ݺߣ

ݺߣShare a Scribd company logo
2013학년도 9월 교육공학과 교수학습이론 평가지

정답 및 해설
• 1교시 행동주의 영역 •

<3번> 이번에는 가상의 대화를 들려드립니다. 잘 듣고
물음에 답하십시오.

이니 초콜릿이니 스티커니 아이들이 공부
하도록 자극하기 위한 요소들이 많잖아.
현령: 응, 나도 수업을 들으면서 아이들한테 정말

쏜다이크: 안녕하세요, 파블로프선생님, 스키너선
생님. 이렇게 행동주의의 거장이신 두 선생님들을
직접 만나 이야기할 수 있게 돼서 영광입니다. 저

효과적일 것 같다고 생각했어. 하지만 지
수야 행동주의 이론은 ‘아이들한테만’
효과적인 것 같지 않니? 성인 학습자에게

는 고양이실험을 통해 행동의 변화는 시행착오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아낸 행동주의학자 쏜
다이크입니다.

는 적용하는 데에 다소 무리가 있다고 봐.
지수: 음..그럴 수 있겠다. 아무래도 어른들은 아이
들보다는 상이나 벌에 자극이 덜 되니까

파블로프: 네 안녕하세요, 제가 파블로프입니다.
저도 실험에서 개를 이용했는데요, 개는 먹이를

말이야. 그래도 이 점만 빼면 딱히 단점이
없어 보여. 몇 번의 자극-반응-강화의 반
복을 통해 학습자가 행동을 자동적으로 하

줄 때 침을 흘립니다. 그런데 개한테 먹이를 주면
서 종소리를 함께 들려주면 나중에는 종소리만 들
려줘도 침을 흘리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 실험

게 된다면 뚜렷한 어떤 상황에서는 학습의
효과가 최대로 발휘 될 수 있을 거야.
현령: 네 말이 맞아. 하지만 행동주의에는 몇 가지

으로 일정한 자극과 반응간의 관계를 알아냈습니
다! 스키너선생은 어떠세요?

한계점이 더 있어. 우선 인간은 외재적으
로 주어지는 보상이나 처벌, 현실적으로
말하자면 ‘오직’ 상벌제도나 승진 등에

진행자: 최근 리메이크된 영화 ‘엑스페리먼트’가 행
동주의 이론에 바탕을 두고 있는 등 행동주의 이론에
대한 관심이 끊이지 않고 있는데요. 행동주의가 어떤

스키너: 네, 저는 선생님들의 이론을 토대로 연구
하면서 조작적인 행동에 대한 내용을 더 알게 되
었습니다. 자극을 받으면 나중에 받을 보상을 생

의해서만 학습하는 존재가 아니야. 보상이
나 처벌이 주어지지 않더라도 학습자 스스
로가 자신에게 의미 있다고 여긴다면 주체

이론인지 설명해주세요.

각해서 자발적으로 반응을 한다는 건데요, 이를테
면 이런 것입니다. 학생이 과제를 잘해오면 칭찬
을 해줘서 과제를 잘하는 행동을 강화해주고, 학

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의지와 잠재력과
능력을 갖춘 존재이기 때문이지. 그리고
또 있어. 하나의 자극도 사람마다 반응이

생이 도둑질을 하면 벌을 줘서 도둑질을 하지 않
도록 하는 것이지요.

다른데 행동주의는 이에 대해서는 고려하
지 않았어.
지수: 음 그렇겠다. 초콜릿을 좋아하는 아이가 있

파블로프: 아, 그 부분은 제가 생각하지 못했던 부
분이군요! 훌륭합니다. 그렇지만 우린 학습자를 수
동적인 존재, 환경에 의해 지배받는 존재라고 생

는가하면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 아이도 있
을테니까!
현령: 맞아, 그리고 행동주의이론은‘관찰할 수 있

[듣

기]

<1번-2번> 다음은 한 TV 인터뷰 내용입니다. 잘 듣
고 물음에 답하십시오.

진행자: 시청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이번 교공TV 시간
에는 행동주의 학습 이론을 연구한 박사님과 말씀을 나
누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박사님!
박사님: 아, 네! 안녕하십니까?

