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중심의 시대 소셜이노베이션 (Human-centered Social Innovation) Jeongtae Kim"어떻게 하면 소셜 이노베이터가 될 수 있나요?"(How to Become a Social Innovator) 책 내용 중 "인간중심의 시대 소셜 이노베이션" 챕터의 소셜 섹터에 대한 앞으로의 전망과 어떤 역량을 준비할 지에 대한 전망과 의견을 포함한 글입니다.
앞으로 더욱 가치중심의 경영과 혁신이 중요하기에, 인간중심의 관점으로 문제정의, 아이디어도출, 문제해결에 나서는 소셜 이노베이션(social innovation)의 필요와 역할 역시 증가할 것으로 기대가 됩니다.
소셜이노베이션(사회혁신)을 추구하는 사람, 즉 소셜 이노베이터의 등장 역시 기대됩니다!
[동그라미재단]동그라미에 빠진 지역파수꾼 이야기3 사람과사람thecirclefoundation‘지역사회를 행복하게 하는 기업 키우기 프로젝트! 로컬챌린지프로젝트’
도전정신으로 주민과 마을에 숨을 불어넣고 경제를 살리는 ‘로컬챌린지프로젝트’ 3기 기업들의 장수레시피가 담긴 자료집
소셜미디어 관점에서 본 2013년 인터넷 마케팅 동향 및 2014년 전망Digital Initiative Group소셜미디어 관점에서 본 2013년 인터넷 마케팅 동향 및 2014년 전망
비즈델리에서 개최한 "2013 웹 월드 컨퍼런스 "에서 "소셜미디어 관점에서 본 2013년 인터넷 마케팅 동향 및 2014년 전망" 주제로 발표한 강의자료 입니다.
사용자 입장에서 바라본 실전 인포그래픽의 이해와 활용전략준완 박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에서 편찬한 '2013 대한민국 정부 인포그래픽스' 부록에 수록된 원고입니다.
인포그래픽 입문자들을 대상으로 인포그래픽의 가장 기본적인 사항들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관심있는 분들께 참조가 되었으면 합니다.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 적용 패키지 모델 - 한국디자인진흥원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ㅇ 제목 :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 적용 패키지 모델
ㅇ 개발기간 : 2014.11.01 ~ 2015.12.31
ㅇ 주최 : 산업통상자원부
ㅇ 주관 : 한국디자인진흥원
ㅇ 연구개발 : 알마덴디자인리서치
ㅇ 소개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디자인진흥원은 디자인 전문기업들이 전통시장을 디자인할 때 활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디자인 방법론과 적용과정을 담은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 패키지 모델’을 개발 보급한다.
그간의 전통시장 정책 사업은 공급자 관점에서 일방적이면서 하드웨어 개선 중심으로 추진된 경향이 있다. 전통시장은 최근 5년간 1조 1천억원이 투입되는 등 정부의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총 매출 2011년 21조 원, 2012년 20조 원, 2013년 19조 9천억 원 등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정책 공급자 중심으로 시장을 개선하다 보면 개성과 전통성과 같이 시장이 갖는 독특한 가치를 잃어버리게 될 가능성이 크다. 그래서 고객의 관점에서 이용 경험을 향상시키고 시장의 본질적 특색을 살릴 방법이 필요한 것이다.
보고서에는 현장 리서치를 통해 발견된 착안점을 바탕으로 한 아이디어의 개발과 실현 과정이 자세히 소개되어 있다.
2014년 말부터 부여중앙시장을 대상으로 고객과 시장상인, 관광객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조사하여 활성화 방안을 찾았다.
아이디어의 우선순위를 정해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하고 지속운영 가능한 매뉴얼 개발까지, 전반적 서비스디자인 적용 절차와 요령을 예시와 함께 담았다.
