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cha ExtJS 5 와 Sencha Architect 3 를 활용한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개발사례미래웹기술연구소 (MIRAE WEB)Sencha ExtJS 5 와 Sencha Architect 3 를 활용한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개발사례
센차 아키텍트를 활용한 대형 엔터프라이즈 프로젝트 협업 사례 소개
EMRO - 김광섭 이사
Essencia 2017uEngine SolutionsEssencia for OMG Essence Standard Execution Platform. This lets Software Practices and Methods compatible, composable, and runnable.
Google Cloud IAM 계정, 권한 및 조직 관리정명훈 Jerry JeongGoogle Cloud에서 IAM(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을 사용하여 클라우드 리소스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계정, 권한, 조직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 Cross Project Network, 보안 권고, 빌링 내용 일부 포함
Metaworks3 Framework workbook 2015uEngine SolutionsMetaworks is Metadata Oriented Application Framework
which is Inspired from the Adaptive Object Models and OMG Reflection, MDA.
The main approach is
Application Component Generation on the fly from metadata
Now Metaworks version 3 Is A POJO framework that
encourages the Domain-Driven Design and
Especially for developing model-driven applications (UML, BPMN, etc)
[오픈소스컨설팅]Atlassian JIRA Deep DiveJi-Woong ChoiAtlassian의 핵심 솔루션인 Confluence, JIRA에 대해 살펴보고, JIRA 관리의 핵심인 각 Scheme에 대한 설명과 그에 대한 관계, 설정, 설치, 이중화에 대한 방법을 살펴봅니다.
사용성이 아닌 관리적 측면의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Sencha ExtJS를 활용한 Big Data Platform 개발 사례 미래웹기술연구소 (MIRAE WEB)Sencha ExtJS를 활용한 Big Data Platform 개발 사례
ExtJS를 활용한 고도로 복잡한 웹애플리케이션 UI 개발사례
클라우다인 - 박효근 선임
Metaworks3 Framework workbook 2015uEngine SolutionsMetaworks is Metadata Oriented Application Framework
which is Inspired from the Adaptive Object Models and OMG Reflection, MDA.
The main approach is
Application Component Generation on the fly from metadata
Now Metaworks version 3 Is A POJO framework that
encourages the Domain-Driven Design and
Especially for developing model-driven applications (UML, BPMN, etc)
[오픈소스컨설팅]Atlassian JIRA Deep DiveJi-Woong ChoiAtlassian의 핵심 솔루션인 Confluence, JIRA에 대해 살펴보고, JIRA 관리의 핵심인 각 Scheme에 대한 설명과 그에 대한 관계, 설정, 설치, 이중화에 대한 방법을 살펴봅니다.
사용성이 아닌 관리적 측면의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Sencha ExtJS를 활용한 Big Data Platform 개발 사례 미래웹기술연구소 (MIRAE WEB)Sencha ExtJS를 활용한 Big Data Platform 개발 사례
ExtJS를 활용한 고도로 복잡한 웹애플리케이션 UI 개발사례
클라우다인 - 박효근 선임
Backend.AI: 오픈소스 머신러닝 인프라 프레임워크Jeongkyu ShinBackend.AI (https://backend.ai)는 클라우드 및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여러 사용자가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컴퓨팅 자원을 공유할 수 있는 머신러닝에 특화된 인프라 관리 프레임워크입니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오픈소스 기술인 OpenStack, Kubernetes 등과 비교하여 어떤 특징과 차이점이 있는지 소개하고, 프레임워크의 구조와 기반 기술 및 응용 사례를 데모와 함께 소개합니다.
JMI Techtalk : Backend.AILablup Inc.Just Model It 이벤트에서 사용할 Backend.AI 에 관한 소개입니다. Backend.AI의 개괄, 주요 기능 및 사용예들을 다룹니다. 또한 Backend.AI 를 이용한 End-to-end ML model 개발 시나리오도 소개합니다.
An Introduction to Backend.AI to use in Just Model It event. It covers the overview of Backend.AI, its main features and examples. It also introduces the scenario of developing end-to-end ML model using Backend.AI.
designing, implementing and delivering microservices with event storming, spr...uEngine SolutionsImplementing Microservices is something like an adventure. Analyzing and decomposing microservices with applying DDD and make them into code, all is not easy. With new simple approach - Event storming, designing and implementing an event-driven MSA became easier ever seen before.
