ݺߣ

ݺߣShare a Scribd company logo
학교텃밭 활성화와 지속가능 방안을 위한 토론회(여성환경연대)

섵Ӛ특별시

섵Ӛ특별시 학교농장 조성 지원사례

섵Ӛ도시농업

2013. 11. 8.

섵Ӛ특별시
(민생경제과)
Ⅰ.
Ⅱ.
Ⅲ.
Ⅳ.
Ⅴ.

2
Ⅰ. 추진배경

섵Ӛ도시농
업

• 추진목적
학교 내 열린 공간을 논, 밭 분위기로 조성하여 교육프로그램으로 활용 및 농원으로이용해
학생 정서함양과 체험 학습으로 우리농산물 이해와 소중함 인식공간으로 활용

3
Ⅱ. 사업개요

섵Ӛ도시농
업

• 사업개요
○ 사업량 : 73개교(’12년 30개교, ’13년 43개교)
○ 대상 : 농지형, 화분형으로 텃밭을 조성 165㎡ 내외
- 1교1촌 자매결연 등 농업, 농촌 체험학습에 열의가 높고 학교농장 특화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는 학교 우선 선정

• 추진방법
○ 섵Ӛ시와 섵Ӛ시교육청 · 농협중앙회 협력추진(프로그램은 학교자체 운영)

섵Ӛ시

섵Ӛ시 교육청 · 학교

섵Ӛ시 농업기술센터

농협중앙회(’13년)

텃밭조성 기본계획 수립
및 사업비 지원

학교선정, 텃밭조성,
운영관리 및 프로그램 운영

영농기술지도

체험프로그램 운영

4
섵Ӛ도시농
업
2012년 · 2013년 비교

2012년

2013년

(125백만원)

(400백만원)

신규 30개소

신규 47개소

• 섵Ӛ시 : 계획수립, 사업비 지원 및 기관간 협의

• 섵Ӛ시 : 계획수립, 사업비 지원, 기관간 협의

• 섵Ӛ시 교육청 : 대상학교 공모 및 선정, 운영세부기준 마련

• 섵Ӛ시 교육청 : 대상학교 공모 및 선정

• 개별학교 : 농장조성 및 운영관리

• 농협중앙회 : 농촌체험 프로그램 운영(하반기)

※ 농촌마을 체험 및 프로그램 운영 : 개별학교

• 개별학교 : 농장 조성 및 운영관리

5
섵Ӛ도시농
업
섵Ӛ시, 교육청 지원 조성현황
(2013. 6월 기준)
구분

총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특수학교

1,320

594

380

317

29

2011년

5

4

1

2012년

30

25

4

2013년

47

46

1

소계

82

75

6

연도
전체학교

기추진

비고

교육청지원
1

섵Ӛ시(25개) 및 교
육청(5개) 지원

기술센터 4포함
1

6
섵Ӛ도시농
업
’12년 학교농장 조성 조사 자료(섵Ӛ시 교육청)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개소

377개소

429개소

92개소

35개소

노지

54,178㎡

30,211㎡

7,007㎡

9,958㎡

옥상

6,562㎡

6,063㎡

3,272㎡

1,717㎡

전체대비
비율(면적)

51%

30%

9%

10%

7
섵Ӛ도시농
업

• 일자리 창출
학교추진
○ ’13년 신규조성 사업비 500만원 중 20~50만원 도시농업 전문가 강사료
- 학교농장 운영으로 학교농장관리인(도시농업전문가) 일자리 창출
- 조성학교 : 73개교(신규43, 기존 30)에 72명 고용

학교추진(농업기술센터)
○ 섵Ӛ형 뉴딜일자리(학교농장 지도사) 교육사업 추진
- 예산 : 151,500천원

- 교육기간 : ‘13. 8.12 ~ 12. 6(16주간)
- 30개교 선정
- 교육내용 : 도시농업, 학교농장 조성, 재배관리 이론과 현장기술
※ 농업기술센터에서 양성한 도시농업전문가를 선발 학교별 전담배치 교육

8
Ⅲ. 개선사항

섵Ӛ도시농
업

• 개선사항(’12년 → ’13년)
○ 학교 텃밭 담당자의 텃밭프로그램운영 관련정보 공유 기회가 없고, 프로그램 운영관계자 교육이
필요하며, 장기적 텃밭교육이 자리잡을 수 있도록 지역사회연계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필요
(도시농업 전문가 강사료 지원-농장조성비에 강사료 포함)

