ݺߣ

ݺߣShare a Scribd company logo
생태교통 시프트
EcoMobility SHIFT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2014.07.23.
생태교통 시프트를 통한 도시교통환경관리
WHY 생태교통의 배경과 필요성
WHAT 생태교통 시프트
참고 유럽의 시범 도시들
WHY 생태교통의 배경과 필요성
Portland, Oregon, US
생태교통(EcoMobility)이란?
걷기, 자전거, 비동력 교통수단, 대중교통 그리고 공유자동차를 포함한
이동수단과 이들 이동수단 간의 효율적 연계체계를 말하며, 동시에 이
체계에 친환경성, 사회적 통합성을 실현한 이동을 의미한다.
1
국제사회의 교통·수송 부문에서 온실가스
감축 및 적응 역할 강조
현재
• 수송부문의 화석연료 의존율은 97%
• 교통부문은 전체 에너지 사용과 온실가스 배출에서 각각 20%와 13%를 차지
• 2013 UN기후변화협약에서 ‘높은 잠재력’의 온실가스 감축 부문으로 소개되어 도시와 국가 하위
기관의 역할과 행동이 강조
• 교통환경과 개선 사항을 수치적으로 측정하고, 보고하고, 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
2050년까지
• 지구상 자동차 수 33억대(400% 증가)
• 수송부문에서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170% 증가 (OECD국가)
420% 증가 (OECD 이외 국가)
사진: OECD International Transport Forum 2014
2
국내 온실가스 감축목표에서 수송부문의
역할 중요
202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부문별 이행 계획
• 수송부문은 2020년까지 배출 전망치(BAU) 대비 34.3%의 가장 높은 비율
• 감축총량은 34.2백만 톤, 산업, 발전, 건물에 이어 네 번째로 높은 감축 목표
그래픽: 환경부
3
천문학적 금액으로 증가하는 대도시의
교통혼잡비용
2014년 한국교통연구원의 발표
• 2015년에는 7대 도시의 교통혼잡비용이 33조
4천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
• 국내총생산(GDP)의 2.16%에 이르는 비용으로
인천국제공항 3.8개를 건설할 수 있는 정도의 비
용
• 갈수록 심각해지는 대도시의 교통 혼잡과 그에 따
른 천문학적인 비용은 기후변화는 물론 시민들의
삶의 질에 직·간접적인 영향
4 도시에서의 이동성(Mobility) 관리의 중요성
지속가능 교통물류 발전법 [시행 2013.5.22.]
지속가능 교통물류 발전법 시행령 [시행 2014.7.15]
• 각 지방정부는 주민과 관계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 10년 단위의
지속가능 지방교통물류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연간 시행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 지속가능 교통물류체계의 발전을 위하여 교통물류체계의 지속
가능성 관리지표를 설정하여 고시하여야 한다.
• 통행량 총량 설정 및 감축계획, 보행교통 개선계획 수립 등
• 지속가능 지방교통물류 발전계획과 시행계획의 사전 기준자료
가 될 수 있는 생태교통 시프트(EcoMobility SHIFT) 프로그
램을 회원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우선 도입을 지원하고자 한다.
사진: 대전광역시 갑천 누리길
WHAT 생태교통 시프트
사진: 콜롬비아 보고타
생태교통 시프트(EcoMobility SHIFT)는 도시의 현재 교통 역량을
평가하고, 지속적인 향상의 방안을 구축하여, 최종적으로는 그 성과에
대한 검증을 통해 공식인증을 받는 생태교통 역량인증프로그램이다.
1 생태교통 시프트란?
• 유럽연합의 EACI(EU-IEE 프로그램) 재정적 지원을 바
탕으로 생태교통 시프트 프로젝트 시작
• 2013년 5월 공식 발족
• 유럽 6개 도시에서 시범사업 실시: 룬드(스웨덴), 던디
(영국), 오쓰(네덜란드), 턴하우트(벨기에), 부르가스
(불가리아), 미슈콜츠(헝가리)
• 12명의 공식 검증원 활동 중
사진: 브라질 쿠리치바
2 전체 프로세스
1단계 평가를 자체적으로 반복 수행하여 검증 단계까지의 수준까지 도시
교통수준의 역량을 끌어올린다.