이 보고서는 알마덴디자인리서치가 한국디자인진흥원, 부여군상권활성화재단 등과 협력하여 개발하였다. 이 과정에서 개발된 ‘청년 오일(Oil)장’과 같은 새로운 서비스는 31%의 유동인구 증가 등 고객 유입과 대상 시장의 활성화에 효과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 패키지 모델은 지역의 특수성을 기반으로 전통시장에 다양한 가치를 제공할 서비스디자인 방법을 체계적으로 제시한 것으로, 환경 개선 사업, 상품권 발행, 타 유통 시간 제한 등 기존의 정부 지원책에 더하여 수요자 중심 맞춤형 통합 서비스 제공을 통해 실질적인 시장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디자인이 시장을 예쁘게 치장하고 환경을 개선하는 차원을 넘어 서비스 기획단계에서부터 도입되도록 함으로써 천편일률적 전통시장 지원사업을 고객 중심으로 혁신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가 향후 디자인전문기업들이 전통시장 지원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01. 서문
왜 전통시장에 서비스디자인이 필요한가?
서비스디자인을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서비스 디자인의 역할
인터뷰
02. 전통시장 기초현황 보고서
전통시장의 종류 및 현황분석
해당분야 현안 및 문제점
국내 사례 모음
서울 수유마을시장
서울 우림시장
수원 못골시장
광주 대인시장
광주 무등시장
광주 송정시장
대구 방천시장
부산 국제시장
부산 깡통시장
부산 부전마켓타운
부산 신평골목시장
목포 자유시장
목포 종합수산시장
전주 남부시장
군산 공설시장
광천 토굴새우젓시장
서천 한산5일장
홍성 전통시장
03.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방법론 적용 가이드 & 부여중앙시장 서비스디자인 사례
디자인 방법론
서비스디자인 패키지 활용법
서비스디자인 방법론 적용가이드
리서치
리서치 사례
대상시장 환경분석
대상시장 환경분석 사례
전략목표
전략목표 사례
컨셉도출
컨셉도출 사례
서비스 포트폴리오 관리
서비스 포트폴리오 관리 사례
비즈니스 모델
비즈니스 모델 사례
프로토타이핑
프로토타이핑 사례
실행 및 적용
실행 및 적용 사례
04. 맺음말
*산업통상자원부 R&D 2014 디자인전문기술개발사업의 서비스디자인기반 공통역량 강화 사업 중 ‘산업단지를 위한 맞춤형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산업단지 SDP)’연구를 통해 개발된 것입니다.
이 내용을 대외적으로 발표할 때에는 반드시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시행한 디자인기술개발사업의 결과임을 밝혀야 합니다.
보고서 내려받기 : designdb.com http://goo.gl/4v0aJh
문의 : 한국디자인진흥원 서비스디자인팀 031-780-2261
2015.10 RFN 알럿마케팅특강_일부 내용 공유Chung Hyo Park지난 2015년 10월 22일, 27일 양일간
RFN 알럿 스타트업(마케팅) 클래스 7번째 시간의
'마케팅, 아끼다 보면 목표를 달성 할 수 있을까?'의
공개 가능한 주요 내용 입니다.
기존 고객사의 캠페인 사례를 각 저만의 시각에서 재해석한 내용들로
마케팅 클래스를 양일간 - 각각 2시간씩 진행했었습니다.
ROI에 대한 새로운 시각, 풀수 없는 명제를 억지로 풀어보기보다
현재의 채널에 맞춘 퍼포먼스 전략을 재해석 하는게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세미나결과집 공유도시를 둘러싼 환경변화와 미래전망-공간공유사례를 중심으로UrbanHybrid[세미나 결과집 E-book] 공유도시를 둘러싼 환경 변화와 미래 전망-공간(공유)사례를 중심으로
2016년 10월, 3차례에 걸쳐 열린 ‘공유도시를 둘러싼 환경 변화와 미래 전망’ 세미나의 발제와 토론 내용을 모아 엮었습니다.
앞으로 이어질 공유경제, 공유도시에 대한 논의에 도움이 되고자 그 기록을 남깁니다.
