ݺߣ

ݺߣShare a Scribd company logo
IT 지형도
Practical Insights
  Heesoo Lee
IT 지형도 전체


    지난 7개월 간 IT 산업에 관심을 기울이며 읽어온 여러 내용들의 분류 작업이 필
    요하다고 판단하여 기획하게 됨


                                      Content & Service




                                          Network



                                          Platform



                                         Hardware



                                           사용자



2011-12-01                                                2
참고 사항


    지적 능력의 한계로 인해 몇 가지 항목에 대해서는 나열을 제외함



     1.   SAP, Oracle, IBM, 시만텍, HP 등 기업용 SW업체는 제외


     2.   게임 Content 제외


     3.   중계기 등의 통신장비업 제외


     4.   SAP, Oracle 등 DB, Middleware 업체 제외


     5.   히타치, 넷앱, IBM, HP 등 서버판매업체 제외


     6.   시스코 등 네트워크 장비업체 제외


     7.   HP 등 PC 주변기기업체 제외




2011-12-01                                           3
Content & Service - 아마존


    Post Jobs라고 불리우는 제프 베조스가 이끄는 회사로, Content의 유통 및
    Cloud 서비스에 큰 강점을 가지고 있음


                                 일반 서적을 시작으로 다양한 상품 확보 및 Zappos
                                  인수 등을 통해 Offline 물류 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 최근 음성인식 업체(Yap)를 인수하여 脫-Display 기술
                                  을 확충함
                                 Online Content 확보에도 적극적이며, 엄청난 수의 전
                                  자책, 음악, 영화, Android App 등을 확보하여 유통하
                                  고 있음
                                 클라우딩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으며, 모든 종류의 파
                                  일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있음
                                 음악 클라우딩의 경우 1천곡까지 무료 저장이 가능하
                                  며 Android 환경에 들을 수 있음
                                     애플의 경우 아이튠즈 매치 기능을 제공하며
                                      자사 H/W에서만 서비스를 제공
                                     구글의 경우 무제한 무료로 제공하며, 다운로
                                      드도 가능함. 또한, 구글+를 통해 공유가 가능
                                      하도록 함




2011-12-01                                                              4
Content & Service – 구글(1)


    세상 모든 정보를 이해하고 모든 정보를 모든 사람에게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다양한 웹서비스를 바탕으로 실천하는 중임
                                 기존 포털 업체를 뛰어 넘는 검색 능력과 다양한 기능
                                  을 갖춘 웹메일 서비스를 자랑함
                                 뉴스 서비스를 제공 중에 있음
                                     애플도 뉴스가판대를 통해 욕심내는 영역이
                                      며, 뉴스가판대를 통해 엄청난 Page View를
                                      가져다 준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 Blogspot을 인수하여 Blogger라는 명칭으로 블로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리더를 통해 블로그간 관
                                  계망을 형성하고 있음
                                     Wordpress는 다양한 형식의 블로깅 서비스를
                                      제공함
                                     Tumblr는 간략한 글을 작성하여 공유함
                                 지도 및 일정을 바탕으로 한 캘린더 서비스는 타의 추
                                  종을 불허함
                                     애플은 C3를 인수하였으며 본격적으로 지도
                                      제작을 진행할 예정
                                 VAN 통합의 역할을 하는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였으
                                  나 Tag 과정에 인식 불량 문제로 원성을 삼
                                     트위터 창업자 Jack Dorcey가 창업한 Square
                                      가 결제 서비스에 혁신을 일으키는 중


2011-12-01                                                              5
Content & Service – 구글(2)


    세상 모든 정보를 이해하고 모든 정보를 모든 사람에게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다양한 웹서비스를 바탕으로 실천하는 중임
                                 구글 Docs는 현재 최고의 온라인 협업 문서 Tool로 각
                                  광받고 있으며, 클라우드를 통해 저장을 제공함
                                     대항마로 Office 365를 많이들 기대했으
                                      나, PC에서 구동되는 기능이 대거 축소되어
                                      실망을 자아냄
                                 Picasa를 통해 사진에 대한 클라우드 공간을 제공함
                                     Facebook이 1등, Flickr가 2등
                                     Instagram이 사진 수정 기능을 많이 제공하여
                                      뜨고 있음
                                 Youtube를 통해 동영상 클라우딩 서비스를 제공
                                     스마트 TV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Content의
                                      지속적인 확보하여 Youtube 3.0을 시작할 예
                                      정이며, 종편보다 무서운 대상이 될 예정
                                     중국의 Youku도 정부의 지원 아래 성장을 지
                                      속하고 있음
                                 사전 및 번역 기능은 경쟁 업체가 없을 정도로 독보적
                                  인 상황임