3 평가 지표(20개)
구현요소
Enabler
교통체계와 서비스
Transport System and Service
결과와 영향
Result and Impact
① 사용자 수요에 대한 이해
② 대중의 참여
③ 비전, 전략, 리더십
④ 생태교통을 위한 재정 지원
⑤ 인력 및 자원
⑥ 모니터링, 평가, 검토
① 교통계획
② 저속운행/보행 전용지구
③ 교통정보시스템(ITS)
④ 교통관리
⑤ 주차관리
⑥ 보행환경
⑦ 자전거 이용환경
⑧ 대중교통 서비스 범위&속도
⑨ 대중교통의 편리성
⑩ 탄소 저배출 이동수단
① 수송 분담율
② 안전성
③ 온실가스
④ 대기환경
4 국내 시범사업 계획
평가 준비
• 생태교통 지표와 시프트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
• 업무 분담 및 외부 전문가 영입 계획
지표측정
• 지표 근거 확보 및 계산
• 테이터 취합 담당자와 확인 및 피드백
성과 평가 1
• 지표 증거자료 공유 및 지표에 대한 점수 책정
• 타당성 확인 및 감정과 약점 토론
계획 및 조치 검토
• 개선 방향과 시행 계획을 위한 전략 미팅
• 자체평가 과정에 대한 최종 보고서 작성
• 공인 검증 신청 여부 결정
성과평가 2 • 생태교통 최종 점수 계산 및 리포트 준비
검증 신청 • 검증 신청서 작성 및 일정 조율
공인검증 / 라벨링 • 공인 검증원의 검증 실시 및 라벨 발급
5 국내 시범사업 일정
8월
1. 준 비
2. 시 행
3. 결과보고
7월 9월 10월 11월 12월
자문회의
자체 평가 실시 및 미팅(1·2·3차)
결과보고
워크숍
정식사업 대상도시 발굴 및 사업 준비
도시 선정 및
개시 회의
계획 및 조
치 검토
6 시프트를 통한 기대효과
• 지방정부의 지속가능교통물류계획 및 이행 안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방향성 제시
• 도시교통환경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기준체계 구축
• 도시의 지도자 및 의사결정자들에게 교통을 통
해 시민들 삶의 질적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는 인
식 공유를 위한 근거자료
• 교통정책의 우선순위 설정 및 재정 자원의 효과
적인 분배. 추가 재원마련을 위한 근거 자료
• 시민들에게 도시정부가 그들의 이동 수요에 관
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관리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린다.
• 주변 도시들에 동기를 부여하고 도시교통 관련
협력을 도모하는 자료가 된다.
사진: 브라질 쿠리치바
참고 유럽의 시범 도시들
프로그램 구축과 함께 시범사업을 수행한 유럽 6개 도시의 사례를 소개합니다. 시프트를 통해 도시의 강점과
약점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앞으로 도시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자료를 확보합니다.
지도: Google maps
Dundee
Oss
Miskolc
Burgas
Turnhout
Lund
1 턴하우트(벨기에)
인구: 41,572명
면적: 56.06km2
인구밀도: 740명/km2
2 미슈콜츠(헝가리)
인구: 263,658명
면적: 236.68km2
인구밀도: 756명/km2
3 부르가스(불가리아)
인구: 223,902명
면적: 253.644km2
인구밀도: 885명/km2
4 오쓰 (네덜란드)
인구: 85,039명
면적: 159.87km2
인구밀도: 558명/km2
5 던디(영국)
인구: 156,561명
면적: 253.644km2
인구밀도: 3,298명/km2
6 룬트(스웨덴)
인구: 82,800명
면적: 25.75km2
인구밀도: 3,215명/km2
감 사 합 니 다.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8)

PDF
The Reign of Enterprise Mobility Begins - Q4 e zine- week 41
Pamela Vega
PPT
Around The World
Andrew Stott
PPTX
정부 3.0 공공(빅)데이터 플랫폼거버넌스(1 jan2015)
Han Woo PARK
PDF
Session5 '공공기관 내부 빅데이터의 전략적 활용 방안' (주) 핑거 수석 컨설턴트 - 문종영
승우 이
PDF
숲 에서 놀다.
