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
Start-up 의 투자 유치
Written by Jason Hyunjong Wi
Senior associate at Softbank Ventures
E-mail: Jason@softbank.co.kr
Twitter: @Jasonwi51
2. 2
강연자 소개
Hyunjong Wi
Senior associate at Softbank Ventures
• Mostly covers Game, Education and Mobile
services
Business analyst at McKinsey & Company
• Hi-tech, Manufacturing, Chemical, Financial
sectors
Yonsei University, Business administration
5. 5
투자 유치란 무엇인가 ?
기업의 예상되는 미래 가치에 기반하여 기업의 소유권을 이전하는
대가로 자금을 유치하는 행위
6. 6
투자 유치란 무엇인가 ?
A 라는 회사가 Pre-
money valuation 30
억원에 10 억원의 투
자를 유치하였다
• 투자 유치 전 인정된
기업 가치 : 30 억
• 투자 유치 후 총 기업
가치 : 40 억
• 투자자의 지분율
25%, 기존 주주는 각각
45% 와 30% 의 지분을
소유하게 됨
• 투자 유치 3 년 후 회
사가 기업 가치 300 억
원을 인정받고 모 대기
업에 매각됨
투자자는 지분을 전부
매각 할 경우 대략 75
억원의 수익 실현
A 라는 회사는 자본
금 5 천만원으로 두
명의 Founder 가 지분
율 60:40 으로 창업하
였다
8. 8
투자 방식 – 우선주 투자
• 우선주 : 투자자로서 Early stage 회사 투자를
통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Risk 를 최소화 하기 위
한 권리들이 부착된 주식
: 상환 우선권
: 전환 우선권
: 잔여 재산 분배 우선권
: Tag along right
: Drag along right
• 부채 아님
• 회사가 어느정
도 잘 되었을 때
작동 가능한 권
리가 대부분
9. 9
왜 투자 유치를 하는가 ?
• 회사가 시기 별 달성하고자 하는 명확한 Milestone 에 기반하여
Milestone 을 달성하기 위한 필요 자금을 수혈함
• 회사의 각종 지표가 이상적이며 투자 시장이 활발하여 유리한 조건으로
투자 유치가 가능 한 경우
• Risk 없이 사업을 영위하고 싶음
• 당장 닥친 현금 흐름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 남들이 다 하니까
14. 14
저희는 서울대학교 전기전자학과 출신의 엔지니어 5 명
으로 구성 된 팀이고 , 현재 그룹 기반 모바일 SNS 프
로토타입을 완성하였습니다 . 자본금 1000 만원으로 시
작하였고 현재 팀원들이 월급을 받지 않고 열심히 일을
해서 거의 App 이 완성 단계입니다 . 회사의 성장을 위
해 이번 Series A 에서는 10 억을 유치하고자 합니다
15. 15
저희는 서울대학교 전기전자학과 출신의 엔지니어 5 명
으로 구성 된 팀이고 , 현재 그룹 기반 모바일 SNS 프
로토타입을 완성하였습니다 . 자본금 1000 만원으로 시
작하였고 현재 팀원들이 월급을 받지 않고 열심히 일을
해서 거의 App 이 완성 단계입니다 . 회사의 성장을 위
해 이번 Series A 에서는 10 억을 유치하고자 합니다
돈 받아서 어디에 쓰시려고요 ?
App 완성 및 런칭까지 한 달이면 될 텐데 왜 지금
투자를 받으시죠 ?
마케팅은 앱 완성하신 다음에 고민하세요
16. 16
투자 유치는 어디에서 하는가 ?
각종 정부 지원 사업
• 예비창업장 육성 사업
• 중소기업 서비스 연구 개발 사업
• 창업 성장사업 앱 개발 / 앱 요소
개발 업종 공통 기술 개발 사업
• 팀 기술 개발 사업
• 창업 맞춤형 사업화 지원 사업
• 글로벌 창년 창업 활성화 지원
사업
엔젤 투자 기관 그 외… ..