○ 학교농장조성이 ’12년 신규사업으로 ’13년 운영비 마련 여럼움
→ ’12년 조성학교에 운영비 지원(200백만원), 체험활동(200백만원) 지원

• 향후 개선 필요
○ 학교장, 담당선생님 의지에 사업 향후 지속성 유지
○ 권역별 학교텃밭 지원센터 설치를 통한 체계적 지도 · 지원
○ 지역공동텃밭을 통한 지역사회의 커뮤니티 활성화

9
Ⅳ. 우수사례

섵Ӛ도시농
업

• 학교 전체 공통 추진내용
○ 농촌체험 기회로 농사일의 어려움과 농촌을 이해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우리 농산물의 중요성과 자긍심 고취
○ 로컬푸드, 친환경농산물 이해 기회를 제공, 텃밭(환경)동아리 활동 추진
○ 수확물을 활용 김장담그기 행사 진행(일부학교 불우이웃돕기로 지역과 연계)
○ 학교 실과 교육 등 교과과정연계 적용
○ 재배활동을 통해 쓸모없다고 생각되어지는 풀, 곤충들에 대한 관찰로 자연과 생명에 대한 소중함과 다양한 친환경

먹을거리를 학교 내에서 싹트고 자라고 수확까지 보는 기회제공, 식물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짐
○ 자매결연 농촌 특산물을 학교 지역주민과 학부모에게 소개로 도농 상생 계기 마련
○ 직접 수확하는 체험을 한 결과 학생들이 음식의 소중함과 노력과 정성을 들여 키운 채소를 함부로 남기면 안 된다는
생각으로 급식시간 잔반이 줄어드는 효과 거행
○ 평소 싫어했던 채소류를 직접 재배 수확함으로써 선호하는 음식재료로 변모
○ 식물재배 관찰일기 쓰기, 나의 식물 자랑하기(그리기, 글짓기 등 다양한 형태로 발표)
○ 고무통 논 충남도청 지원 벼재배 체험활동(모심기, 가꾸기, 추수하기) 전개

10
섵Ӛ도시농
업

• 개별학교 추진내용
○ 일원초, 세륜초 : 잡초가 무성한 땅이나 건물 뒤편 쓰레기 쌓인 공간을 치우고 다양한 작물과 야생화(100여종)식재
⇒ 수업시간 교재원 활용 및 자발적 참여를 위해 작물관리 학생들에게 자원봉사 시간 적용
○ 청룡초 : 1인 1화분 가꾸기(주머니텃밭), 로컬푸드 친환경 농산물 이해증진
○ 용마초 : 수확한 채소로 친구 가족 요리 만들어먹기 → 친환경먹거리 중요성 지도
○ 일원초 : 텃밭 홈페이지 구축으로 학생과 교사 등 정보공유 장 마련
○ 잠원초 : 재배용기탐구(PET병을 활용한 파 재배용기, 폐파레트 활용, 자루활용), 우유를 활용한 친환경방재작업 체험 등
○ 세륜초 : 농촌과 함께하는 알뜰바자회 개최
○ 북가좌초 : 재활용품을 이용한 화분전시, 텃밭 발표회 등

11
섵Ӛ도시농
업

• 모범사례
○ 자투리텃밭 이용사례 등
- 잘 다니지 않는 보도블록 보행로에 보도블록 중간을 빼고 밭조성
- 1인 1주머니텃밭 기르기 시행(청룡초)
○ 학교건물 뒤 쓰레기 쌓인 공간 → 텃밭을 조성하여 다양한 작물 식재(일원초)

일원초등학교

건물 뒤 텃밭조성

쓰레기를 치우고 유휴지활용

12
섵Ӛ도시농
업
청룡초등학교

보도블럭을 빼고 텃밭조성(봄)

보행로 보도블럭 빼고 텃밭조성(여름)

벼 탈곡

배추벌레잡기

떡매치기

13
섵Ӛ도시농
업
상봉초등학교

송천초등학교

14
섵Ӛ도시농
업

• 특이사항
○ 사당초
농장조성 예산지원에 따른 고마움표시로 사당초등학교 교장선생님의 감사편지와 수확한 채소 시장님께 전달
⇒ 시장님께서 교장선생님께 감사의 전화드림 (‘12.7.18)