2011-12-01                                                            6
Content & Service – Facebook


    사람들이 사는 모든 모습을 담아내고 있으며 사람들이 올리는 모든 내용들이 회
    사의 자산이 되고 있음
                                    사용자 주소록(관계망) 정보를 바탕으로 Social
                                     Network 서비스를 제공함
                                        Facebook. 공인들의 생각을 받아본다. & 지인
                                         들의 생각을 받아본다. & 내가 생각을 발행한
                                         다.
                                        Twitter. 공인들의 생각을 받아본다. & 지인들
                                         의 생각을 받아본다. & 내가 생각을 발행한다.
                                        Blog(Google Reader). 공인들이 생각을 발행
                                         한다. & 내가 생각을 발행한다.
                                       # Facebook의 Twitter화. 대화의 전달 범위 설정
                                       에 주의가 필요해짐


                                        MS에서도 Socl이라는 Social Network 서비스
                                         를 시작할 예정
                                        짧은 글은 Twitter, 중간 글은 Facebook, 긴 글
                                         은 Blog에 작성하여 구글+의 사용처가 애매했
                                         으나 구글 서비스 통합 플랫폼으로 그 대안을
                                         찾은 듯함
                                        카카오톡은 Facebook 따라쟁이(App 도
                                         입, Page 도입, 로티플 인수 등)



2011-12-01                                                                    7
Content & Service – MS


    모바일 시대를 부정했다는 이유로 너무나도 큰 손실을 보고 있는 중이나 기존
    PC에 보급되어 있는 OS를 바탕으로 아직까지 굳건한 지위를 구축하고 있음



                              PC 환경에서의 Office 문서 Tool은 대중에게 가장 많
                               이 사랑 받고 있음
                              Facebook 메시지의 통합으로 Windows Live
                               Messenger에서도 Facebook 친구와 대화가 가능함
                                  국내의 경우 Nateon이 사용자를 많이 뺏아감
                                  구글은 메신저(Google Talk)가 폭삭 망한 이력
                                   이 있음
                                  애플의 iMassage에서도 드러나듯이 모바일
                                   환경에서의 메신저는 무료문자서비스 괘를 같
                                   이하는 것으로 보임
                              11월 23일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VideoSurf를
                               $70M에 인수함
                                  구글과 모든 전선에서 싸움이 일어날 것으로
                                   예측됨




2011-12-01                                                          8
Content & Service – 넷플릭스


    최근에 급등한 가격 및 분사와 관련한 경영진의 운영 미숙으로 반년 사이
    주가가 1/3로 줄어들었으며 회복의 계기가 필요한 시점임

                                DVD 대여의 경우 재판매 시 저작권료가 지불되지 않
                                 는 반면 Content Streaming의 경우 매회 저작권료가
                                 지불되어야 함 - first sale doctrine
                                    이에 비용을 감당하지 못해 60% 인상안을 내
                                     놓았고, 이로 인해 다수의 User가 이탈하는 현
                                     상을 초래함
                                    가격구조가 분리될 필요가 있었으나 두 서비
                                     스에 대해서 너무나도 많은 결합 상품들이 존
                                     재함
                                    결국, 분사를 기획했으나 소비자들의 등쌀에
                                     못이겨 계획을 취소한 상황
                                맞춤 Content 제공이라는 점은 큐레이터 서비스, 시멘
                                 틱 화두가 닮아있으며, 모바일 환경에서는 특히 중요
                                 함. 이 또한 영역 확장이 가능한 부분임
                                    음식점 등을 추천해주는 Yelp
                                    잡지 및 신문을 편집해주는 Flipboard
                                    Hunch라는 Recommendation 업체를 인수한
                                     Ebay




2011-12-01                                                             9
Content & Service – Apple


    별로 안 좋아함




                                 앞에서 모두 검토됨




2011-12-01                                     10
Network – 통신사


    Wipi 해제와 함께 통신사의 망 독점은 종료되었으며, 다양한 주체의 서비스 출
    시가 촉진되고 있음. 이에 망 중립성 논의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음