[Korea Linux Forum] Implementing web based online multiplayer tetris with Ope...JinKwon LeeImplementing Web Based Online MultiPlyaer Tetris with OpenSource
Lablupconf session8 "Paving the road to AI-powered world"Lablup Inc.Lablup Conf 1st (Session4/Core)
"Paving the road to AI-powered world" - 김준기
- 발표내용
* Recap of Backend.AI history
* Future roadmap of Backend.AI for next 2 years
- 영상보러가기 : https://youtu.be/kAGSl99U0Bo
SOSCON 2017 - Backend.AIJoongi Kim
Introduces a brief history and background of Backend.AI project, and technical details with a few key problem solving experiences.
TOAST Meetup2015 - 구름 Cloud IDE (류성태)TOAST_NHNent "TOAST Meetup 2015"
지난 11월 26일 NHN엔터테인먼트 플레이뮤지엄에서 진행되었던
TOAST Meetup 2015 컨퍼런스 발표 자료를 공유드립니다.
Session 4
"구름으로 구름 개발하기를 통해 알아보는 구름 해부하기" / 코다임 / 류성태
5. Flamingo Project
웹 기술을 활용하여 빅데이터 인
프라 및 데이터를 편리하게 사용
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데이터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하나의 화면에서 자유롭게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는 작업공간을 제
공한다.
다양한 분석 및 처리 Map Reduce
를 쉽게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한다.
오픈소스 기반으로 모든 시스템을
제대로 갖추고 진행한다.
각 화면은 최대한 독립 개발이 가
능 하도록 분리하여 구성
재사용 가능한 것은 컴포넌트화
하여 코드 작성을 최소화
누구나 추가 할 수 있도록 최대한
구조를 단순화하고 대중적인 프레
임워크를 사용
6. 빅데이터 플랫폼 이란?
출처 : [지금 빅데이터로 갑니다] Big Data Platform이란 무엇인가? (http://blog.skcc.com/m/post/1734)
Big Data 시스템의 Best Practice는 Ecosystem을 구성할 Software들을
선택하는 것부터, 물리적 구성, 개발 도구 선택, 응용 개발 표준 및 분석
모델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영역에서 고려할 수 있다.
이 Best Practice들은 전체적으로 재활용 가능한 기반을 구성하며,
이는 Big Data 시스템을 위한 Platform 으로 생각할 수 있다.
9. Flamingo2 기능목록
대분류 중분류 주요 기능 및 설명 비고
모니터링
Hadoop 2
Resource Manager Monitoring
Flamingo 2에서 기능 개선
YARN Application Monitoring
Namenode Monitoring
Hive Server Monitoring
MapReduce Job Monitoring
YARN Cluster Node Monitoring
Datanode Monitoring
시스템 System Resource Monitoring
Flamingo 2의 신규 기능
아카이브
YARN Application 실행한 YARN Application 자동 수집 기능
MapReduce Job 실행한 MapReduce Job 자동 수집 기능
User Interface Framework 업그레이드 ExtJS 4 > ExtJS 5로 업그레이드하여 성능 개선 Flamingo 2의 기능 개선
10. Flamingo2 기능목록
대분류 중분류 주요 기능 및 설명 비고
아키텍처 Web + Engine Web과 Engine을 필요에 따라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조 변경 Flamingo 2의 신규 기능
Apache Hive Hive Metastore 관리 Hive의 테이블 및 데이터베이스를 관리 Flamingo 2에서 기능 개선
Hive QL 실행 Hive QL를 실행하고 쿼리 결과를 표시 Flamingo 2에서 기능 개선
Pivotal HAWQ HAWQ Metastore 관리 HAWQ용 데이터베이스 및 테이블을 관리 Flamingo 2의 신규 기능
HAWQ SQL 실행 HAWQ에서 동작하는 SQL을 실행하고 결과를 표시 Flamingo 2의 신규 기능
시각화 HDFS 연동 HDFS에 저장되어 있는 로그 파일을 시각화 Flamingo 2의 신규 기능
시각화 차트 ggplot 기반 25종의 시각화 차트 지원 Flamingo 2의 신규 기능
워크플로우 디자이너 다양한 알고리즘 및 ETL을 연계하여 실행하는 디자이너
이력 관리 워크플로우를 실행한 실행 이력을 표시
배치작업관리 배치작업 등록 워크플로우를 배치작업형태로 등록하여 관리
배치작업 중지/일시중지 등록한 배치작업의 생명주기를 관리
13. HTML5? CSS3? 웹표준?
• 웹 브라우저 파편화 (IE, Chrome, Firefox, Safari 등등)
– IE는 버전에 따른 파편화가 심한 브라우저
• 라이브러리의 홍수
– AngularJS, Bootstrap, Jquery, Skeleton, Montage 등등
14.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하는 일
1. 디자이너와 엔지니어 간의 시각적 언어 확립
2. 시각 디자인으로부터 콘텐츠, 브랜드, 기능 등을 표현할 컴포넌트 세트 정의.