박사님: 네, 행동주의 학습이론에서는 관찰 가능한 행
동의 변화만을 학습이라고 간주하였습니다. 대표적인
행동주의자들로는 Pavlov, Skinner, Thordike 가 있습
니다.
진행자: 그러한 행동주의 학자들이 주장한 학습에 가
장 중요한 요인은 무엇입니까?

각한 것은 동일하군요.
박사님: 학습자의 행동에 변화를 주는 외부로부터 오
는 자극, 즉 강화가 학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

쏜다이크: 네, 모두 엄격한 동물실험을 통해 연구

는’행동만을 취급하기 때문에 학습자가
내적 변화를 겪었다고 할지라도 학습되었
다고 보지 않아. 하지만 내적인 변화 역시

인이라고 주장하였지요. 그들은 인간의 행동은 대부분
학습된 것이고, 행동은 학습에 의해 수정될 수 있으며,
행동과 환경에는 기능적 관계가 있다는 것을 기본 전제

했다는 점도 동일합니다. 그런데 스키너선생님은
이를 이용하여 실용적인 교육 도구를 만드셨다고
들었는데, 자세히 설명해주시겠어요?

학습의 결과잖아. 또한 고등정신 학습영역
을 다루기에는 아무래도 무리가 있지.
지수: 와~ 현령야 나는 그냥 아무런 생각 없이 행

로 삼았습니다. 행동주의 학자들은 또한 관찰할 수 있
는 행동만을 학습으로 인정하였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
습니다.

스키너: 네, 선생님들과 동일하게 전 학습이란 원
하는 행동목표를 설정한 후, 목표에 이르기 위해

동주의 이론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는데
네 말을 들어보니 집에 가면서 좀 더 생각해보아
야겠다.

진행자: 그러면 내면적, 정신적인 변화를 간과할 수 있
다는 한계점이 있을 수 있겠군요. 그렇다면 행동주의자

세부적인 단계들을 쪼개고, 단계 단계마다 즉시적
인 상과 벌 등의 강화전략을 사용하여, 결국 원하
는 행동을 만들어내는 것이 가장 완벽한 방법이라

현령: 응 ! 하지만 내가 행동주의의 한계에 대해
언급만해서 그래서 그런데, 사실 행동주의
는 교육 분야에 많은 긍정적인 역할을 끼

로서 박사님이 생각하시는 행동주의의 강점에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생각했습니다. 따라서 학생이 답을 입력하고 손잡
이를 돌리면 정답일 때에는 손잡이가 돌아가며 다
음문제가 나오고, 오답이면 그냥 손잡이가 돌아가

쳤어. 행동주의 이론은 교육 분야에 프로
그램 학습, 프로그램 튜터링 , 직접 교수,
개별화 수업 체제 등 여러 본보기나 체계

박사님: 행동주의 학습이론은 수업 발전에 많은 기여
를 하였습니다. 예를 들자면, 행동주의는 학습자의 목표
달성까지 걸리는 시간차를 인정하여, 프로그램 학습의

는 Teaching machine을 만들었습니다. 실제 교
실에서도 이용했고요!

를 제공하는 데 영향을 끼쳤어. 예를 들어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 이론은 강화의
원리와 함께 교육 및 상담 분야에서 광범

실행을 통해 개인차 극복에 도움을 주었습니다. 교사가
일방적으로 정보를 제시하는 교사중심의 학습법에서 탈
피하여 피드백을 통해 학습자가 올바른 방향으로 갈 수

파블로프: 아 그렇군요. 여러분의 학습에 대해 연
구하려는 열정이 1950년대의 교육에 큰 영향을
미치며 교육을 발전시킨 것 같아 뿌듯할 따름입니

위하게 응용되고 있다고 해. 또한 스키너
는 강화의 원리를 기초로 하여 프로그램
수업이나 교수 기계들을 고안하여 교수공

있도록 해주었다는 것이 가장 대표적인 강점이지요. 그
렇기 때문에 행동주의 학습법에서의 교수자는 더더욱
학습자의 자발적 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적절한 자극을

다. 그럼 여기서 대화를 마치고 어서 연구를 더
진행하러 가볼까요?

학이라는 주제 하에 커다란 발전을 이룩하
였지.
지수: 현령아 네 덕분에 행동주의에 대해 정말 많
이 알아간다. 너무 고마워 다음시간에 보
자!