조성 전

조성 후

모종 심기

현재

15
섵Ӛ도시농
업

16
Ⅴ. 향후계획

섵Ӛ도시농
업

• ’14년 계획
○ 예산액 : 300백만원 30개소
○ 수행 : 섵Ӛ시 농업기술센터
※ 의회 결정에 따라 예산액, 사업방법 변동 될 수 있음
○ 확대조성 방안
▷ ‘13년 노지 및 옥상(상자)텃밭 (1개교당 500만원 일괄지원)
⇒ '14년에는 학교 여건 따른 맞춤형 지원(200~500만원)추진

○ 년차별 조성 계획(누계)

350

115
65
30
5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20년

17
섵Ӛ도시농
업

18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20)

PPT
명품대전농축산물안내.Ppt 1
Miso Bak
PDF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혜원 정
PPTX
섵Ӛ시정 4개년계획 박원순
Jinoaction Lee
PDF
경제민주화특별시 섵Ӛ
섵Ӛ
PDF
섵Ӛ시 '근로자이사제' 도입 기자설명회
섵Ӛ
PPTX
한강 자연성회복 및 관광자원화 추진 방안
섵Ӛ
PDF
'노동존중특별시 서울 2016' 기자설명회
섵Ӛ
PDF
창조경제 캠퍼스타운 계획 기자설명회
섵Ӛ
PPTX
2030이 행복한 섵Ӛ, '섵Ӛ리츠'로 만들겠습니다
섵Ӛ
PDF
20150128 처음생각발표회
Sohee Shin
PDF
[섵Ӛ시 청년정책] 2020 섵Ӛ형 청년보장
섵Ӛ
PDF
최종도시 재생도시 문화 (2013)
여성환경연대
PPT
푸른마을 만들기
yuntan
PDF
지구를 살리는 일곱가지 물건(2014)
여성환경연대
PDF
태풍 이후 옥상 텃밭 진단 및 텃밭 관리 방법(2012)
여성환경연대
PDF
2016년 국정감사 자료집 - 환경유해 가능성 방지를 위한 미세플라스틱 사용금지
여성환경연대
PPTX
빙고 소개 프리젠테이션
Bin Go
PDF
2017 사업계획
여성환경연대
PDF
할머니네텃밭 _환경정의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PDF
할머니네 텃밭 어른용 자료집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명품대전농축산물안내.Ppt 1
Miso Bak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혜원 정
섵Ӛ시정 4개년계획 박원순
Jinoaction Lee
경제민주화특별시 섵Ӛ
섵Ӛ
섵Ӛ시 '근로자이사제' 도입 기자설명회
섵Ӛ
한강 자연성회복 및 관광자원화 추진 방안
섵Ӛ
'노동존중특별시 서울 2016' 기자설명회
섵Ӛ
창조경제 캠퍼스타운 계획 기자설명회
섵Ӛ
2030이 행복한 섵Ӛ, '섵Ӛ리츠'로 만들겠습니다
섵Ӛ
20150128 처음생각발표회
Sohee Shin
[섵Ӛ시 청년정책] 2020 섵Ӛ형 청년보장
섵Ӛ
최종도시 재생도시 문화 (2013)
여성환경연대
푸른마을 만들기
yuntan
지구를 살리는 일곱가지 물건(2014)
여성환경연대
태풍 이후 옥상 텃밭 진단 및 텃밭 관리 방법(2012)
여성환경연대
2016년 국정감사 자료집 - 환경유해 가능성 방지를 위한 미세플라스틱 사용금지
여성환경연대
빙고 소개 프리젠테이션
Bin Go
2017 사업계획
여성환경연대
할머니네텃밭 _환경정의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할머니네 텃밭 어른용 자료집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Similar to 섵Ӛ시 학교농장 조성지원사례(2014) (20)

