가율 5000%)
※ 2011년 74명, 2012년 54명의 고용창출(고용증가율 73%)
※ 정규직 비중 81%(고용노동부장관상 수상)
<혈액 한 방울로 성인병 현장 진단(바디텍 메드)>
한림대
최의열교수
18. 우리는 할 수 있는 역량이 있는가?
| 임상연구 능력의 급속 성장
2011년 국내 승인 임상시험은 503건(전년 대비 14.6%) 증가
- 전세계 R&D 투자 감소(’08년) 이후로도, 다른 나라와 달리 꾸준한 성장률을 보임
☞ 전반적인 임상시험 수행 역량의 강화로 인한 성장으로 해석됨
글로벌 임상시험 등록건수 역시 큰 성장(’06년, 22위 → ’11년, 12위)을 보임
<한국식약청 승인 임상시험 건수> <임상시험 국가순위>
출처 : 국가임상시험사업단 (2011)
19. 우리는 할 수 있는 역량이 있는가?
| 바이오산업 경쟁력 확보
1980년대 : 복제의약품
1990년대 : 개량신약
2000년대 : 신물질 신약개발
※ 현재까지 순수신약 19개, 개량신약 8개, 백신 30개, 천연물신약 6개 허가
최근, 바이오 의약품의 임상시험 승인의 빠른 증가세가 관찰됨(연평균 21%)
<바이오의약품 임상시험 승인현황>
출처 :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청(2012)
재생의학 분야의 기술역량 확보를 통해 개인 맞춤형 예방 및 치료 산업 증대
※ 3개 기업의 줄기세포 치료제 시판 및 총 25건의 임상시험 진행 중
57개의 상장 바이오기업 활동 중
※ KOSPI 등록 바이오기업 7개, KOSDAQ 상장 바이오기업 50개 등 (2012년 10월 기준)
20. 우리는 할 수 있는 역량이 있는가?
| 대기업의 바이오사업 투자 증가
삼성, SK, LG, 한화 등 대기업의 바이오사업 참여 증가
삼성 : 2010년 바이오·헬스 분야를 신수종사업으로 선정
※ 삼성메디슨(2010) 의료기기/ 삼성바이오로직스(2011) 바이오의약품/ 삼성바이오에피스(2012) 바이오시밀러/
삼성지놈닷컴(2011) 유전자분석/ 삼성석유화학(2011) 바이오연료 등
엘지 : LG 생명과학을 중심으로 바이오사업 추진
※ 성장호르몬 벨트로핀 미 FDA승인/ 바이오시밀러 임상시험/ 오송 의약품생산공장 건설/ 당뇨병 치료제 제미글로(’12)/
대구광역시와 공동으로 스마트케어 시범사업(LG전자)
SK : 헬스케어, 에너지, 신약 등에 투자
※ SK바이오팜(2011) 헬스케어 사업/ SK 텔레콤의 헬스케어 사업부문 신설 및 중국 헬스케어 시장 진출/
SK에너지의 바이오 연료 투자/ SK케미칼의 백신, 바이오의약품, 천연물 신약 개발 투자
한화 : 바이오·태양광 등을 미래성장동력사업으로 선정
※ 엔브렐 바이오시밀러 ‘HD203' 품목허가(’12)/ 바이오시밀러 생산공장 건립 중(오송)/ 의약품, 비만치료제 및 에스테틱
사업(한화드림파마)
기타 : KT&G(영진약품 인수, 생명과학 분사 등), KT(세브란스병원과 헬스케어 합작
회사 설립), 현대중공업(의료용 로봇 개발) 등
21. 이러한 역량을 시험, 발휘할 수 있는 시스템은?
| R&D로 부터 신약개발 및 의료 서비스까지 One-stop 신개념 프로세스
BT를 통한 창조경제의 총합 프로젝트(대구, 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
정부 BT 투자 및
융합 기술의
테스트베드이자
세게적 규모의 시도
22. 따라서, 이제 우리가 하여야 할 일은!