                              MVNO의 경우 독자적인 단말기 수급이 어려워 문제
                               가 있었으나, 개방형 IMEI 제도가 도입됨에 따라 활로
                               가 구축될 것으로 보임
                              서비스 제공의 독점이 해지되면서 통신사의 서비스는
                               급속도로 위축되고 있으며, 통신사 고유의 역할인 전
                               화, 문자, 영상통화의 영역까지 위협받고 있음
                                  일본의 경우 기존 통신사들이 전자책, 음악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기 때문에 스
                                   마트폰의 유입에도 불구하고 서비스를 성공적
                                   으로 유지하고 있음
                              망 중립성 논의는 Network 과부화의 책임을 누구에게
                               로 전가하는가가 주논의 대상
                                  사용자에게 전가하기 위해서 무제한 요금제
                                   폐지를 통한 종량제 형식의 요금제 도입
                                  서비스 제공업체에게 전가하기 위해서 망 중
                                   립성 컨퍼런스에서 지속적으로 의견 주장 중
                              IPTV는 KT가 독점하다시피 함
                                  유선사업자는 KT의 지나친 판매정책을 비난
                                   하고 있으나, 사업자간 단합이 되지 않는 이유
                                   로 속수무책 당하고 있음



2011-12-01                                                       11
Platform – 구글


    구글은 모바일 OS, Web, Browser 등 현재 유망한 각 분야에서 Platform을
    보유하고 있다고 판단됨


                                   크롬은 HTML5의 발전으로 만들어지고 있는 Browser
                                    로, 웹스토어를 통해 확장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
                                    을 제공함
                                       크롬북 출시 되었으나, 사용할 수 있는
                                        Content가 아직까지 제한되어 있어서 크게 호
                                        응을 얻지 못함
                                   안드로이드는 자바의 발전으로 구축된 모바일 OS로
                                    마켓을 통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있음
                                       모바일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크롬과 안드로
                                        이드는 수단만 다를 뿐 최종 방향성은 일치한
                                        다고 볼 수 있음
                                   Facebook과 같이 구글+에서도 게임 등 애플리케이션
                                    을 제공하고 있음




2011-12-01                                                             12
Platform – MS


    그 누가 뭐라고 한 들 PC OS의 최강자. 모바일용 OS는 형편없는 가운데
    Windows 8의 태블릿과 PC OS가 통합한 모습이 기대되고 있음

                               Crome과 달리 Explorer의 경우 Active X도 포기하여
                                Platform으로 진화될 여지가 적다고 보여짐
                               Windows의 경우 높은 호환성을 바탕으로 범용성을
                                획득하고 있음
                                   최근에서야 Windows 7이 Windows XP의 점
                                    유율을 추월함
                                   흥망을 반복하고 있기 때문에 Windows 8이
                                    망이 되지 않을까 우려가 있음
                               Windows Phone의 경우 최근 Bada보다도 못한 점유
                                율을 기록하고 있음
                                   Windows 8과 통합할 예정이라고 함
                                   결론적으로, PC OS의 장점을 바탕으로 모바
                                    일 진출을 노리는 모습
                               Kinect SDK 공개 등을 통해 통합되는 OS에 XBOX
                                OS에 구동되는(Windows2000 Kernel 수정) 게임들과
                                호환할 예정임
                               MS도 가상화 시장에 진입을 하였으나 VM웨어, 시트
                                릭스에 밀려난 상황임
                                   서버에 설치된 App을 제공하는 Platform으로
                                    큰 의미를 가짐


2011-12-01                                                              13
Platform – Apple


    애플을 구글과 비교할 경우 Web 역량은 떨어지나, PC OS 역량이 더 있는 것으
    로 볼 수 있으며, 폐쇄적인 구조가 특징이라고 할 수 있음



                               아이튠즈는 음악, 영화, TV쇼, Podcast 등 다양한
                                Content의 유통 경로가 되고 있음
                                   Media Player들의 최종 지향점
                               앱스토어의 경우 App 내부에서 전자 결제 시스템 추
                                가 시 7:3으로 수익으로 나누어야 되는 정책을 펴고
                                있음
                                   App 출시 지연 초래
                                   HTML5 기술의 비약적 발전 초래
                               한국에 Game Category 오픈
                                   정보통신부에서 앱스토어의 게임에 대해서는
                                    검열을 포기하여 Category를 오픈하게 됨
                                   정부의 한국 기업과 외국 기업 사이에 형평성
                                    논란이 크게 붉어지고 있음 (ex. 개인 정보 취
                                    득, 게임 셧다운제 등)




2011-12-01                                                         14
Platform – 삼성


    삼성도 장기적으로 볼 때 Mobile Hardware 경쟁 업체인 애플과 겨루기 위해
    S/W 능력을 크게 신장시킬 필요가 있음




                                 삼성의 경우 Smart TV 및 Feature Phone OS로 Bada
                                  를 제공하고 있음
                                 MS에게 Royalty 제공 사례
                                     안드로이드(공개형 OS)를 사용하기 때문에
                                      MS의 특허를 침해한 안드로이드의 Royalty를
                                      삼성이 내게 됨
                                     MS OS를 이용한 Phone 생산으로 타협이 예
                                      상되나 장기적으로 볼 때 자사 S/W 능력의 성
                                      장이 절실함