PDF
2015 자치구 공유사업 우수사례 모음집
Creative Commons Korea
PDF
섵Ӛ도시농업 비전투어자료집 2013
여성환경연대
PDF
2008년강릉시마을만들기지원센터사업보고및평가 최종
seekly
PDF
2008년강릉시마을만들기지원센터사업보고및평가 최종
seekly
PPTX
20101218천개교밵Ӡ(조한)
hiiocks kim
PDF
친환경무상급 식4년 평과와 전망 토론회 자료집 20140409
은영 김
PDF
2010년강릉시마을만들기지원센터사업보고및평가 최종
seekly
PDF
2010년강릉시마을만들기지원센터사업보고및평가 최종
seekly
PDF
3개년 제주폐가살리기사회적협동조합
jejuzip
PDF
ChangeOn@GNTech 촌놈날다4- 소영식
ChangeON@
PDF
국가건축정책위원회-미래교육플랫폼 최종보고서-학교조성방안연구- 용역 보고서.pdf
Seongwon Kim
PDF
국가건축정책위원회-미래교육플랫폼 최종보고서-학교조성방안연구- 용역 보고서.pdf
Seongwon Kim
PDF
용문서원 농촌체험경제교실
Youngduk Yun
PDF
경제교실 개요 설명
Youngduk Yun
PDF
2012_0313_ 섵Ӛ시대안교육센터 기관소개 자료
Ars Praxia / Seoul
PDF
녹색마을을 일구는 사람들 (2004)
여성환경연대
PDF
생발표십자성마을_2020에너짶자립ѫ및계_2014포럼
STUDENT ENERGY LAB
PDF
2018 공원의친구들 사업결과보고
seoulgreentrust
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Seongwon Kim
PDF
School of community
Seongwon Kim
2015 자치구 공유사업 우수사례 모음집
Creative Commons Korea
섵Ӛ도시농업 비전투어자료집 2013
여성환경연대
2008년강릉시마을만들기지원센터사업보고및평가 최종
seekly
2008년강릉시마을만들기지원센터사업보고및평가 최종
seekly
20101218천개교밵Ӡ(조한)
hiiocks kim
친환경무상급 식4년 평과와 전망 토론회 자료집 20140409
은영 김
2010년강릉시마을만들기지원센터사업보고및평가 최종
seekly
2010년강릉시마을만들기지원센터사업보고및평가 최종
seekly
3개년 제주폐가살리기사회적협동조합
jejuzip
ChangeOn@GNTech 촌놈날다4- 소영식
ChangeON@
국가건축정책위원회-미래교육플랫폼 최종보고서-학교조성방안연구- 용역 보고서.pdf
Seongwon Kim
국가건축정책위원회-미래교육플랫폼 최종보고서-학교조성방안연구- 용역 보고서.pdf
Seongwon Kim
용문서원 농촌체험경제교실
Youngduk Yun
경제교실 개요 설명
Youngduk Yun
2012_0313_ 섵Ӛ시대안교육센터 기관소개 자료
Ars Praxia / Seoul
녹색마을을 일구는 사람들 (2004)
여성환경연대
생발표십자성마을_2020에너짶자립ѫ및계_2014포럼
STUDENT ENERGY LAB
2018 공원의친구들 사업결과보고
seoulgreentrust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Seongwon Kim
School of community
Seongwon Kim
Ad

More from 여성환경연대 (20)

PDF
2021 mh forum_20210527
여성환경연대
PDF
20210528보도자료
여성환경연대
PDF
2019 plasticfreecafe 1
여성환경연대
PDF
2019 plasticfreecafe 2
여성환경연대
PDF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PDF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여성환경연대
PDF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여성환경연대
PDF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PDF
[Kwen] 2020 annual report
여성환경연대
PDF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여성환경연대
PDF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PDF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PDF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여성환경연대
PDF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여성환경연대
PDF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PDF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여성환경연대
PDF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환경연대
PDF
2017 결산재무제표
여성환경연대
PDF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환경연대
PDF
2016 결산재무제표
여성환경연대
2021 mh forum_20210527
여성환경연대
20210528보도자료
여성환경연대
2019 plasticfreecafe 1
여성환경연대
2019 plasticfreecafe 2
여성환경연대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여성환경연대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여성환경연대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Kwen] 2020 annual report
여성환경연대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여성환경연대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여성환경연대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여성환경연대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여성환경연대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7 결산재무제표
여성환경연대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6 결산재무제표
여성환경연대
Ad

섵Ӛ시 학교농장 조성지원사례(2014)