발제자 윤종수, 이명호, 이상욱, 전미영, 정수현
편 집 권난실, 박선, 박이수, 이상욱, 조성문
디자인 박신우
문 의 사단법인 코드, creative@cckorea.org
펴낸곳 사단법인 코드, 어반하이브리드
마케터를 위한 2016 디지털 & 소셜미디어 실전팁Jay Cho이 자료는 2016년 PPSS 어벤져스쿨에서 진행된 마케팅, 디지털, 소셜미디어 관련 실무 특강을 공개용으로 정리했습니다.
특히, 2016년 마케터, 커뮤니케이터가 한번쯤 고민해보면 좋을 만한, 디지털 & 소셜미디어에 대한 실전팁, 관련 꺼리들을 정리했습니다. 소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설정하거나,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의 채널을 운영하거나, 소셜 콘텐츠를 기획하는데 있어 조금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강의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디지털, 소셜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의 변화
2. 소셜미디어 운영론
3. SNS 채널별 기상도
4. 소셜 콘텐츠 기획법
2016 디지털 & 소셜미디어 실전팁에서 소개 드린 사항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소셜커뮤니케이션 미디어 짬봉닷컴(http://jjambong.com) 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기타 문의나 제안은 akeajay@gmail.com 으로 연락주세요. :)
사용자 입장에서 바라본 실전 인포그래픽의 이해와 활용전략준완 박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에서 편찬한 '2013 대한민국 정부 인포그래픽스' 부록에 수록된 원고입니다.
인포그래픽 입문자들을 대상으로 인포그래픽의 가장 기본적인 사항들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관심있는 분들께 참조가 되었으면 합니다.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 적용 패키지 모델 - 한국디자인진흥원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ㅇ 제목 :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 적용 패키지 모델
ㅇ 개발기간 : 2014.11.01 ~ 2015.12.31
ㅇ 주최 : 산업통상자원부
ㅇ 주관 : 한국디자인진흥원
ㅇ 연구개발 : 알마덴디자인리서치
ㅇ 소개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디자인진흥원은 디자인 전문기업들이 전통시장을 디자인할 때 활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디자인 방법론과 적용과정을 담은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 패키지 모델’을 개발 보급한다.
그간의 전통시장 정책 사업은 공급자 관점에서 일방적이면서 하드웨어 개선 중심으로 추진된 경향이 있다. 전통시장은 최근 5년간 1조 1천억원이 투입되는 등 정부의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총 매출 2011년 21조 원, 2012년 20조 원, 2013년 19조 9천억 원 등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정책 공급자 중심으로 시장을 개선하다 보면 개성과 전통성과 같이 시장이 갖는 독특한 가치를 잃어버리게 될 가능성이 크다. 그래서 고객의 관점에서 이용 경험을 향상시키고 시장의 본질적 특색을 살릴 방법이 필요한 것이다.
보고서에는 현장 리서치를 통해 발견된 착안점을 바탕으로 한 아이디어의 개발과 실현 과정이 자세히 소개되어 있다.
2014년 말부터 부여중앙시장을 대상으로 고객과 시장상인, 관광객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조사하여 활성화 방안을 찾았다.
아이디어의 우선순위를 정해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하고 지속운영 가능한 매뉴얼 개발까지, 전반적 서비스디자인 적용 절차와 요령을 예시와 함께 담았다.
이 보고서는 알마덴디자인리서치가 한국디자인진흥원, 부여군상권활성화재단 등과 협력하여 개발하였다. 이 과정에서 개발된 ‘청년 오일(Oil)장’과 같은 새로운 서비스는 31%의 유동인구 증가 등 고객 유입과 대상 시장의 활성화에 효과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 패키지 모델은 지역의 특수성을 기반으로 전통시장에 다양한 가치를 제공할 서비스디자인 방법을 체계적으로 제시한 것으로, 환경 개선 사업, 상품권 발행, 타 유통 시간 제한 등 기존의 정부 지원책에 더하여 수요자 중심 맞춤형 통합 서비스 제공을 통해 실질적인 시장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디자인이 시장을 예쁘게 치장하고 환경을 개선하는 차원을 넘어 서비스 기획단계에서부터 도입되도록 함으로써 천편일률적 전통시장 지원사업을 고객 중심으로 혁신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가 향후 디자인전문기업들이 전통시장 지원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01. 서문
왜 전통시장에 서비스디자인이 필요한가?