2011-12-01                                                                   15
Hardware – 삼성


    뛰어난 부품 제조 능력을 바탕으로 완제품 시장까지 진출하고 있음. 이제는
    삼성 만의 외형적 디자인이 수립되어야 할 시기라고 보임

                                                       디스플레이, DRAM, 메모리 등 부품 산업이 낮은 단가
                                                        공급으로 인해 큰 이득을 취하지 못함
                                                       추가 수익이 어려운 백색가구 시장으로 비추어 볼 때
                                                        올해 수익은 스마트폰이 견인하였다고 할 수 있음
                                                          뛰어난 부품 수급을 바탕으로 Fast Follower 전
                                                           략을 펼침
                                                          삼성만의 외형을 갖추지 못하게 되었고, 애플
                                                           과의 특허 소송으로 인해 Copy Cat 이미지가
                                                           고착화됨
                                                          결국, 독일에서는 디자인을 수정한 형태로 태
                                                           블릿을 출시함
                                                       태블릿의 경우 H/W는 우수한 반면 안드로이드 OS가
                                                        형편없는 관계로 성공하지 못함
         구분        2010년 3분기           2011년 3분기
                                                          아이스크림샌드위치 안정화 시점에 다시 시장
         삼성          7.5(9.3%)          27.8(23.8%)        에 어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애플         14.1(17.4%)         17.1(14.6%)
                                                       자사 Platform을 바탕으로 Smart TV를 판매 중이나
        노키아         26.5(32.7%)         16.8(14.4%)     구글 TV 생산도 동시에 진행할 것으로 알려짐
         기타         32.9(40.6%)         55.3(47.3%)
       * 삼성이 매출액 1위, 노키아가 물량 1위, 애플은 영업이익 1위




2011-12-01                                                                                   16
Hardware – LG


    LG의 어려움은 시류를 따라가지 못하는 S/W 역량으로부터 시작함. 3D에
    국한된 기술 개발이나 뛰어난 H/W를 강조하는 것은 의미 없음

                              삼성과 같이 LG 전자에서도 구글 TV에 사업을 진행
                               할 예정
                                 잡스는 Smart TV를 취미 정도로 생각한다며
                                  밝힌 바 있음
                                 로지텍은 과거 구글 TV 1.0을 생산했으나
                                  Content 부족으로 완전 쪽박 참
                                 휴맥스는 최근 오페라와 제휴를 맺어 Smart
                                  TV 셋톱박스 사업자로 각광받고 있음
                                 모토롤라는 스마트폰도 출시하고 있으나, 구글
                                  TV의 수신 칩셋을 제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
                                  짐
                              3D Content의 발전이 예상 외로 더딤
                                 3D에 전사적인 기대를 걸었던 LG는 큰 어려움
                                  을 겪고 있음
                                 출시하는 Smart Phone, Tablet, TV 등 모든
                                  Display에서 3D를 감상하고 모바일에서는 촬
                                  영이 가능하도록 하지만 좀처럼 사용도가 낮은
                                  상황임




2011-12-01                                                            17
Hardware – MS


    기존에 출시한 XBOX 외에 미래 지향적인 시도를 많이 하고 있음. 특히
    키넥트는 SDK를 통해 개발자들 사이에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음




                             소니가 PSN 서비스를 Anonymous , Luizsec 등의 단
                              체로부터 해킹 당하여 2조 가량의 피해를 입는 사례
                              로 반사 이익을 누림(참고_http://blog.naver.com/skyg
                              ood5/140134730223)
                             脫-Display를 이끄는 선두주자로, “키넥트”라는 모션
                              인식 장비의 SDK를 공개하여 다양한 활용을 만들어
                              내고 있음
                             삼성을 통해 테이블형 PC라고 불리는 서피스를 생산
                              하고 있음




2011-12-01                                                                18
Hardware – Others