• Family fund
• 정부 사업 수주
• Angel investor
두드리면 열린다 !
Softbank?
18. 18
투자 유치 Process 별 Tip
기관 연락
1 차 미팅
IR 및 투심
진행
통과 및 투
자 유치
투자 유치
실패
목적 Tip
• 미팅을 성사시킴 • 네트워크를 활용하라
• e-mail 을 잘 써라
• 담당 심사역 설득
• 추가 미팅을 이끌어 냄
•호기심을 이끌어내는 커뮤니케
이션
•단순하고 명확한 사업 계획서
•꾸준한 Communication
• 투자 심사 통과 • 회사의 방향성에 대한 총체적
이고 깊은 고민
• 명확한 Exit plan
• 지속적인 관계 유지 • 친하게 지내기
“ 어떤 사업 , 어떤 사람들인지 궁금
하네”
“ 재미있는 비즈니스로군 . 투자 수
익을 얻을 수 있을지 고민해봐야겠
다”
“ 사업의 확장성도 보이고 Exit 도
충분히 가능할 것 같군”
“ 큰 성공을 거둘수도 있는 사람들이
니 앞으로도 계속 관계를 유지해야
겠다”
첫 술에 배부르려 하지 마라 !
19. 19
1. 투자 기관에 연락하기
네트워크를 활용
하라
• 네트워크도 능력이다
• 계속 보던 사람에게 신뢰가 간다
• 믿는 사람이 소개해주면 믿게 된다
투자 유치를 염두해두고 있다면 , 잠재적인 투자자와의 관계를 미
리 만들어놓는 것이 반드시 필요함
E-mail 을 통해 호
기심을 자극해라
• 네트워크가 없다면 결국 E-mail 로 연락하게 됨
• 투자자가 ‘한번 만나봐야겠군’ 이라는 마음을 먹게 한다면 성공
20. 20
안녕하세요 ? 저는 감정분석 서비스 ‘ ooo’ 을 운영하는 ( 주 ) 브레인랩의 대표 박재상이라고 합니다 .
Early stage 에 있는 IT 스타트업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와 조언을 하신다는 소프트뱅크 벤처스의 명성을 듣고 , 현재 오픈베타서비스 중인
텍스트 감정분석서비스 ooo 에 대한 투자제안서를 전달해드리고자 이렇게 이메일을 드립니다 .
ooo 은 문자 (TEXT) 와 통계 (STATISTICS) 의 합성어로 주고받은 문자 , 메신저 , 페이스북 , 트위터 등 텍스트 대화를 통해 상대방의 감정을 분
석하는 서비스입니다 . 대학교 3 학년 때부터 관련학과 교수님들의 도움을 받아 2 년간 연구 / 개발해 온 텍스트 감정분석모
델 STEAM(Statistics-based Text Emotion Analysis Model) 을 기반으로 세계최초의 과학적 텍스트 감정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ooo 은 지난 3 월 중순에 오픈베타서비스를 시작했으며 , 서비스 시작 한달만에 15 만명이 넘는 회원과 1 억 6 천만개가 넘는 사용자 문자데
이터를 확보함으로써 서비스에 대한 니즈를 확인했습니다 . 또한 SNS 를 통해 수많은 Private text data 가 생성되는 현 시점에서 다양한 서
비스에 응용될 수 있는 서비스라고 생각합니다 .
다만 , 서비스가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시점에서 하드웨어 인프라와 인력 부족 등의 문제로 인해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안정
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성장의 한계에 부딪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향후 회사를 지속적으로 성장시키기 위해 자금 , 인력 등 다방면
에 경험을 가진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 ooo 에 대한 소개와 현재 상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첨부한 투자제안서 간략본에 포함
되어 있습니다 .
소프트뱅크 벤처스로부터 스타트업에 대한 경험 및 노하우와 함께 , 인프라 및 인력 확충을 위한 투자받고 싶습니다 . 저희 브레인랩은 독자
적인 기술력과 서비스에 대한 감각으로 스타트업이 갖춰야할 미덕을 고루 보유하고 있다고 자신합니다 . 함께 첨부한 투자제안서를 꼭 한
번 읽어봐 주시기 바랍니다 . 후회하지 않게 해 드릴 자신 있습니다 .
