ݺߣ

ݺߣShare a Scribd company logo
시각영상디자인과
1213547 조현영
함께 만드는
짶철 지도
_
졸업전시 주제와 아이디어 리서치
아이디어 배경 >
“영등포역은 열차 타는 곳이 왜이렇게 많지?
나는 어디서 무슨 열차를 타야하지?”
“당장 화장실에 가고 싶은데, 화장실이 개찰구
밖에 있는지 안에 있는지 모르겠네”
“청담역 8번출구로 나가려면,
열차 몇번 칸에 타야
가장 빠르지?”
아이디어 배경 >
서울의 268개 짶철역은 하루 평균 644만명이
사용하는 지하보행공간이지만 길찾기 안내표지는
편리하지 않다. 교통약자인 외국인의 서울 관광시
불만불편사항에서 일상적인 두리번거리기,
헛걸음하기, 다시 돌아오기, 나가는 길 물어보기 등은
안내서비스가 제기능을 다하지 못한 결과이다.
문화체육관광부 / 2014
아이디어 배경 >
컨셉 주제_
함께 만드는
짶철 지도
타겟_
짶철 사용자
경쟁사 분석 >
니즈
역내 위치정보서비스 없음 없음있음
데이터 시각화
없음 없음
없음 있음
있음
있음 있음
있음(자세하고 깔끔한 안내) 있음
있음
없음
없음
없음
좋음, 깔끔하고 호감적 정돈이 필요함
정돈이 필요함
정돈이 필요함
짶철 3D 짶철역 Hi 짶철
있음(비교적 잘 정리됨)
소셜기능
원하는 출구와 최소
거리인 열차칸 정보
화장실 정보
역사 내 시설 안내
디자인
3D 짶철역 앱
업데이트가 잘 안되고 3D로
구현 완료된 역도 그리 많지 않아
실질적인 사용자가 없음 /
정돈 되지 않은 디자인으로
보기에 불편함이 있음
경쟁사 분석 >
1호선같이 복잡한 역사 내의 경우
수원 방면을 타려면,
어디로 언제 가야하는지 한참을
헤매는 경우가 많다
아이디어 배경 >
“당신의 정보를 주세요! 함께 만드는 짶철 지도”
1. 시민이 함께 만들어가는 짶철 위치정보
짶철 역사 내 시설들에 대한 소셜 정보공유
2. 짶철 내 위치서비스
짶철 역사 내 시설들을 위치 기반으로 찾아갈 수 있게 하기
예를들면, 이 방면으로 가는 열차를 타고 싶은데 이 위치에서 타는 것이
맞는지 시각적으로 한번에 알 수 있게 하기
> 짶철 안에서 위치정보를 실시간, 시각적으로 제공받음
짶철 역사 내 길찾기에 관련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여, 원하는
목적지에 손쉽고, 마음편히 찾아갈 수 있도록 도와준다
아이디어 주제 >
현장 리서치 >
현장 리서치 >
현장 리서치 >
사용자 리서치 질문
Q0.기존에 사용하던 짶철 관련 앱이 있나요?
Q1. 짶철 역사 내 위치와 관련하여 어떤 정보가 가장 얻고 싶은가요?
Q2. 짶철 역사 내에서 필요한 위치 정보를 어디서 어떻게 얻나요?
Q3_1. 짶철 내에서 원하는 위치 정보를 못 찾아 불편한 경험이 있나요?
Q3_2. 그럴 시에는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였나요?
Q4. 이러한 앱이 있다면 사용할 의향이 있습니까?
Q5. 이러한 앱이 있다면 어떤 기능이 필요할까요?
Q6. 앱의 디자인은 어떠하면 좋을까요?
허주연 / 여자 / 24세
Q0.기존에 사용하던 짶철 관련 앱이 있나요?
원래 하철이 사용하였는데 네이버 지도가 더 편리함을 깨달았다.
네이버 지도는 버스와 짶철 함께 사용할 수 있어서 좋다 (길찾기, 지도, 버스, 짶철 다 있음)
Q1. 짶철 역사 내 위치와 관련하여 어떤 정보가 가장 얻고 싶은가요?
환승할 때 호선별로 환승하기 가장 가까운 출입문을 알고 싶다.
해당 역 지상으로 나가는 출구와 가장 가까운 열차 출입문 번호가 궁금하다.
Q2. 짶철 역사 내에서 필요한 위치 정보를 어디서 어떻게 얻나요?
환승 관련 정보에 관해서는 네이버 지도에서 얻는다. / 출구에 따른 열차 출입문 번호는 알 수가 없다.
Q3_1. 짶철 역사 내에서 원하는 위치 정보를 못 찾아 불편한 경험이 있나요?
그렇다, 1호선에서는 길 자체에 나눠지는 구간이 있어서 초행길인 사람에게 매우 어렵다.