서비스디자인을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서비스 디자인의 역할
인터뷰
02. 전통시장 기초현황 보고서
전통시장의 종류 및 현황분석
해당분야 현안 및 문제점
국내 사례 모음
서울 수유마을시장
서울 우림시장
수원 못골시장
광주 대인시장
광주 무등시장
광주 송정시장
대구 방천시장
부산 국제시장
부산 깡통시장
부산 부전마켓타운
부산 신평골목시장
목포 자유시장
목포 종합수산시장
전주 남부시장
군산 공설시장
광천 토굴새우젓시장
서천 한산5일장
홍성 전통시장
03.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방법론 적용 가이드 & 부여중앙시장 서비스디자인 사례
디자인 방법론
서비스디자인 패키지 활용법
서비스디자인 방법론 적용가이드
리서치
리서치 사례
대상시장 환경분석
대상시장 환경분석 사례
전략목표
전략목표 사례
컨셉도출
컨셉도출 사례
서비스 포트폴리오 관리
서비스 포트폴리오 관리 사례
비즈니스 모델
비즈니스 모델 사례
프로토타이핑
프로토타이핑 사례
실행 및 적용
실행 및 적용 사례
04. 맺음말
*산업통상자원부 R&D 2014 디자인전문기술개발사업의 서비스디자인기반 공통역량 강화 사업 중 ‘산업단지를 위한 맞춤형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산업단지 SDP)’연구를 통해 개발된 것입니다.
이 내용을 대외적으로 발표할 때에는 반드시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시행한 디자인기술개발사업의 결과임을 밝혀야 합니다.
보고서 내려받기 : designdb.com http://goo.gl/4v0aJh
문의 : 한국디자인진흥원 서비스디자인팀 031-780-2261
2015.10 RFN 알럿마케팅특강_일부 내용 공유Chung Hyo Park지난 2015년 10월 22일, 27일 양일간
RFN 알럿 스타트업(마케팅) 클래스 7번째 시간의
'마케팅, 아끼다 보면 목표를 달성 할 수 있을까?'의
공개 가능한 주요 내용 입니다.
기존 고객사의 캠페인 사례를 각 저만의 시각에서 재해석한 내용들로
마케팅 클래스를 양일간 - 각각 2시간씩 진행했었습니다.
ROI에 대한 새로운 시각, 풀수 없는 명제를 억지로 풀어보기보다
현재의 채널에 맞춘 퍼포먼스 전략을 재해석 하는게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세미나결과집 공유도시를 둘러싼 환경변화와 미래전망-공간공유사례를 중심으로UrbanHybrid[세미나 결과집 E-book] 공유도시를 둘러싼 환경 변화와 미래 전망-공간(공유)사례를 중심으로
2016년 10월, 3차례에 걸쳐 열린 ‘공유도시를 둘러싼 환경 변화와 미래 전망’ 세미나의 발제와 토론 내용을 모아 엮었습니다.
앞으로 이어질 공유경제, 공유도시에 대한 논의에 도움이 되고자 그 기록을 남깁니다.
발제자 윤종수, 이명호, 이상욱, 전미영, 정수현
편 집 권난실, 박선, 박이수, 이상욱, 조성문
디자인 박신우
문 의 사단법인 코드, creative@cckorea.org
펴낸곳 사단법인 코드, 어반하이브리드
마케터를 위한 2016 디지털 & 소셜미디어 실전팁Jay Cho이 자료는 2016년 PPSS 어벤져스쿨에서 진행된 마케팅, 디지털, 소셜미디어 관련 실무 특강을 공개용으로 정리했습니다.
