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라스웰의SMCRE 이론 라스웰의 커뮤니케이션 모델은 커뮤니케이션이라는 것은 누가-> 무엇을->어떤 채널을 통해->누구에게 -> 어떤 효과를 가지고 전달하는가? 로 표현되는 S-M-C-R-E 모델이다. S(Sender/Source) -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송신자(source)는 메시지를 발산하는 존재다. 언론에서는 방송사, 신문사 등 매체가 송신자라고 할 수 있다. (who 통제분석) M(massage) - 송신자가 수신자에게 보내는 기호화된 내용이 메시지(message)이다. 커뮤니케이션에서 메시지는 언어적 요소(verbal)뿐만 아니라 비언어적 메시지도 포함한다. (say what 내용분석) C(channel) - 채널은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해 주는 매개체 즉 운반체로서의 의미. 채널을 방해하는 요소로 잡음이 발생(in which channel 매체분석) R(receiver) - 매체를 읽고, 보고, 듣는 모든 사람들을 말한다. 수신자란 광고상품이나 서비스를 직접 구매해서 사용하는 궁극적 소비자뿐만 아니라 도매상 ? 소매상과 정부기관 ? 각종 단체들까지를 모두 포함하여, 즉 미디어에 노출될 수 있는 모든 소비자들을 총칭하여 수용자라고도 한다 (to whom 수용자분석) E(effect) - 최종적으로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가 혹은 어떤 효과를 얻을 것인가 (with that effect 효과분석)
3. 라스웰은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근본적인 문제제기를 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냥 단순히 송신자와 수신자 간의 메시지 이동이라는 측면에서 벗어나 메시지의 내용과 미디어의 종류까지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라스웰의 모델은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많은 영향을 미쳤는데 그가 메시지의 내용과 미디어의 종류에 관하여 언급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미디어의 종류에 따라 커뮤니케이션의 영역이 달라지고 메시지의 내용에 따라 커뮤니케이션의 종류가 달라지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효과대신 환경이나 상황에 주목하는 경향이 있다, 라스웰의 모델은 일직선적인 성질 때문에 비판을 받게 되는데, 탄력적인 적응을 위한 해석이 등장하고 있다.
4. 쉐넌과위버의'커뮤니케이션 수학이론' =정보이론 , (전화컴) S(정보원) T(송신기) C(채널) R(수신기) D(목적지) 정보원 -> 송신기 -> 잡음원- > 수신기 -> 목적지 정보원은 발신할 메시지를 선택, 생산 ex) 일상적 대화에서 정보원은 '인간의 뇌'이다. 송신자는 공기를 통해 전송할 신호를 생산하는 성대이다. 쉐넌과위버는'엔트로피'와 '중복(redundancy)'의 개념을 제시했다. 채널의 잡음이 많을 수록 중복의 필요성이 커지고, 중복을 많이 할 경우 메시지의 엔트로피를 감소시킨다. 이것은 교수님께서 출제 가능성이 높다고 말씀한 '쉐넌과위버의 모델이 왜 코칭 커뮤니케이션을 설명 혹은 행하는 데 있어서 가장 적합한가?'라는 답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엔트로피는 불확실한 상황, 무질서의 상황이다. ex) 화요일에 도착할 거야, 화요일 -> 의미중복의 예 자주 만났던 데서 보자 -> 엔트로피의 예 아주 잘 구성된 메시지는 무질서, 불확실성, 선택의 정도가 높지 않다. 또 다른 엔트로피의 예 ex) 개가 사람을 물었다. -> 의미중복 (redundancy) 사람이 개를 물었다. -> 엔트로피 (불확실성, 비예측성, 다량의 정보, 정신 혼란) '사람이 개를 물었다'의 경우 엔트로피가 높은 정보, 흔히 일어날 수 없는 상황, 머리를 혼란시킴 뉴스의 대부분은 엔트로피가 높다.(정보량이 많다.) 엔트로피의 증가는 정보량과 비례한다.
5. 라스웰의SMCRE 이론 라스웰의 커뮤니케이션 모델은 커뮤니케이션이라는 것은 누가-> 무엇을->어떤 채널을 통해->누구에게 -> 어떤 효과를 가지고 전달하는가? 로 표현되는 S-M-C-R-E 모델이다. S(Sender/Source) -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송신자(source)는 메시지를 발산하는 존재다. 언론에서는 방송사, 신문사 등 매체가 송신자라고 할 수 있다. (who 통제분석) M(massage) - 송신자가 수신자에게 보내는 기호화된 내용이 메시지(message)이다. 커뮤니케이션에서 메시지는 언어적 요소(verbal)뿐만 아니라 비언어적 메시지도 포함한다. (say what 내용분석) C(channel) - 채널은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해 주는 매개체 즉 운반체로서의 의미. 채널을 방해하는 요소로 잡음이 발생(in which channel 매체분석) R(receiver) - 매체를 읽고, 보고, 듣는 모든 사람들을 말한다. 수신자란 광고상품이나 서비스를 직접 구매해서 사용하는 궁극적 소비자뿐만 아니라 도매상 ? 소매상과 정부기관 ? 각종 단체들까지를 모두 포함하여, 즉 미디어에 노출될 수 있는 모든 소비자들을 총칭하여 수용자라고도 한다 (to whom 수용자분석) E(effect) - 최종적으로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가 혹은 어떤 효과를 얻을 것인가 (with that effect 효과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