잘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즉, 학습자
의 적극적인 반응을 유도하고, 그 반응에 대해 또 다시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학습목표를 성공적으로 도달
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수행하여야 합니다.
진행자: 박사님 덕분에 행동주의 이론에 대해 자세히

<4-5번> 다음은 대화의 일부를 들려 드립니다. 잘 듣
고 물음에 답하십시오.

알게 된 것 같아 좋습니다. 교공TV는 이쯤에서 인사드
리겠습니다.
지수: 현령아 너 이번 시간에 배운 행동주의에 대
해 어떻게 생각해? 나는 수업을 듣고 정말
현실적인 이론이라고 생각했어. 초등학교
선생님들 교무실 책상에 가보면 항상 사탕

- 1 -

6. 이번에는 행동주의와 관련된 강연의 일부를 들려
드립니다. 잘 듣고 행동주의에 대해 새롭게 알게 된
것을 서술하시오.
요즘 흔히 볼 수 있는 행동주의 학습방법에는
초등학교에서 많이 사용하는 상점, 벌점 제도가
있습니다. 행동 목표를 수행하면 칭찬 스티커와
같은 상을 주고, 잘못된 행동을 수행하면 벌점
스티커를 주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는데요. 칭
찬 스티커의 경우 긍정적 반응 강화의 효과를 기
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벌점 스티커의 경우에
는 벌점 이라는 자극을 주어 학생이 올바른 반응
을 할 뿐 아니라 그 반응이 향상될 수 있도록 지
속적으로 관리하는데 용이하기 때문에 자주 사용
됩니다.
이러한 행동주의 학습방법에 대해 더 자세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행동주의의 전략들을 알아야
합니다. 먼저 shaping은 강화를 통해 행동을 만
들어나가는 전략입니다. 그리고 chaining도 행동
주의에서 쓰이는 전략 중 하나입니다. chaining
은 연속적인 기초적 행동들을 수행하며 개인의
반응을 강화함으로써 최종 목적인 복잡한 행동에
까지 이르게 하는 전략입니다. 학습자의 현재 학
습수준보다 더 높은 수준의 것을 수행하게 할 때
쓰입니다. 마지막으로 fading은 학습자에게 주어
지고 있는 개별적인 자극들을 점차 줄여나가 없
애고 결국에는 자극 없이 목표되었던 행동을 수
행할 수 있도록 할 때 쓰이는 전략입니다.

- 2 -
Ad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행동주의영역 답지 (20)