| 바이오산업의 기간산업화를 위해 정부 및 산학연의 새 각오 및 혁신 필요
바이오산업의 미래에 대한 국민의 믿음과 동의 필요
※ 의견 수렴 / 동의 / 계획 / 성실한 실행을 통한 대국민 신뢰 확보
정부
- 관련 부처 내 R&D 통합 으로 정부 투자 효율
극대화 방안 마련
- BT전담 부처 수립 추진을 통해 정부 R&D효율
극대화 및 BT 국가 기간 산업화 방향성 제고
※ 가칭 ’바이오과학기술산업부’ 제안
23. 따라서, 이제 우리가 하여야 할 일은!
| 바이오산업의 기간산업화를 위해 정부 및 산학연의 새 각오 및 혁신 필요
출연(연)
- 바이오 경제 중심의 출연(연)-관련 연구소의 융합
출처 : 조선일보
Big Bio
산업계
- 산업체 M&A 활성화를 통한 글로벌 시장 경쟁력 확보
※ 글로벌 경쟁력을 갖는 바이오 전문 대기업 탄생 필요
출처 : European Bioeconomy 2030
24. 따라서, 이제 우리가 하여야 할 일은!
| 바이오산업의 기간산업화를 위해 정부 및 산학연의 새 각오 및 혁신 필요
연구자
- 연구자 중심의 연구를 지양하고 국민이 원하는 수요자 중심의 연구수행
대학교
- 바이오 경제 관련 학과 연계 운영을 통해 바이오산업의 국가기간산업화 기반 마련
※ 의약학, 수의학, 농학, 자연과학, 공학, 법학 및 인문사회학을 망라하는 통합/융합/창조형 바이오 인재 양성
- 통합 융합바이오 대학원 운영을 통한 창조경제형 바이오 산업인력 배출
농학 창조경제형인력
바이오 의약학
인문사회학
출처 : 조선일보
공학 수의학, 자연과학
출처 : business.vic.gov.au 가공
25. 그리고, 우리는 세계와 함께....
| 과거: 1960년대 독일 근로자 파견을 통한 한국 경제 밑거름 마련
파독 근로자들이 송금한 외화(1억여 불) 및 차관(3천만불)은 한국 경제 발전의
밑거름이 됨
※ 1963년부터 1977년까지의 파독 근로자 : 광부 7936명, 간호사 11,057명
☞ 1963년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은 100달러 → 반세기 후 세계 15위 경제대국(GDP 기준)으로 성장
출처 : 조선일보
2013년은 독일에 광부가 파견된 지 50주년이자 한·독 수교 130년의 해
- 제 2의 미래형 한독 협력을 통해 창조적인 글로벌 협력 체제 수립 구상
과거: ① 뛰어난 독일의 과학 장비 및 도구 제작 기술, ② 자동차 산업 등 중공업 협력, ③ 고속도로 건설 등 인프라 구축
미래: 바이오/의료/기기 산업 협력
26. 그리고, 우리는 세계와 함께....
| 미래: 한국의 ICT와 독일의 BT를 융합, 바이오경제시대의 동반자
-최근 10년간 가장 성장이 두드러진 베를린-브란덴부르크 바이오클러스터
(유전자 분야 및 프로테옴 연구분야에 특화)
-유럽 최대의 임상수행 기관 Charite 가 존재
27. 그리고, 우리는 세계와 함께....
| 갈등을 넘어 협력으로, 협력을 넘어 공동체로
유라시아-태평양 글로벌 창조경제를 위한 전략적 요충지
☞ 동·서·남해안 등 대내외 접점지대인 3개 연안지역과
대북접경지역을 중심으로 초광역벨트를 구축하여
대외개방적이고 해양지향적인 구조를 형성 가능
- BT 기술 및 자원 공유를 통한 동아시아의
창조적 경제 협력 체제 구상
※ 글로벌 BT 기술 지원 사업,
자원 제공 및 이용 기술 공동 개발 등 실질적인 경제 협력
출처 : 이하원, 권경복, 조선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