    CPU에서는 모바일과 PC의 영역이 사라지고 있으며, HDD의 경우 점차적으로
    SSD로 대체 될 것이라 예상됨

                              Apple은 MP3P, Phone, Mac에 이어 Tablet에서도 성
                               공을 이루어내며 H/W 강자로 다시 돌아옴
                              인텔은 최근 아이비브릿지를 통해 저전력 시장을 노
                               리고 있으며, MS 외에 구글과 업무적 제휴를 맺은 모
                               습이 인상적임
                                  초기 모바일 CPU의 강자였던 ARM은 반대로
                                   MS와 손을 잡으며 PC 및 서버용 CPU 시장으
                                   로 전환하고 있음
                              HDD의 경우 SSD의 발전 및 모바일 기기의 활성화로
                               인해 판매가 점차 줄어들고 있음
                                  삼성이 최근 Seagate에게 HDD 사업부를 팔게
                                   된 시기는 호기였다고 판단되며 삼성 HDD 사
                                   업부 매각을 통해 WD와 Seagate 사이에 M/S
                                   는 거의 같아지게 되었음
                                  이에 Seagate와 WD 모두 SSD, 하이브리드를
                                   모두 준비 중
                                  WD가 B2C 판매에 강한 반면 Seagate의 경우
                                   OEM 사업이 발달한 것으로 보임




2011-12-01                                                               19
The end of my presentation
       Any Question?