  • 1. 학교텃밭 활성화와 지속가능 방안을 위한 토론회(여성환경연대) 섵Ӛ특별시 섵Ӛ특별시 학교농장 조성 지원사례 섵Ӛ도시농업 2013. 11. 8. 섵Ӛ특별시 (민생경제과)
  • 3. Ⅰ. 추진배경 섵Ӛ도시농 업 • 추진목적 학교 내 열린 공간을 논, 밭 분위기로 조성하여 교육프로그램으로 활용 및 농원으로이용해 학생 정서함양과 체험 학습으로 우리농산물 이해와 소중함 인식공간으로 활용 3
  • 4. Ⅱ. 사업개요 섵Ӛ도시농 업 • 사업개요 ○ 사업량 : 73개교(’12년 30개교, ’13년 43개교) ○ 대상 : 농지형, 화분형으로 텃밭을 조성 165㎡ 내외 - 1교1촌 자매결연 등 농업, 농촌 체험학습에 열의가 높고 학교농장 특화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는 학교 우선 선정 • 추진방법 ○ 섵Ӛ시와 섵Ӛ시교육청 · 농협중앙회 협력추진(프로그램은 학교자체 운영) 섵Ӛ시 섵Ӛ시 교육청 · 학교 섵Ӛ시 농업기술센터 농협중앙회(’13년) 텃밭조성 기본계획 수립 및 사업비 지원 학교선정, 텃밭조성, 운영관리 및 프로그램 운영 영농기술지도 체험프로그램 운영 4
  • 5. 섵Ӛ도시농 업 2012년 · 2013년 비교 2012년 2013년 (125백만원) (400백만원) 신규 30개소 신규 47개소 • 섵Ӛ시 : 계획수립, 사업비 지원 및 기관간 협의 • 섵Ӛ시 : 계획수립, 사업비 지원, 기관간 협의 • 섵Ӛ시 교육청 : 대상학교 공모 및 선정, 운영세부기준 마련 • 섵Ӛ시 교육청 : 대상학교 공모 및 선정 • 개별학교 : 농장조성 및 운영관리 • 농협중앙회 : 농촌체험 프로그램 운영(하반기) ※ 농촌마을 체험 및 프로그램 운영 : 개별학교 • 개별학교 : 농장 조성 및 운영관리 5
  • 6. 섵Ӛ도시농 업 섵Ӛ시, 교육청 지원 조성현황 (2013. 6월 기준) 구분 총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특수학교 1,320 594 380 317 29 2011년 5 4 1 2012년 30 25 4 2013년 47 46 1 소계 82 75 6 연도 전체학교 기추진 비고 교육청지원 1 섵Ӛ시(25개) 및 교 육청(5개) 지원 기술센터 4포함 1 6
  • 7. 섵Ӛ도시농 업 ’12년 학교농장 조성 조사 자료(섵Ӛ시 교육청)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개소 377개소 429개소 92개소 35개소 노지 54,178㎡ 30,211㎡ 7,007㎡ 9,958㎡ 옥상 6,562㎡ 6,063㎡ 3,272㎡ 1,717㎡ 전체대비 비율(면적) 51% 30% 9% 10% 7
  • 8. 섵Ӛ도시농 업 • 일자리 창출 학교추진 ○ ’13년 신규조성 사업비 500만원 중 20~50만원 도시농업 전문가 강사료 - 학교농장 운영으로 학교농장관리인(도시농업전문가) 일자리 창출 - 조성학교 : 73개교(신규43, 기존 30)에 72명 고용 학교추진(농업기술센터) ○ 섵Ӛ형 뉴딜일자리(학교농장 지도사) 교육사업 추진 - 예산 : 151,500천원 - 교육기간 : ‘13. 8.12 ~ 12. 6(16주간) - 30개교 선정 - 교육내용 : 도시농업, 학교농장 조성, 재배관리 이론과 현장기술 ※ 농업기술센터에서 양성한 도시농업전문가를 선발 학교별 전담배치 교육 8
  • 9. Ⅲ. 개선사항 섵Ӛ도시농 업 • 개선사항(’12년 → ’13년) ○ 학교 텃밭 담당자의 텃밭프로그램운영 관련정보 공유 기회가 없고, 프로그램 운영관계자 교육이 필요하며, 장기적 텃밭교육이 자리잡을 수 있도록 지역사회연계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필요 (도시농업 전문가 강사료 지원-농장조성비에 강사료 포함) ○ 학교농장조성이 ’12년 신규사업으로 ’13년 운영비 마련 여럼움 → ’12년 조성학교에 운영비 지원(200백만원), 체험활동(200백만원) 지원 • 향후 개선 필요 ○ 학교장, 담당선생님 의지에 사업 향후 지속성 유지 ○ 권역별 학교텃밭 지원센터 설치를 통한 체계적 지도 · 지원 ○ 지역공동텃밭을 통한 지역사회의 커뮤니티 활성화 9