Seongwon Kim
PDF
세계의 놀이터와 유형20170205
Seongwon Kim
PPTX
빅데이터와공공정보 - 최고위과정 특강
JM code group
The Reign of Enterprise Mobility Begins - Q4 e zine- week 41
Pamela Vega
Around The World
Andrew Stott
정부 3.0 공공(빅)데이터 플랫폼거버넌스(1 jan2015)
Han Woo PARK
Session5 '공공기관 내부 빅데이터의 전략적 활용 방안' (주) 핑거 수석 컨설턴트 - 문종영
승우 이
숲 에서 놀다.
Seongwon Kim
세계의 놀이터와 유형20170205
Seongwon Kim
빅데이터와공공정보 - 최고위과정 특강
JM code group

Similar to 생태교통 시프트 소개자료 (20)

PDF
녹색교통 173호(3차수정)
Jay Kim
PDF
[환경회의]지구의날 논평, 초록이고 싶은 도시를 위한 시민정책제안
여성환경연대
PDF
소식짶168˳(신판)
Jay Kim
PDF
ƹ색교통163(내지)
Jay Kim
PDF
지자체 지속가능보고서(SR) 발간 안내 (UN 국제기준에 따른)
tess99
PDF
소식짶169˳(1차수정)
Jay Kim
PDF
170˳내짶(수정)
Jay Kim
PDF
Ksdn kor1 비즈니스트랙_공공서비스디자인_정인애발표
Inae Jung
PDF
Kngt breif 2020
parkjungyoung2
PDF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Bird eyes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PDF
ƹ색교통164˳
Jay Kim
PDF
녹색교통165호 수정
Jay Kim
PDF
서울시지속가능발전기본계획 성별영향분석평가 보고서(2015)
여성환경연대
PDF
잡코리아 웰던투 글로벌 프런티어 11기_길벗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PDF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Iike a green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PPTX
공공정책 기획 방법으로서 서비스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20141101. 윤성원, 지민정, 김광순)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PDF
녹색교통 제161호
Jay Kim
PDF
빅데이터 기반의 녹시율 분석
Joonho Lee
PPS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좋은사람들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PDF
소형화물차량 친환경 전환을 위한 제도제선 토론회, 2018.12.19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녹색교통 173호(3차수정)
Jay Kim
[환경회의]지구의날 논평, 초록이고 싶은 도시를 위한 시민정책제안
여성환경연대
소식짶168˳(신판)
Jay Kim
ƹ색교통163(내지)
Jay Kim
지자체 지속가능보고서(SR) 발간 안내 (UN 국제기준에 따른)
tess99
소식짶169˳(1차수정)
Jay Kim
170˳내짶(수정)
Jay Kim
Ksdn kor1 비즈니스트랙_공공서비스디자인_정인애발표
Inae Jung
Kngt breif 2020
parkjungyoung2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Bird eyes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ƹ색교통164˳
Jay Kim
녹색교통165호 수정
Jay Kim
서울시지속가능발전기본계획 성별영향분석평가 보고서(2015)
여성환경연대
잡코리아 웰던투 글로벌 프런티어 11기_길벗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Iike a green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공공정책 기획 방법으로서 서비스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20141101. 윤성원, 지민정, 김광순)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녹색교통 제161호
Jay Kim
빅데이터 기반의 녹시율 분석
Joonho Lee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좋은사람들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소형화물차량 친환경 전환을 위한 제도제선 토론회, 2018.12.19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Ad

More from Jeongmuk Kang (6)

PDF
SGHT Annual Sustainability Report 2021 v2
Jeongmuk Kang
PDF
A Study on the Future Sustainability of Sejong City, South Korea's Multifunct...
Jeongmuk Kang
PDF
[2011.08] 제천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자전거 활성화 방안
Jeongmuk Kang
PDF
[2012.11] A Study on the Future Sustainability of Sejong City
Jeongmuk Kang
PDF
[2012.01] Brief introduction of Uppsala university
Jeongmuk Kang
PPT
[2006.11] Dynamic Korea
Jeongmuk Kang
SGHT Annual Sustainability Report 2021 v2
Jeongmuk Kang
A Study on the Future Sustainability of Sejong City, South Korea's Multifunct...