행동주의영역 시험지
행동주의영역 시험지행동주의영역 시험지
행동주의영역 시험지
란희 이
02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행동주의)
02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행동주의)02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행동주의)
02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행동주의)
Jung Hyojung
[교수학습이론] 행동열차
[교수학습이론] 행동열차[교수학습이론] 행동열차
[교수학습이론] 행동열차
Jeon Hye Young
1-2이론과목교육공학과학습이론_과제샘플(습이론)
1-2이론과목교육공학과학습이론_과제샘플(습이론)1-2이론과목교육공학과학습이론_과제샘플(습이론)
1-2이론과목교육공학과학습이론_과제샘플(습이론)
dstop
교육공학 젶널P
교육공학   젶널P교육공학   젶널P
교육공학 젶널P
Heekyung12
정대영 2005 행동중재
정대영 2005 행동중재정대영 2005 행동중재
정대영 2005 행동중재
혜원 정
교육공학 저녈
교육공학 저녈교육공학 저녈
교육공학 저녈
yujeee93
제 5장 180~218 p 설누리
제 5장 180~218 p   설누리제 5장 180~218 p   설누리
제 5장 180~218 p 설누리
tjfsnfl
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
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
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
영민 조
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
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
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
Jeeyun Park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
gayoung07
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
Jeeyun Park
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
Jeeyun Park
journal
journaljournal
journal
jisu325
수락중(최종) 두뇌과학적 교수학습원리와 학습부진의 이해(2015-1-8)
수락중(최종) 두뇌과학적 교수학습원리와 학습부진의 이해(2015-1-8)수락중(최종) 두뇌과학적 교수학습원리와 학습부진의 이해(2015-1-8)
수락중(최종) 두뇌과학적 교수학습원리와 학습부진의 이해(2015-1-8)
21ERICK
젶널P
젶널P젶널P
젶널P
견지 심
행동주의영역 시험지
행동주의영역 시험지행동주의영역 시험지
행동주의영역 시험지
란희 이
02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행동주의)
02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행동주의)02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행동주의)
02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행동주의)
Jung Hyojung
[교수학습이론] 행동열차
[교수학습이론] 행동열차[교수학습이론] 행동열차
[교수학습이론] 행동열차
Jeon Hye Young
1-2이론과목교육공학과학습이론_과제샘플(습이론)
1-2이론과목교육공학과학습이론_과제샘플(습이론)1-2이론과목교육공학과학습이론_과제샘플(습이론)
1-2이론과목교육공학과학습이론_과제샘플(습이론)
dstop
교육공학 젶널P
교육공학   젶널P교육공학   젶널P
교육공학 젶널P
Heekyung12
정대영 2005 행동중재
정대영 2005 행동중재정대영 2005 행동중재
정대영 2005 행동중재
혜원 정
교육공학 저녈
교육공학 저녈교육공학 저녈
교육공학 저녈
yujeee93
제 5장 180~218 p 설누리
제 5장 180~218 p   설누리제 5장 180~218 p   설누리
제 5장 180~218 p 설누리
tjfsnfl
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
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
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
영민 조
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
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
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
Jeeyun Park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
gayoung07
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
Jeeyun Park
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
Jeeyun Park
수락중(최종) 두뇌과학적 교수학습원리와 학습부진의 이해(2015-1-8)
수락중(최종) 두뇌과학적 교수학습원리와 학습부진의 이해(2015-1-8)수락중(최종) 두뇌과학적 교수학습원리와 학습부진의 이해(2015-1-8)
수락중(최종) 두뇌과학적 교수학습원리와 학습부진의 이해(2015-1-8)
21ERICK