  • 10. Ⅳ. 우수사례 섵Ӛ도시농 업 • 학교 전체 공통 추진내용 ○ 농촌체험 기회로 농사일의 어려움과 농촌을 이해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우리 농산물의 중요성과 자긍심 고취 ○ 로컬푸드, 친환경농산물 이해 기회를 제공, 텃밭(환경)동아리 활동 추진 ○ 수확물을 활용 김장담그기 행사 진행(일부학교 불우이웃돕기로 지역과 연계) ○ 학교 실과 교육 등 교과과정연계 적용 ○ 재배활동을 통해 쓸모없다고 생각되어지는 풀, 곤충들에 대한 관찰로 자연과 생명에 대한 소중함과 다양한 친환경 먹을거리를 학교 내에서 싹트고 자라고 수확까지 보는 기회제공, 식물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짐 ○ 자매결연 농촌 특산물을 학교 지역주민과 학부모에게 소개로 도농 상생 계기 마련 ○ 직접 수확하는 체험을 한 결과 학생들이 음식의 소중함과 노력과 정성을 들여 키운 채소를 함부로 남기면 안 된다는 생각으로 급식시간 잔반이 줄어드는 효과 거행 ○ 평소 싫어했던 채소류를 직접 재배 수확함으로써 선호하는 음식재료로 변모 ○ 식물재배 관찰일기 쓰기, 나의 식물 자랑하기(그리기, 글짓기 등 다양한 형태로 발표) ○ 고무통 논 충남도청 지원 벼재배 체험활동(모심기, 가꾸기, 추수하기) 전개 10
  • 11. 섵Ӛ도시농 업 • 개별학교 추진내용 ○ 일원초, 세륜초 : 잡초가 무성한 땅이나 건물 뒤편 쓰레기 쌓인 공간을 치우고 다양한 작물과 야생화(100여종)식재 ⇒ 수업시간 교재원 활용 및 자발적 참여를 위해 작물관리 학생들에게 자원봉사 시간 적용 ○ 청룡초 : 1인 1화분 가꾸기(주머니텃밭), 로컬푸드 친환경 농산물 이해증진 ○ 용마초 : 수확한 채소로 친구 가족 요리 만들어먹기 → 친환경먹거리 중요성 지도 ○ 일원초 : 텃밭 홈페이지 구축으로 학생과 교사 등 정보공유 장 마련 ○ 잠원초 : 재배용기탐구(PET병을 활용한 파 재배용기, 폐파레트 활용, 자루활용), 우유를 활용한 친환경방재작업 체험 등 ○ 세륜초 : 농촌과 함께하는 알뜰바자회 개최 ○ 북가좌초 : 재활용품을 이용한 화분전시, 텃밭 발표회 등 11
  • 12. 섵Ӛ도시농 업 • 모범사례 ○ 자투리텃밭 이용사례 등 - 잘 다니지 않는 보도블록 보행로에 보도블록 중간을 빼고 밭조성 - 1인 1주머니텃밭 기르기 시행(청룡초) ○ 학교건물 뒤 쓰레기 쌓인 공간 → 텃밭을 조성하여 다양한 작물 식재(일원초) 일원초등학교 건물 뒤 텃밭조성 쓰레기를 치우고 유휴지활용 12
  • 13. 섵Ӛ도시농 업 청룡초등학교 보도블럭을 빼고 텃밭조성(봄) 보행로 보도블럭 빼고 텃밭조성(여름) 벼 탈곡 배추벌레잡기 떡매치기 13
  • 15. 섵Ӛ도시농 업 • 특이사항 ○ 사당초 농장조성 예산지원에 따른 고마움표시로 사당초등학교 교장선생님의 감사편지와 수확한 채소 시장님께 전달 ⇒ 시장님께서 교장선생님께 감사의 전화드림 (‘12.7.18) 조성 전 조성 후 모종 심기 현재 15
  • 17. Ⅴ. 향후계획 섵Ӛ도시농 업 • ’14년 계획 ○ 예산액 : 300백만원 30개소 ○ 수행 : 섵Ӛ시 농업기술센터 ※ 의회 결정에 따라 예산액, 사업방법 변동 될 수 있음 ○ 확대조성 방안 ▷ ‘13년 노지 및 옥상(상자)텃밭 (1개교당 500만원 일괄지원) ⇒ '14년에는 학교 여건 따른 맞춤형 지원(200~500만원)추진 ○ 년차별 조성 계획(누계) 350 115 65 30 5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20년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