Jeongmuk Kang
[2011.08] 제천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자전거 활성화 방안
Jeongmuk Kang
[2012.11] A Study on the Future Sustainability of Sejong City
Jeongmuk Kang
[2012.01] Brief introduction of Uppsala university
Jeongmuk Kang
[2006.11] Dynamic Korea
Jeongmuk Kang
Ad

생태교통 시프트 소개자료

  • 1. 생태교통 시프트 EcoMobility SHIFT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2014.07.23. 생태교통 시프트를 통한 도시교통환경관리
  • 2. WHY 생태교통의 배경과 필요성 WHAT 생태교통 시프트 참고 유럽의 시범 도시들
  • 3. WHY 생태교통의 배경과 필요성 Portland, Oregon, US 생태교통(EcoMobility)이란? 걷기, 자전거, 비동력 교통수단, 대중교통 그리고 공유자동차를 포함한 이동수단과 이들 이동수단 간의 효율적 연계체계를 말하며, 동시에 이 체계에 친환경성, 사회적 통합성을 실현한 이동을 의미한다.
  • 4. 1 국제사회의 교통·수송 부문에서 온실가스 감축 및 적응 역할 강조 현재 • 수송부문의 화석연료 의존율은 97% • 교통부문은 전체 에너지 사용과 온실가스 배출에서 각각 20%와 13%를 차지 • 2013 UN기후변화협약에서 ‘높은 잠재력’의 온실가스 감축 부문으로 소개되어 도시와 국가 하위 기관의 역할과 행동이 강조 • 교통환경과 개선 사항을 수치적으로 측정하고, 보고하고, 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 2050년까지 • 지구상 자동차 수 33억대(400% 증가) • 수송부문에서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170% 증가 (OECD국가) 420% 증가 (OECD 이외 국가) 사진: OECD International Transport Forum 2014
  • 5. 2 국내 온실가스 감축목표에서 수송부문의 역할 중요 202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부문별 이행 계획 • 수송부문은 2020년까지 배출 전망치(BAU) 대비 34.3%의 가장 높은 비율 • 감축총량은 34.2백만 톤, 산업, 발전, 건물에 이어 네 번째로 높은 감축 목표 그래픽: 환경부
  • 6. 3 천문학적 금액으로 증가하는 대도시의 교통혼잡비용 2014년 한국교통연구원의 발표 • 2015년에는 7대 도시의 교통혼잡비용이 33조 4천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 • 국내총생산(GDP)의 2.16%에 이르는 비용으로 인천국제공항 3.8개를 건설할 수 있는 정도의 비 용 • 갈수록 심각해지는 대도시의 교통 혼잡과 그에 따 른 천문학적인 비용은 기후변화는 물론 시민들의 삶의 질에 직·간접적인 영향
  • 7. 4 도시에서의 이동성(Mobility) 관리의 중요성 지속가능 교통물류 발전법 [시행 2013.5.22.] 지속가능 교통물류 발전법 시행령 [시행 2014.7.15] • 각 지방정부는 주민과 관계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 10년 단위의 지속가능 지방교통물류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연간 시행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 지속가능 교통물류체계의 발전을 위하여 교통물류체계의 지속 가능성 관리지표를 설정하여 고시하여야 한다. • 통행량 총량 설정 및 감축계획, 보행교통 개선계획 수립 등 • 지속가능 지방교통물류 발전계획과 시행계획의 사전 기준자료 가 될 수 있는 생태교통 시프트(EcoMobility SHIFT) 프로그 램을 회원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우선 도입을 지원하고자 한다. 사진: 대전광역시 갑천 누리길
  • 8. WHAT 생태교통 시프트 사진: 콜롬비아 보고타 생태교통 시프트(EcoMobility SHIFT)는 도시의 현재 교통 역량을 평가하고, 지속적인 향상의 방안을 구축하여, 최종적으로는 그 성과에 대한 검증을 통해 공식인증을 받는 생태교통 역량인증프로그램이다.
  • 9. 1 생태교통 시프트란? • 유럽연합의 EACI(EU-IEE 프로그램) 재정적 지원을 바 탕으로 생태교통 시프트 프로젝트 시작 • 2013년 5월 공식 발족 • 유럽 6개 도시에서 시범사업 실시: 룬드(스웨덴), 던디 (영국), 오쓰(네덜란드), 턴하우트(벨기에), 부르가스 (불가리아), 미슈콜츠(헝가리) • 12명의 공식 검증원 활동 중 사진: 브라질 쿠리치바
  • 10. 2 전체 프로세스 1단계 평가를 자체적으로 반복 수행하여 검증 단계까지의 수준까지 도시 교통수준의 역량을 끌어올린다.