행동주의영역 답지

  • 1. 2013학년도 9월 교육공학과 교수학습이론 평가지 정답 및 해설 • 1교시 행동주의 영역 • <3번> 이번에는 가상의 대화를 들려드립니다. 잘 듣고 물음에 답하십시오. 이니 초콜릿이니 스티커니 아이들이 공부 하도록 자극하기 위한 요소들이 많잖아. 현령: 응, 나도 수업을 들으면서 아이들한테 정말 쏜다이크: 안녕하세요, 파블로프선생님, 스키너선 생님. 이렇게 행동주의의 거장이신 두 선생님들을 직접 만나 이야기할 수 있게 돼서 영광입니다. 저 효과적일 것 같다고 생각했어. 하지만 지 수야 행동주의 이론은 ‘아이들한테만’ 효과적인 것 같지 않니? 성인 학습자에게 는 고양이실험을 통해 행동의 변화는 시행착오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아낸 행동주의학자 쏜 다이크입니다. 는 적용하는 데에 다소 무리가 있다고 봐. 지수: 음..그럴 수 있겠다. 아무래도 어른들은 아이 들보다는 상이나 벌에 자극이 덜 되니까 파블로프: 네 안녕하세요, 제가 파블로프입니다. 저도 실험에서 개를 이용했는데요, 개는 먹이를 말이야. 그래도 이 점만 빼면 딱히 단점이 없어 보여. 몇 번의 자극-반응-강화의 반 복을 통해 학습자가 행동을 자동적으로 하 줄 때 침을 흘립니다. 그런데 개한테 먹이를 주면 서 종소리를 함께 들려주면 나중에는 종소리만 들 려줘도 침을 흘리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 실험 게 된다면 뚜렷한 어떤 상황에서는 학습의 효과가 최대로 발휘 될 수 있을 거야. 현령: 네 말이 맞아. 하지만 행동주의에는 몇 가지 으로 일정한 자극과 반응간의 관계를 알아냈습니 다! 스키너선생은 어떠세요? 한계점이 더 있어. 우선 인간은 외재적으 로 주어지는 보상이나 처벌, 현실적으로 말하자면 ‘오직’ 상벌제도나 승진 등에 진행자: 최근 리메이크된 영화 ‘엑스페리먼트’가 행 동주의 이론에 바탕을 두고 있는 등 행동주의 이론에 대한 관심이 끊이지 않고 있는데요. 행동주의가 어떤 스키너: 네, 저는 선생님들의 이론을 토대로 연구 하면서 조작적인 행동에 대한 내용을 더 알게 되 었습니다. 자극을 받으면 나중에 받을 보상을 생 의해서만 학습하는 존재가 아니야. 보상이 나 처벌이 주어지지 않더라도 학습자 스스 로가 자신에게 의미 있다고 여긴다면 주체 이론인지 설명해주세요. 각해서 자발적으로 반응을 한다는 건데요, 이를테 면 이런 것입니다. 학생이 과제를 잘해오면 칭찬 을 해줘서 과제를 잘하는 행동을 강화해주고, 학 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의지와 잠재력과 능력을 갖춘 존재이기 때문이지. 그리고 또 있어. 하나의 자극도 사람마다 반응이 생이 도둑질을 하면 벌을 줘서 도둑질을 하지 않 도록 하는 것이지요. 다른데 행동주의는 이에 대해서는 고려하 지 않았어. 지수: 음 그렇겠다. 초콜릿을 좋아하는 아이가 있 파블로프: 아, 그 부분은 제가 생각하지 못했던 부 분이군요! 훌륭합니다. 그렇지만 우린 학습자를 수 동적인 존재, 환경에 의해 지배받는 존재라고 생 는가하면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 아이도 있 을테니까! 현령: 맞아, 그리고 행동주의이론은‘관찰할 수 있 [듣 기] <1번-2번> 다음은 한 TV 인터뷰 내용입니다. 잘 듣 고 물음에 답하십시오. 진행자: 시청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이번 교공TV 시간 에는 행동주의 학습 이론을 연구한 박사님과 말씀을 나 누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박사님! 박사님: 아, 네! 안녕하십니까? 박사님: 네, 행동주의 학습이론에서는 관찰 가능한 행 동의 변화만을 학습이라고 간주하였습니다. 대표적인 행동주의자들로는 Pavlov, Skinner, Thordike 가 있습 니다. 진행자: 그러한 행동주의 학자들이 주장한 학습에 가 장 중요한 요인은 무엇입니까? 각한 것은 동일하군요. 박사님: 학습자의 행동에 변화를 주는 외부로부터 오 는 자극, 즉 강화가 학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 쏜다이크: 네, 모두 엄격한 동물실험을 통해 연구 는’행동만을 취급하기 때문에 학습자가 내적 변화를 겪었다고 할지라도 학습되었 다고 보지 않아. 하지만 내적인 변화 역시 인이라고 주장하였지요. 그들은 인간의 행동은 대부분 학습된 것이고, 행동은 학습에 의해 수정될 수 있으며, 행동과 환경에는 기능적 관계가 있다는 것을 기본 전제 했다는 점도 동일합니다. 그런데 스키너선생님은 이를 이용하여 실용적인 교육 도구를 만드셨다고 들었는데, 자세히 설명해주시겠어요? 학습의 결과잖아. 또한 고등정신 학습영역 을 다루기에는 아무래도 무리가 있지. 지수: 와~ 현령야 나는 그냥 아무런 생각 없이 행 로 삼았습니다. 행동주의 학자들은 또한 관찰할 수 있 는 행동만을 학습으로 인정하였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 습니다. 