More Related Content

It 지형도

  • 2. IT 지형도 전체 지난 7개월 간 IT 산업에 관심을 기울이며 읽어온 여러 내용들의 분류 작업이 필 요하다고 판단하여 기획하게 됨 Content & Service Network Platform Hardware 사용자 2011-12-01 2
  • 3. 참고 사항 지적 능력의 한계로 인해 몇 가지 항목에 대해서는 나열을 제외함 1. SAP, Oracle, IBM, 시만텍, HP 등 기업용 SW업체는 제외 2. 게임 Content 제외 3. 중계기 등의 통신장비업 제외 4. SAP, Oracle 등 DB, Middleware 업체 제외 5. 히타치, 넷앱, IBM, HP 등 서버판매업체 제외 6. 시스코 등 네트워크 장비업체 제외 7. HP 등 PC 주변기기업체 제외 2011-12-01 3
  • 4. Content & Service - 아마존 Post Jobs라고 불리우는 제프 베조스가 이끄는 회사로, Content의 유통 및 Cloud 서비스에 큰 강점을 가지고 있음  일반 서적을 시작으로 다양한 상품 확보 및 Zappos 인수 등을 통해 Offline 물류 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 최근 음성인식 업체(Yap)를 인수하여 脫-Display 기술 을 확충함  Online Content 확보에도 적극적이며, 엄청난 수의 전 자책, 음악, 영화, Android App 등을 확보하여 유통하 고 있음  클라우딩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으며, 모든 종류의 파 일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있음  음악 클라우딩의 경우 1천곡까지 무료 저장이 가능하 며 Android 환경에 들을 수 있음  애플의 경우 아이튠즈 매치 기능을 제공하며 자사 H/W에서만 서비스를 제공  구글의 경우 무제한 무료로 제공하며, 다운로 드도 가능함. 또한, 구글+를 통해 공유가 가능 하도록 함 2011-12-01 4
  • 5. Content & Service – 구글(1) 세상 모든 정보를 이해하고 모든 정보를 모든 사람에게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다양한 웹서비스를 바탕으로 실천하는 중임  기존 포털 업체를 뛰어 넘는 검색 능력과 다양한 기능 을 갖춘 웹메일 서비스를 자랑함  뉴스 서비스를 제공 중에 있음  애플도 뉴스가판대를 통해 욕심내는 영역이 며, 뉴스가판대를 통해 엄청난 Page View를 가져다 준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 Blogspot을 인수하여 Blogger라는 명칭으로 블로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리더를 통해 블로그간 관 계망을 형성하고 있음  Wordpress는 다양한 형식의 블로깅 서비스를 제공함  Tumblr는 간략한 글을 작성하여 공유함  지도 및 일정을 바탕으로 한 캘린더 서비스는 타의 추 종을 불허함  애플은 C3를 인수하였으며 본격적으로 지도 제작을 진행할 예정  VAN 통합의 역할을 하는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였으 나 Tag 과정에 인식 불량 문제로 원성을 삼  트위터 창업자 Jack Dorcey가 창업한 Square 가 결제 서비스에 혁신을 일으키는 중 2011-12-01 5
  • 6. Content & Service – 구글(2) 세상 모든 정보를 이해하고 모든 정보를 모든 사람에게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다양한 웹서비스를 바탕으로 실천하는 중임  구글 Docs는 현재 최고의 온라인 협업 문서 Tool로 각 광받고 있으며, 클라우드를 통해 저장을 제공함  대항마로 Office 365를 많이들 기대했으 나, PC에서 구동되는 기능이 대거 축소되어 실망을 자아냄  Picasa를 통해 사진에 대한 클라우드 공간을 제공함  Facebook이 1등, Flickr가 2등  Instagram이 사진 수정 기능을 많이 제공하여 뜨고 있음  Youtube를 통해 동영상 클라우딩 서비스를 제공  스마트 TV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Content의 지속적인 확보하여 Youtube 3.0을 시작할 예 정이며, 종편보다 무서운 대상이 될 예정  중국의 Youku도 정부의 지원 아래 성장을 지 속하고 있음  사전 및 번역 기능은 경쟁 업체가 없을 정도로 독보적 인 상황임 2011-12-01 6
  • 7. Content & Service – Facebook 사람들이 사는 모든 모습을 담아내고 있으며 사람들이 올리는 모든 내용들이 회 사의 자산이 되고 있음  사용자 주소록(관계망) 정보를 바탕으로 Social Network 서비스를 제공함  Facebook. 공인들의 생각을 받아본다. & 지인 들의 생각을 받아본다. & 내가 생각을 발행한 다.  Twitter. 공인들의 생각을 받아본다. & 지인들 의 생각을 받아본다. & 내가 생각을 발행한다.  Blog(Google Reader). 공인들이 생각을 발행 한다. & 내가 생각을 발행한다. # Facebook의 Twitter화. 대화의 전달 범위 설정 에 주의가 필요해짐  MS에서도 Socl이라는 Social Network 서비스 를 시작할 예정  짧은 글은 Twitter, 중간 글은 Facebook, 긴 글 은 Blog에 작성하여 구글+의 사용처가 애매했 으나 구글 서비스 통합 플랫폼으로 그 대안을 찾은 듯함  카카오톡은 Facebook 따라쟁이(App 도 입, Page 도입, 로티플 인수 등) 2011-12-01 7