더 많은 자료가 필요하시다면 , 언제든 연락주십시오 . 언제든 직접 찾아가서 설명드리겠습니다 .
22. 22
2. 1 차 미팅
회사 담당심사역
임원 1
임원 2
임원 3
심사역 1
심사역 2
1 차 미팅
Email, 주
간회의 등
• 대부분의 투자 기관은 투자 심의 위원회
를 통해 의사 결정이 이루어짐
• 담당 심사역은 회사와 투자자간의 사실
상 유일한 커뮤니케이션 채널이므로 설득
하고 내 편으로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 중
요함
• 꾸준한 커뮤니케이션
23. 23
2. 1 차 미팅
• 첫 미팅에서 모든 것을 다 설명할 필요는 없음 . 2 차 미팅으로 연결시키
는 것이 첫 미팅의 목적임을 명심해야 함
• 따라서 1 차 미팅에서는 사업 진행을 위해 가장 핵심적인 내용만을 단순
하게 전달하여 “재미있는 회사로군 , 추가적으로 검토를 진행해야겠다” 라
는 정도의 의사결정을 내리도록 하면 충분함 e.g.,)
• 시장 규모
• 팀 소개
• Product demo
• 그 외의 내용들에 대해서는 Pitch pack 에 담기 보다는 Q&A 의 형식으
로 준비하는 것이 좋음 . 첫 미팅에서 투자자들이 질문하는 내용은 거의
흡사함 e.g.,)
• 창업은 왜 하였는가 ?
• 궁극적인 목표는 무엇인가 ?
• 왜 이 제품이 다른 제품보다 더 좋은가 ?
• 사람들에게 이 제품을 어떻게 알릴 것인가 ?
• 핵심 역량은 무엇이며 이에 대한 진입 장벽이 있는가 ?
24. 24
3. IR 및 투자 심사
핵심 질문 •소비자는 제품
( 서비스 ) 가 주는
효익을 제공받기를
원하는가 ?
•모든 주요한 이해
관계자를 만족시키
는 서비스인가 ?
• 공략하고자 하는
Needs 를 가진 시
장의 크기는 ?
• 진출하고자 하는
시장의 구조는 ?
• 진출하고자 하는
시장의 경쟁자는
• Exit 가능성은 ?
•사업 영위를 위
해 필요한 역량
은 무엇인가 ?
•핵심 역량은 무
엇인가 ?
•핵심 역량은 따
라 하기 어려운
역량인가 ?
• 우리 팀은 사
업에 필요한 역
량과 인성적 특
징을 갖추고 있
는가 ?
Needs Market Capability Team
• 담당 심사역과
자료 작성에 대
해 지속적으로
협의함
• Presentation
은 매우 중요함 .
연습 ! 연습 ! 또
연습 !
투자 심사 핵심 질문 List
25. 25
4. 사후 관리
• 투자 유치 성공 시에도 회사가 얼마나 효과적으로 VC 의
Support 를 얻어낼 수 있는지는 많은 부분이 투자사와 회사
간의 관계에 달려 있음
• 특히 , Series B Funding 을 생각하는 경우 이는 더욱 중
요함 . VC 에서 Series A 를 참여했다고 해서 무조건
Series B 를 참여하는 것은 아님 . 특히 사업이 어려움을
겪게 될 경우 VC 와 회사간 형성된 신뢰와 믿음은 VC 의 투
자 의사 결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됨
• 투자 유치에 실패했다 해도 지속적으로 해당 회사와 관계
를 맺는 것은 추후 다시 있을 Funding 기회 또는 다른 VC
와의 미팅에 매우 큰 도움이 됨 e.g.,) 타 VC 소개 ,
Reference check, 자료 작성 도움
• 친하게 지내라
!
• 떨어졌어도 친
하게 지내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