특히, 2016년 마케터, 커뮤니케이터가 한번쯤 고민해보면 좋을 만한, 디지털 & 소셜미디어에 대한 실전팁, 관련 꺼리들을 정리했습니다. 소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설정하거나,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의 채널을 운영하거나, 소셜 콘텐츠를 기획하는데 있어 조금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강의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디지털, 소셜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의 변화
2. 소셜미디어 운영론
3. SNS 채널별 기상도
4. 소셜 콘텐츠 기획법
2016 디지털 & 소셜미디어 실전팁에서 소개 드린 사항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소셜커뮤니케이션 미디어 짬봉닷컴(http://jjambong.com) 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기타 문의나 제안은 akeajay@gmail.com 으로 연락주세요. :)
1. 성공하는 SNS 콘텐츠 캔버스
■목적과 목표.
중고차유통 BIZ에 대한 실용적인 연구 및 활용방안 모색
업 그레이드 비즈 모델을 지향하는 사업자들과의 정보 공유 및 교류
공유와 교류를 통한 실용 비즈의 추진 및 확산
■브랜드 컨셉과 목표(메시지)
브랜드 네임 : 신현도의 중고차 리서치
컨셉 :중고차유통에 대한 전문 리서치 자료의 발굴,생성과 가공
목표 : 정보로서의 가치가 있고 실용성이 있는 데이터와 자료 집적
■스토리
자동차업계에 30년 이상을 몸 담아온 어느 평범한 샐러리맨이 현역 생활을 끝내게 된다.
그는 인생의 후반부에 직접 그 자동차 시장 특히 중고차시장에서 자영업을 운영하게 되
면서 특별한 꿈을 가지게 된다. 현역에서 은퇴한 이상 중고차영업의 전문가가 되기를 꿈
꾸는 것 보다는 그러한 전문가를 발굴하고 육성하고 지원하는 전문가가 되기로 결심하게
된 것이다. 그런 방법을 통해서도 사회에 기여할 수 있고 나름대로 소정의 보상을 받을
방법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는 자신이 현역시절에 발행했던 중고차유통관련 잡지의 편집 기억과 경험을 되살려 중
고차 유통관련 주제를 가지고 연구자료 형식의 글을 써서 블로그에 올리기 시작한다. 유
통관련 통계도 입수 가능한 모든 자료를 집대성해서 업데이트하게 시작한다. 중고차시장
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모습에 대해서도단상 형식의 글을 쓰고 있다.
그의 글에 주목한 사람들이 문의를 해오거나 직접 찾아오기 시작한다. 그의 밑에서 직접
중고차 유통일을 배우려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그의 중고차리서치는 일반적이고 보편
적인 연구자료로서의 성격이 강하여 직접 일을 배우려는 사람들에게는 다소 막연한 이론
으로 보이고 있다.
실용을 추구하는 당초의 목표와 배치되는 결과이다
2. “신현도의 중고차리서치”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론으로서 뿐만이 아니라 실용적인 지침으로서의 중고차 비즈컨텐츠 제작소로서의 기능
이 필요한 것이다.그가 경험해 왔고 연구해 왔던 중고차시장의 모든 것들을 중고차시장
의 비즈 Tool로 가공해서 전달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SNS 마케팅의 학습 필요성이 절실한 것이다.
그가 생각하고 있고 전달하고자 하는 스토리를 쉽게가공하고 전달할 수 있는 기술적 방
법에 대한 학습이 필요한 것이다.
■전략 콘텐츠 캘린더
1 = 매일 시행
컨텐츠화 할 수 있는 유통정보 및 기능의 발굴 및 정리
7 = 매주 시행
위 정보 및 기능과 관련 된 일차적인 소개 블로그포스팅
30 =매월 시행
(가칭 “이달의 비즈컨셉&컨텐츠”구축
4 = 매분기행사
비즈 네트워크 미팅(유관 사업체 대표)
2 = 반기별행사
특정 비즈모델 혹은 컨텐츠에 대한 리뷰미팅 주관 운영
1 = 연간 행사
연례 비즈 동향 발표
■콘텐츠 먹이사슬
블로그카페페이스 북 매거진 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