  • 8. Content & Service – MS 모바일 시대를 부정했다는 이유로 너무나도 큰 손실을 보고 있는 중이나 기존 PC에 보급되어 있는 OS를 바탕으로 아직까지 굳건한 지위를 구축하고 있음  PC 환경에서의 Office 문서 Tool은 대중에게 가장 많 이 사랑 받고 있음  Facebook 메시지의 통합으로 Windows Live Messenger에서도 Facebook 친구와 대화가 가능함  국내의 경우 Nateon이 사용자를 많이 뺏아감  구글은 메신저(Google Talk)가 폭삭 망한 이력 이 있음  애플의 iMassage에서도 드러나듯이 모바일 환경에서의 메신저는 무료문자서비스 괘를 같 이하는 것으로 보임  11월 23일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VideoSurf를 $70M에 인수함  구글과 모든 전선에서 싸움이 일어날 것으로 예측됨 2011-12-01 8
  • 9. Content & Service – 넷플릭스 최근에 급등한 가격 및 분사와 관련한 경영진의 운영 미숙으로 반년 사이 주가가 1/3로 줄어들었으며 회복의 계기가 필요한 시점임  DVD 대여의 경우 재판매 시 저작권료가 지불되지 않 는 반면 Content Streaming의 경우 매회 저작권료가 지불되어야 함 - first sale doctrine  이에 비용을 감당하지 못해 60% 인상안을 내 놓았고, 이로 인해 다수의 User가 이탈하는 현 상을 초래함  가격구조가 분리될 필요가 있었으나 두 서비 스에 대해서 너무나도 많은 결합 상품들이 존 재함  결국, 분사를 기획했으나 소비자들의 등쌀에 못이겨 계획을 취소한 상황  맞춤 Content 제공이라는 점은 큐레이터 서비스, 시멘 틱 화두가 닮아있으며, 모바일 환경에서는 특히 중요 함. 이 또한 영역 확장이 가능한 부분임  음식점 등을 추천해주는 Yelp  잡지 및 신문을 편집해주는 Flipboard  Hunch라는 Recommendation 업체를 인수한 Ebay 2011-12-01 9
  • 10. Content & Service – Apple 별로 안 좋아함  앞에서 모두 검토됨 2011-12-01 10
  • 11. Network – 통신사 Wipi 해제와 함께 통신사의 망 독점은 종료되었으며, 다양한 주체의 서비스 출 시가 촉진되고 있음. 이에 망 중립성 논의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음  MVNO의 경우 독자적인 단말기 수급이 어려워 문제 가 있었으나, 개방형 IMEI 제도가 도입됨에 따라 활로 가 구축될 것으로 보임  서비스 제공의 독점이 해지되면서 통신사의 서비스는 급속도로 위축되고 있으며, 통신사 고유의 역할인 전 화, 문자, 영상통화의 영역까지 위협받고 있음  일본의 경우 기존 통신사들이 전자책, 음악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기 때문에 스 마트폰의 유입에도 불구하고 서비스를 성공적 으로 유지하고 있음  망 중립성 논의는 Network 과부화의 책임을 누구에게 로 전가하는가가 주논의 대상  사용자에게 전가하기 위해서 무제한 요금제 폐지를 통한 종량제 형식의 요금제 도입  서비스 제공업체에게 전가하기 위해서 망 중 립성 컨퍼런스에서 지속적으로 의견 주장 중  IPTV는 KT가 독점하다시피 함  유선사업자는 KT의 지나친 판매정책을 비난 하고 있으나, 사업자간 단합이 되지 않는 이유 로 속수무책 당하고 있음 2011-12-01 11
  • 12. Platform – 구글 구글은 모바일 OS, Web, Browser 등 현재 유망한 각 분야에서 Platform을 보유하고 있다고 판단됨  크롬은 HTML5의 발전으로 만들어지고 있는 Browser 로, 웹스토어를 통해 확장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 을 제공함  크롬북 출시 되었으나, 사용할 수 있는 Content가 아직까지 제한되어 있어서 크게 호 응을 얻지 못함  안드로이드는 자바의 발전으로 구축된 모바일 OS로 마켓을 통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있음  모바일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크롬과 안드로 이드는 수단만 다를 뿐 최종 방향성은 일치한 다고 볼 수 있음  Facebook과 같이 구글+에서도 게임 등 애플리케이션 을 제공하고 있음 2011-12-01 12
  • 13. Platform – MS 그 누가 뭐라고 한 들 PC OS의 최강자. 모바일용 OS는 형편없는 가운데 Windows 8의 태블릿과 PC OS가 통합한 모습이 기대되고 있음  Crome과 달리 Explorer의 경우 Active X도 포기하여 Platform으로 진화될 여지가 적다고 보여짐  Windows의 경우 높은 호환성을 바탕으로 범용성을 획득하고 있음  최근에서야 Windows 7이 Windows XP의 점 유율을 추월함  흥망을 반복하고 있기 때문에 Windows 8이 망이 되지 않을까 우려가 있음  Windows Phone의 경우 최근 Bada보다도 못한 점유 율을 기록하고 있음  Windows 8과 통합할 예정이라고 함  결론적으로, PC OS의 장점을 바탕으로 모바 일 진출을 노리는 모습  Kinect SDK 공개 등을 통해 통합되는 OS에 XBOX OS에 구동되는(Windows2000 Kernel 수정) 게임들과 호환할 예정임  MS도 가상화 시장에 진입을 하였으나 VM웨어, 시트 릭스에 밀려난 상황임  서버에 설치된 App을 제공하는 Platform으로 큰 의미를 가짐 2011-12-01 13
