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분류
LPG (Liquefied Petroleum Gas) : 프로판 + 부탄
LNG (Liquefied Natural Gas)
해외가스전에서 생산된 천연가스를 대량수송하기 위해
영하 162도로 액화시킨 액체상태의 천연가스
NG(Natural Gas)
해외에서 액화시켜 대형선박으로 수송하여 가정 또는 산
등에
공급하기 위하여 기화시킨 기체상태의 천연가스
9. 국가 전체 용도별 사용량
도시가스사
53%
발전용
47%
산업용 19%
가정용 34%
10. 용도
최대 판매월 공급량 ÷ 최소 판매월 공급량(TDR)
발전용
2.2
산업용
1.8
주택난방용
10.3
TDR : TDR이 낮을수록 LNG 저장설비의 규모를 줄일
수 있고, 천연가스 공급설비 이용 효율이 향상되어 가
스요금을 낮출 수 있습니다.
발전용과산업용은최대, 최소공급량차이가적습니다. 즉, 계절이나환경
에영향을받지않고, 사용량이일정합니다. 왜냐하면발전소를멈췄다가,
돌렸다가하는것이아니라24시간365일지속적으로발전기가가동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가정용 도시가스 사용량은 어떨까요? 여름과 겨울차이가 많이 납
니다. 아마 도시가스요금 고지서를 받아보신다면 여름에는 10,000원정도
나왔다가 겨울에는 20만원씩 나오시지 않나요? 가정용 같은 경우 겨울에
는많이쓰고,여름에는조금쓰는구조입니다.
11. 88.95
5.71%
5.34%
원료비 = % 도입가격 + 세금 + 안전관리
LNG
부담금
가스공사공급비= 가스공사 설비유지보수 등 경
비와 투자보수
도시가스사공급비 = 도시가스사 설비유지보수 등 경
비와 투자보수
12. 도시가스요금이 지역별로 다른 이유는 무엇
일까요?
한국가스공사에서 전국도시가스사에 공급하는 비용은 지역에
관계없이 같지만, 지역별 도시가스사에서 부과하는 소매공급비
용에서 차이가 나기 때문에 지역별로 최종소비자요금이 다릅니
다.
13. 1단계 : 수입(도입)·판매 부분 분할 매각(1998~2
정부
도입도매부문
3개 자회사 분리 매각
(`98)
VS
노조
총파업을 통해
분할 매각 저지(`02)
☞전력 : 발전 /송배전 분리(`01) ▶ 통과
☞철도 : 여객 /화물 분리(`02) ▶ 저지
철도산업기본법 제정 ▶ 통과(`03)
시설(철도시설관리공단) / 운영(한국철도공사) 분리
14. 2단계 : 신규시장 진입을 통한 단계적 민영화(08~12
정부
가스산업 경쟁도입
법안 입법발의(`08)
발전소에들어가는물량
(발전용)부터경쟁도입후
공장등산업체(산업용)로
확대
발전용경쟁을위한제도
적장치마련
VS
노조
투쟁 ·야당공조를 통한
법안 무력화(`12)
MB 공공부문선진화정책
에맞서공공부문공동투
쟁
가스요금상승등을이유
로18대국회논란, 임기종
료와함께폐기
16. 국민 요금폭탄 결정적 증거1. 원료비 상승
그런데, 현재처럼 공공기관
인 가스공사에서 일괄구매
를 하지 않고, 산업체에 들
어가는 물량(66%)까지 분
산구매하면 가정용 도시가
스요금의 원료비가 늘어나
게 됩니다
17. 국민 요금폭탄 결정적 증거2. 가스공사공급비용 상
연중 고르게 사용하는 발전
용‧산업용 물량이 빠지고
겨울에만 주로 사용하는 가
정용 물량만 남게되면 LNG
특성상 단위당 저장비용이
증가하여 공급비용이 인상
됩니다.
18. 국민 요금폭탄 결정적 증거3. 소매(도시가스사)공급
상승
기존에 가정용과 산업용에 같
이 부가되는 소매공급비용도
가정용에만 전가됩니다. 특히
서해도시가스가 공급하는 서
산 당진의 경우는 산업체 물량
이 많아 산업용 물량이 빠지게
되면 소매공급비용이 468%나
오르게 됩니다.
19. 같은 LNG를 수입하는 일본과 한
국의 가정용과 산업용 요금을 비
교해보면 민생연료인 가정용 요
금의 경우, 일본이 한국보다 2배
이상 비쌉니다. 일본의 가정용 가
스요금이 한국보다 비싼 이유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설비 분산운
영에 따른 비효율성, 민간기업들
에 의한 지나친 이윤추구 때문입
니다.
20. 민자발전 영업이익 사례
발전용 직도입 허용만으로도 재벌들은 위 표에서
보시다시피 막대한 이익을 얻고 있습니다. 이것도
모자라 에너지 재벌의 호주머니를 더 채워주기 위
한 법안을 현재 11월 27일 산업위 법안심사소위
에서 통과시키려 하고 있습니다.
21. 투쟁주간
11월
2주차
[준비기]
11월
3주차
[조직기]
주요내용
·11/5~13 : 지회별 투쟁 출정식
· 연대단위 간담회 및 교육
·11/13 : 수요 공동행동의 날 운영
·11/14 : 확대간부 결의대회 (본사)
·11/14 : 지회 농성장 운영
·11/20 : 수요 공동행동의 날/촛불집회
11월
4주차
[집중기]
· 지역구 국회의원 항의방문 투쟁
· 언론 기고 및 광고
· 주부, 빈민 등 선언 기자회견
11월
5주차
[총력기]
· 총력투쟁주간(11/27~ ,여의도)
22. 가스 민영화 저지 수요공동행동의 날 동참해주세요
☞ 매주 수요일 집중 주요 거점에서 선전전 및 인증샷(SNS,
엄지뉴스 등)
☞ 11월 20일 전국동시다발 촛불집회 (장소 추후공지)
가스 민영화 저지 주부, 학생, 노동자 등 선언을 조직해주
☞ 직종별, 계층별 서명을 조직하여 총파업 전 지지 선언 및
기자회견 조직
가스 민영화 저지 홍보 아이디어를 모아주세요
☞ LUNION@KOGAS.OR.KR / 페이스북 :가스지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