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HY 생태교통의 배경과 필요성
Portland, Oregon, US
생태교통(EcoMobility)이란?
걷기, 자전거, 비동력 교통수단, 대중교통 그리고 공유자동차를 포함한
이동수단과 이들 이동수단 간의 효율적 연계체계를 말하며, 동시에 이
체계에 친환경성, 사회적 통합성을 실현한 이동을 의미한다.
4. 1
국제사회의 교통·수송 부문에서 온실가스
감축 및 적응 역할 강조
현재
• 수송부문의 화석연료 의존율은 97%
• 교통부문은 전체 에너지 사용과 온실가스 배출에서 각각 20%와 13%를 차지
• 2013 UN기후변화협약에서 ‘높은 잠재력’의 온실가스 감축 부문으로 소개되어 도시와 국가 하위
기관의 역할과 행동이 강조
• 교통환경과 개선 사항을 수치적으로 측정하고, 보고하고, 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
2050년까지
• 지구상 자동차 수 33억대(400% 증가)
• 수송부문에서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170% 증가 (OECD국가)
420% 증가 (OECD 이외 국가)
사진: OECD International Transport Forum 2014
5. 2
국내 온실가스 감축목표에서 수송부문의
역할 중요
202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부문별 이행 계획
• 수송부문은 2020년까지 배출 전망치(BAU) 대비 34.3%의 가장 높은 비율
• 감축총량은 34.2백만 톤, 산업, 발전, 건물에 이어 네 번째로 높은 감축 목표
그래픽: 환경부
6. 3
천문학적 금액으로 증가하는 대도시의
교통혼잡비용
2014년 한국교통연구원의 발표
• 2015년에는 7대 도시의 교통혼잡비용이 33조
4천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
• 국내총생산(GDP)의 2.16%에 이르는 비용으로
인천국제공항 3.8개를 건설할 수 있는 정도의 비
용
• 갈수록 심각해지는 대도시의 교통 혼잡과 그에 따
른 천문학적인 비용은 기후변화는 물론 시민들의
삶의 질에 직·간접적인 영향
7. 4 도시에서의 이동성(Mobility) 관리의 중요성
지속가능 교통물류 발전법 [시행 2013.5.22.]
지속가능 교통물류 발전법 시행령 [시행 2014.7.15]
• 각 지방정부는 주민과 관계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 10년 단위의
지속가능 지방교통물류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연간 시행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 지속가능 교통물류체계의 발전을 위하여 교통물류체계의 지속
가능성 관리지표를 설정하여 고시하여야 한다.
• 통행량 총량 설정 및 감축계획, 보행교통 개선계획 수립 등
• 지속가능 지방교통물류 발전계획과 시행계획의 사전 기준자료
가 될 수 있는 생태교통 시프트(EcoMobility SHIFT) 프로그
램을 회원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우선 도입을 지원하고자 한다.
사진: 대전광역시 갑천 누리길
8. WHAT 생태교통 시프트
사진: 콜롬비아 보고타
생태교통 시프트(EcoMobility SHIFT)는 도시의 현재 교통 역량을
평가하고, 지속적인 향상의 방안을 구축하여, 최종적으로는 그 성과에
대한 검증을 통해 공식인증을 받는 생태교통 역량인증프로그램이다.
9. 1 생태교통 시프트란?
• 유럽연합의 EACI(EU-IEE 프로그램) 재정적 지원을 바
탕으로 생태교통 시프트 프로젝트 시작
• 2013년 5월 공식 발족
• 유럽 6개 도시에서 시범사업 실시: 룬드(스웨덴), 던디
(영국), 오쓰(네덜란드), 턴하우트(벨기에), 부르가스
(불가리아), 미슈콜츠(헝가리)
• 12명의 공식 검증원 활동 중
사진: 브라질 쿠리치바
10. 2 전체 프로세스
1단계 평가를 자체적으로 반복 수행하여 검증 단계까지의 수준까지 도시
교통수준의 역량을 끌어올린다.
11. 3 평가 지표(20개)
구현요소
Enabler
교통체계와 서비스
Transport System and Service
결과와 영향
Result and Impact
① 사용자 수요에 대한 이해
② 대중의 참여
③ 비전, 전략, 리더십
④ 생태교통을 위한 재정 지원
⑤ 인력 및 자원
⑥ 모니터링, 평가, 검토
① 교통계획
② 저속운행/보행 전용지구
③ 교통정보시스템(ITS)
④ 교통관리
⑤ 주차관리
⑥ 보행환경
⑦ 자전거 이용환경
⑧ 대중교통 서비스 범위&속도
⑨ 대중교통의 편리성
⑩ 탄소 저배출 이동수단
① 수송 분담율
② 안전성
③ 온실가스
④ 대기환경
12. 4 국내 시범사업 계획
평가 준비
• 생태교통 지표와 시프트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
• 업무 분담 및 외부 전문가 영입 계획
지표측정
• 지표 근거 확보 및 계산
• 테이터 취합 담당자와 확인 및 피드백
성과 평가 1
• 지표 증거자료 공유 및 지표에 대한 점수 책정
• 타당성 확인 및 감정과 약점 토론
계획 및 조치 검토
• 개선 방향과 시행 계획을 위한 전략 미팅
• 자체평가 과정에 대한 최종 보고서 작성
• 공인 검증 신청 여부 결정
성과평가 2 • 생태교통 최종 점수 계산 및 리포트 준비
검증 신청 • 검증 신청서 작성 및 일정 조율
공인검증 / 라벨링 • 공인 검증원의 검증 실시 및 라벨 발급
13. 5 국내 시범사업 일정
8월
1. 준 비
2. 시 행
3. 결과보고
7월 9월 10월 11월 12월
자문회의
자체 평가 실시 및 미팅(1·2·3차)
결과보고
워크숍
정식사업 대상도시 발굴 및 사업 준비
도시 선정 및
개시 회의
계획 및 조
치 검토
14. 6 시프트를 통한 기대효과
• 지방정부의 지속가능교통물류계획 및 이행 안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방향성 제시
• 도시교통환경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기준체계 구축
• 도시의 지도자 및 의사결정자들에게 교통을 통
해 시민들 삶의 질적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는 인
식 공유를 위한 근거자료
• 교통정책의 우선순위 설정 및 재정 자원의 효과
적인 분배. 추가 재원마련을 위한 근거 자료
• 시민들에게 도시정부가 그들의 이동 수요에 관
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관리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린다.
• 주변 도시들에 동기를 부여하고 도시교통 관련
협력을 도모하는 자료가 된다.
사진: 브라질 쿠리치바
15. 참고 유럽의 시범 도시들
프로그램 구축과 함께 시범사업을 수행한 유럽 6개 도시의 사례를 소개합니다. 시프트를 통해 도시의 강점과
약점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앞으로 도시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자료를 확보합니다.
지도: Google maps
Dundee
Oss
Miskolc
Burgas
Turnhout
L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