  • 14. Platform – Apple 애플을 구글과 비교할 경우 Web 역량은 떨어지나, PC OS 역량이 더 있는 것으 로 볼 수 있으며, 폐쇄적인 구조가 특징이라고 할 수 있음  아이튠즈는 음악, 영화, TV쇼, Podcast 등 다양한 Content의 유통 경로가 되고 있음  Media Player들의 최종 지향점  앱스토어의 경우 App 내부에서 전자 결제 시스템 추 가 시 7:3으로 수익으로 나누어야 되는 정책을 펴고 있음  App 출시 지연 초래  HTML5 기술의 비약적 발전 초래  한국에 Game Category 오픈  정보통신부에서 앱스토어의 게임에 대해서는 검열을 포기하여 Category를 오픈하게 됨  정부의 한국 기업과 외국 기업 사이에 형평성 논란이 크게 붉어지고 있음 (ex. 개인 정보 취 득, 게임 셧다운제 등) 2011-12-01 14
  • 15. Platform – 삼성 삼성도 장기적으로 볼 때 Mobile Hardware 경쟁 업체인 애플과 겨루기 위해 S/W 능력을 크게 신장시킬 필요가 있음  삼성의 경우 Smart TV 및 Feature Phone OS로 Bada 를 제공하고 있음  MS에게 Royalty 제공 사례 안드로이드(공개형 OS)를 사용하기 때문에 MS의 특허를 침해한 안드로이드의 Royalty를 삼성이 내게 됨 MS OS를 이용한 Phone 생산으로 타협이 예 상되나 장기적으로 볼 때 자사 S/W 능력의 성 장이 절실함 2011-12-01 15
  • 16. Hardware – 삼성 뛰어난 부품 제조 능력을 바탕으로 완제품 시장까지 진출하고 있음. 이제는 삼성 만의 외형적 디자인이 수립되어야 할 시기라고 보임  디스플레이, DRAM, 메모리 등 부품 산업이 낮은 단가 공급으로 인해 큰 이득을 취하지 못함  추가 수익이 어려운 백색가구 시장으로 비추어 볼 때 올해 수익은 스마트폰이 견인하였다고 할 수 있음 뛰어난 부품 수급을 바탕으로 Fast Follower 전 략을 펼침 삼성만의 외형을 갖추지 못하게 되었고, 애플 과의 특허 소송으로 인해 Copy Cat 이미지가 고착화됨 결국, 독일에서는 디자인을 수정한 형태로 태 블릿을 출시함  태블릿의 경우 H/W는 우수한 반면 안드로이드 OS가 형편없는 관계로 성공하지 못함 구분 2010년 3분기 2011년 3분기 아이스크림샌드위치 안정화 시점에 다시 시장 삼성 7.5(9.3%) 27.8(23.8%) 에 어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애플 14.1(17.4%) 17.1(14.6%)  자사 Platform을 바탕으로 Smart TV를 판매 중이나 노키아 26.5(32.7%) 16.8(14.4%) 구글 TV 생산도 동시에 진행할 것으로 알려짐 기타 32.9(40.6%) 55.3(47.3%) * 삼성이 매출액 1위, 노키아가 물량 1위, 애플은 영업이익 1위 2011-12-01 16
  • 17. Hardware – LG LG의 어려움은 시류를 따라가지 못하는 S/W 역량으로부터 시작함. 3D에 국한된 기술 개발이나 뛰어난 H/W를 강조하는 것은 의미 없음  삼성과 같이 LG 전자에서도 구글 TV에 사업을 진행 할 예정 잡스는 Smart TV를 취미 정도로 생각한다며 밝힌 바 있음 로지텍은 과거 구글 TV 1.0을 생산했으나 Content 부족으로 완전 쪽박 참 휴맥스는 최근 오페라와 제휴를 맺어 Smart TV 셋톱박스 사업자로 각광받고 있음 모토롤라는 스마트폰도 출시하고 있으나, 구글 TV의 수신 칩셋을 제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 짐  3D Content의 발전이 예상 외로 더딤 3D에 전사적인 기대를 걸었던 LG는 큰 어려움 을 겪고 있음 출시하는 Smart Phone, Tablet, TV 등 모든 Display에서 3D를 감상하고 모바일에서는 촬 영이 가능하도록 하지만 좀처럼 사용도가 낮은 상황임 2011-12-01 17
  • 18. Hardware – MS 기존에 출시한 XBOX 외에 미래 지향적인 시도를 많이 하고 있음. 특히 키넥트는 SDK를 통해 개발자들 사이에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음  소니가 PSN 서비스를 Anonymous , Luizsec 등의 단 체로부터 해킹 당하여 2조 가량의 피해를 입는 사례 로 반사 이익을 누림(참고_http://blog.naver.com/skyg ood5/140134730223)  脫-Display를 이끄는 선두주자로, “키넥트”라는 모션 인식 장비의 SDK를 공개하여 다양한 활용을 만들어 내고 있음  삼성을 통해 테이블형 PC라고 불리는 서피스를 생산 하고 있음 2011-12-01 18
  • 19. Hardware – Others CPU에서는 모바일과 PC의 영역이 사라지고 있으며, HDD의 경우 점차적으로 SSD로 대체 될 것이라 예상됨  Apple은 MP3P, Phone, Mac에 이어 Tablet에서도 성 공을 이루어내며 H/W 강자로 다시 돌아옴  인텔은 최근 아이비브릿지를 통해 저전력 시장을 노 리고 있으며, MS 외에 구글과 업무적 제휴를 맺은 모 습이 인상적임 초기 모바일 CPU의 강자였던 ARM은 반대로 MS와 손을 잡으며 PC 및 서버용 CPU 시장으 로 전환하고 있음  HDD의 경우 SSD의 발전 및 모바일 기기의 활성화로 인해 판매가 점차 줄어들고 있음 삼성이 최근 Seagate에게 HDD 사업부를 팔게 된 시기는 호기였다고 판단되며 삼성 HDD 사 업부 매각을 통해 WD와 Seagate 사이에 M/S 는 거의 같아지게 되었음 이에 Seagate와 WD 모두 SSD, 하이브리드를 모두 준비 중 WD가 B2C 판매에 강한 반면 Seagate의 경우 OEM 사업이 발달한 것으로 보임 2011-12-01 19
  • 20. The end of my presentation Any Ques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