3. 컨벤션, 프레임워크, 요구 사항, 시각적 언어, 스펙 면에서 웹 애플리케이션의 기준 확립
4. 웹 애플리케이션의 범위를 기기, 브라우저, 화면, 애니메이션의 측면에서 정의
5. 브랜드 충성도, 코드 품질, 관계자의 상품 리뷰를 위한 품질 보증 가이드라인 개발
6. 적절한 간격, 타이포그래피, 헤딩, 글꼴, 아이콘, 여백, 그리드 등을 사용해 웹 애플리케이션 꾸미기
7.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따르며 다양한 해상도에 대응하는 이미지, 디바이스별 목업 등을 사용해 웹 애플리케이션 꾸
미기
8. 시맨틱, 접근성, 검색엔진 최적화, 스키마, 마이크로포맷 등을 고려하여 웹 애플리케이션 마크업하기
9. API에 접근하여 사용하기 편하고 배터리 소모가 없는 디바이스 및 클라이언트가 인지하는 방식으로 정보를 가져오
기
10. 부드러운 애니메이션, 트랜지션, 게으른 로딩lazy loading, 인터랙션, 애플리케이션 워크플로우를 수행하는 클라이
언트 사이드 코드 개발. 대부분 점진적 기능 향상 및 하위 표준 호환성까지 고려.
11. CORSCross Origin Resource Sharing을 고려하는 한편 XSSCross Site Scripting와 CSRFCross Site Request Forgery
공격을 막아낼 수 있도록 백엔드 접속에 대한 안전성 확보
12. 엄격한 데드라인, 관계자들의 요구, 기기별 제한에도 불구하고 항상 사용자가 최우선이라는 점을 잊지 않는 것
출처 : [번역]프론트엔드 개발자는 왜 구하기 어렵나요? (http://taegon.kim/archives/4810)
22. 그러나 많은 것을 포용한다.
xTemplate를 활용하면 Bootstrap의 컴포넌트를 ExtJS에서 사용할 수 있다.
23. 외부 라이브러리
라이브러리 비 고
Ace Editor SQL Editor, Log Tail
Bootstrap 상단, 좌측 메인메뉴
Codemirror 각종 Code Editor
OpenGraph Workflow Designer 도형 그리기
Stomp.js 웹소켓
Term.js 터미널 구현
• 외부 라이브러리를 ExtJS Plugin형태로 개발
• MVC구조를 사용하면서 ExtJS에 부족한
기능을 손쉽게 사용
29. ExtJS를 반드시 사용해야 하는 이유
• 뛰어난 개발 생산성
– ExtJS에 익숙해지면 그 어떤 웹 프레임워크 보다 빠르게 개발할 수 있다.
• 적은 학습기간
– HTML, CSS, Javascript를 전부 학습하지 않아도 개발할 수 있다.
• 크로스 브라우징에 대해서 전혀 신경 쓸 필요가 없다.
• 개발자는 비즈니스 로직에 더 집중해서 개발 할 수 있다.
• 모바일 환경으로의 전환이 쉽다.
30. ExtJS 단점
• Sencha 의존적
– ExtJS버그 발생 시 수정될 때 까지 기다리거나 직접 소스를 수정해야 한다.
• Upgrade
– ExtJS 3, 4, 5 Major 버전이 올라가면 아키텍처에 많은 변화
– 이전 버전 소스를 상위버전에 맞게 재개발하는 과정이 만만치 않음.
• Sencha Architect
– 화면 그리기 또는 테마 변경시에는 최고!
– 비즈니스 로직을 코딩하는데 있어서는 최악!
31. ExtJS 6
• PC와 모바일 환경의 통합
– UI구성은 따로, 비즈니스 로직은 함께 사용
• 진정한 One Source Multi Use의 실현
• ExtJS 5 -> 6 변경은 소스의 큰 수정 없이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