스키너: 네, 선생님들과 동일하게 전 학습이란 원 하는 행동목표를 설정한 후, 목표에 이르기 위해 동주의 이론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는데 네 말을 들어보니 집에 가면서 좀 더 생각해보아 야겠다. 진행자: 그러면 내면적, 정신적인 변화를 간과할 수 있 다는 한계점이 있을 수 있겠군요. 그렇다면 행동주의자 세부적인 단계들을 쪼개고, 단계 단계마다 즉시적 인 상과 벌 등의 강화전략을 사용하여, 결국 원하 는 행동을 만들어내는 것이 가장 완벽한 방법이라 현령: 응 ! 하지만 내가 행동주의의 한계에 대해 언급만해서 그래서 그런데, 사실 행동주의 는 교육 분야에 많은 긍정적인 역할을 끼 로서 박사님이 생각하시는 행동주의의 강점에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생각했습니다. 따라서 학생이 답을 입력하고 손잡 이를 돌리면 정답일 때에는 손잡이가 돌아가며 다 음문제가 나오고, 오답이면 그냥 손잡이가 돌아가 쳤어. 행동주의 이론은 교육 분야에 프로 그램 학습, 프로그램 튜터링 , 직접 교수, 개별화 수업 체제 등 여러 본보기나 체계 박사님: 행동주의 학습이론은 수업 발전에 많은 기여 를 하였습니다. 예를 들자면, 행동주의는 학습자의 목표 달성까지 걸리는 시간차를 인정하여, 프로그램 학습의 는 Teaching machine을 만들었습니다. 실제 교 실에서도 이용했고요! 를 제공하는 데 영향을 끼쳤어. 예를 들어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 이론은 강화의 원리와 함께 교육 및 상담 분야에서 광범 실행을 통해 개인차 극복에 도움을 주었습니다. 교사가 일방적으로 정보를 제시하는 교사중심의 학습법에서 탈 피하여 피드백을 통해 학습자가 올바른 방향으로 갈 수 파블로프: 아 그렇군요. 여러분의 학습에 대해 연 구하려는 열정이 1950년대의 교육에 큰 영향을 미치며 교육을 발전시킨 것 같아 뿌듯할 따름입니 위하게 응용되고 있다고 해. 또한 스키너 는 강화의 원리를 기초로 하여 프로그램 수업이나 교수 기계들을 고안하여 교수공 있도록 해주었다는 것이 가장 대표적인 강점이지요. 그 렇기 때문에 행동주의 학습법에서의 교수자는 더더욱 학습자의 자발적 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적절한 자극을 다. 그럼 여기서 대화를 마치고 어서 연구를 더 진행하러 가볼까요? 학이라는 주제 하에 커다란 발전을 이룩하 였지. 지수: 현령아 네 덕분에 행동주의에 대해 정말 많 이 알아간다. 너무 고마워 다음시간에 보 자! 잘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즉, 학습자 의 적극적인 반응을 유도하고, 그 반응에 대해 또 다시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학습목표를 성공적으로 도달 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수행하여야 합니다. 진행자: 박사님 덕분에 행동주의 이론에 대해 자세히 <4-5번> 다음은 대화의 일부를 들려 드립니다. 잘 듣 고 물음에 답하십시오. 알게 된 것 같아 좋습니다. 교공TV는 이쯤에서 인사드 리겠습니다. 지수: 현령아 너 이번 시간에 배운 행동주의에 대 해 어떻게 생각해? 나는 수업을 듣고 정말 현실적인 이론이라고 생각했어. 초등학교 선생님들 교무실 책상에 가보면 항상 사탕 - 1 - 6. 이번에는 행동주의와 관련된 강연의 일부를 들려 드립니다. 잘 듣고 행동주의에 대해 새롭게 알게 된 것을 서술하시오. 요즘 흔히 볼 수 있는 행동주의 학습방법에는 초등학교에서 많이 사용하는 상점, 벌점 제도가
  • 2. 있습니다. 행동 목표를 수행하면 칭찬 스티커와 같은 상을 주고, 잘못된 행동을 수행하면 벌점 스티커를 주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는데요. 칭 찬 스티커의 경우 긍정적 반응 강화의 효과를 기 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벌점 스티커의 경우에 는 벌점 이라는 자극을 주어 학생이 올바른 반응 을 할 뿐 아니라 그 반응이 향상될 수 있도록 지 속적으로 관리하는데 용이하기 때문에 자주 사용 됩니다. 이러한 행동주의 학습방법에 대해 더 자세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행동주의의 전략들을 알아야 합니다. 먼저 shaping은 강화를 통해 행동을 만 들어나가는 전략입니다. 그리고 chaining도 행동 주의에서 쓰이는 전략 중 하나입니다. chaining 은 연속적인 기초적 행동들을 수행하며 개인의 반응을 강화함으로써 최종 목적인 복잡한 행동에 까지 이르게 하는 전략입니다. 학습자의 현재 학 습수준보다 더 높은 수준의 것을 수행하게 할 때 쓰입니다. 마지막으로 fading은 학습자에게 주어 지고 있는 개별적인 자극들을 점차 줄여나가 없 애고 결국에는 자극 없이 목표되었던 행동을 수 행할 수 있도록 할 때 쓰이는 전략입니다.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