  • 11. 3 평가 지표(20개) 구현요소 Enabler 교통체계와 서비스 Transport System and Service 결과와 영향 Result and Impact ① 사용자 수요에 대한 이해 ② 대중의 참여 ③ 비전, 전략, 리더십 ④ 생태교통을 위한 재정 지원 ⑤ 인력 및 자원 ⑥ 모니터링, 평가, 검토 ① 교통계획 ② 저속운행/보행 전용지구 ③ 교통정보시스템(ITS) ④ 교통관리 ⑤ 주차관리 ⑥ 보행환경 ⑦ 자전거 이용환경 ⑧ 대중교통 서비스 범위&속도 ⑨ 대중교통의 편리성 ⑩ 탄소 저배출 이동수단 ① 수송 분담율 ② 안전성 ③ 온실가스 ④ 대기환경
  • 12. 4 국내 시범사업 계획 평가 준비 • 생태교통 지표와 시프트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 • 업무 분담 및 외부 전문가 영입 계획 지표측정 • 지표 근거 확보 및 계산 • 테이터 취합 담당자와 확인 및 피드백 성과 평가 1 • 지표 증거자료 공유 및 지표에 대한 점수 책정 • 타당성 확인 및 감정과 약점 토론 계획 및 조치 검토 • 개선 방향과 시행 계획을 위한 전략 미팅 • 자체평가 과정에 대한 최종 보고서 작성 • 공인 검증 신청 여부 결정 성과평가 2 • 생태교통 최종 점수 계산 및 리포트 준비 검증 신청 • 검증 신청서 작성 및 일정 조율 공인검증 / 라벨링 • 공인 검증원의 검증 실시 및 라벨 발급
  • 13. 5 국내 시범사업 일정 8월 1. 준 비 2. 시 행 3. 결과보고 7월 9월 10월 11월 12월 자문회의 자체 평가 실시 및 미팅(1·2·3차) 결과보고 워크숍 정식사업 대상도시 발굴 및 사업 준비 도시 선정 및 개시 회의 계획 및 조 치 검토
  • 14. 6 시프트를 통한 기대효과 • 지방정부의 지속가능교통물류계획 및 이행 안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방향성 제시 • 도시교통환경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기준체계 구축 • 도시의 지도자 및 의사결정자들에게 교통을 통 해 시민들 삶의 질적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는 인 식 공유를 위한 근거자료 • 교통정책의 우선순위 설정 및 재정 자원의 효과 적인 분배. 추가 재원마련을 위한 근거 자료 • 시민들에게 도시정부가 그들의 이동 수요에 관 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관리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린다. • 주변 도시들에 동기를 부여하고 도시교통 관련 협력을 도모하는 자료가 된다. 사진: 브라질 쿠리치바
  • 15. 참고 유럽의 시범 도시들 프로그램 구축과 함께 시범사업을 수행한 유럽 6개 도시의 사례를 소개합니다. 시프트를 통해 도시의 강점과 약점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앞으로 도시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자료를 확보합니다. 지도: Google maps Dundee Oss Miskolc Burgas Turnhout Lund
  • 16. 1 턴하우트(벨기에) 인구: 41,572명 면적: 56.06km2 인구밀도: 740명/km2
  • 17. 2 미슈콜츠(헝가리) 인구: 263,658명 면적: 236.68km2 인구밀도: 756명/km2
  • 18. 3 부르가스(불가리아) 인구: 223,902명 면적: 253.644km2 인구밀도: 885명/km2
  • 19. 4 오쓰 (네덜란드) 인구: 85,039명 면적: 159.87km2 인구밀도: 558명/km2
  • 20. 5 던디(영국) 인구: 156,561명 면적: 253.644km2 인구밀도: 3,298명/km2
  • 21. 6 룬트(스웨덴) 인구: 82,800명 면적: 25.75km2 인구밀도: 3,215명/km2
  • 22. 감 사 합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