전반적인 과정을 더 눈에 확 띄는 색으로 구별해줬으면 좋겠다(방향이 양쪽으로 나눠져 있다면 바닥이나,
벽쪽에 전면색 컬러로 구분), 무의식적으로도 색으로 구분할 수 있게 짶철 내에서 화장실이 갑자기
가고 싶은데 해당 역이 표를 찍고 나가야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는지, 표를 찍고 나가지 않아도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는지 궁금하다.
Q3_2. 그럴 시에는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였나요?
딱히 해결 방안이 있지 않았다. 다시 돌아가야하는 수고를 겪었다.
Q4. 이러한 앱이 있다면 사용할 의향이 있습니까?
당연하다.
Q5. 이러한 앱이 있다면 어떤 기능이 필요할까요?
이전 답변에서 말한것처럼 내가 나가고 싶은 출구에서 가장 가까운 열차 출입문을 알려주는 기능,
해당역에서 개찰구에서 나가지 않아도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나 알려주었으면 좋겠다.
개인적인 바람이지만, 스마트폰 충전 콘센트 위치도 알려주면 좋을 것 같다.
Q6. 앱의 디자인은 어떠하면 좋을까요?
심플하고, 컬러로 구별할 수 있는 디자인이였으면 좋겠다.
예를 들어, 카드를 찍고 나가지 않아도 되는 화장실이면 빨간색 표시,
콘센트는 노란색 표시, 이러한 방식처럼 컬러로 구별하는 디자인!
김태완 / 남자 / 28세
Q0.기존에 사용하던 짶철 관련 앱이 있나요?
짶철 네비게이션을 주로 사용한다
Q1. 짶철 역사 내 위치와 관련하여 어떤 정보가 가장 얻고 싶은가요?
막차정보 / 화장실 어디있는지 알고 싶다
Q2. 짶철 역사 내에서 필요한 위치 정보를 어디서 어떻게 얻나요?
대부분 짶철 내에 표지판을 보고 찾아간다
Q3_1. 짶철 내에서 원하는 위치 정보를 못 찾아 불편한 경험이 있나요?
네, 화장실을 못 찾았을때 / 어디로 나가야 내가 원하는 출구인지(이수의 경우 출구방면이 4호선, 7호선 두개로 나뉘어져 있다)
Q3_2. 그럴 시에는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였나요?
화장실 모를때에는 포기하고 나감 / 네이버 지도 켜서 몇호선 탔으니까 어떻게 나가면 되는지 인식을 하는 방식으로 해결한다
Q4. 이러한 앱이 있다면 사용할 의향이 있습니까?
그렇다
Q5. 이러한 앱이 있다면 어떤 기능이 필요할까요?
역사 내에 내 위치가 어디인지 정확히 알 수 있었으면 좋겠다
Q6. 앱의 디자인은 어떠하면 좋을까요?
광고없이 깔끔했으면 좋겠다
김선민 / 여자 / 25세
Q0.기존에 사용하던 짶철 관련 앱이 있나요?
짶철 앱을 사용한다, 네이버 지도 가끔 이용
Q1. 짶철 역사 내 위치와 관련하여 어떤 정보가 가장 얻고 싶은가요?
화장실 어디있는지 알고 싶다
Q2. 짶철 역사 내에서 필요한 위치 정보를 어디서 어떻게 얻나요?
짶철 내에 표지판, 비상 안내도를 보고 찾아간다
Q3_1. 짶철 내에서 원하는 위치 정보를 못 찾아 불편한 경험이 있나요?
그렇다, 짶철을 어느 위치에서 언제 타야하는지 헷갈려 어려움을 겪은 적이 많다(특히 2호선은 한바퀴를 도니까 더욱 헷갈렸다)
Q3_2. 그럴 시에는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였나요?
실제로 짶철을 몇 번 잘못 타면서 경험으로 주의하게 되었다
Q4. 이러한 앱이 있다면 사용할 의향이 있습니까?
사용할 수만 있다면 너무 좋을 것 같다
Q5. 이러한 앱이 있다면 어떤 기능이 필요할까요?
역사 내에 내 위치가 어디인지 정확히 알 수 있었으면 좋겠다
Q6. 앱의 디자인은 어떠하면 좋을까요?
깔끔하고 짶철과 어울리는 디자인 /
혹은 호감도 높게 귀여워도 좋을 것 같다
사용자 리서치 질문 발견점
- 내가 나가고자 하는 해당 역의 지상으로 나가는 출구와 가장 가까운 열차
출입문 번호를 알고 싶어함 / 출구 위치
- 해당 역이 표를 찍고 나가야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는지, 표를 찍고 나가지
않아도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는지 알고 싶어함 / 화장실 정보
- 환승할 때 호선별로 환승하기 가장 가까운 출입문을 알고 싶어함
- 스마트폰 충전을 위한 전기 콘센트 위치를 알고 싶어함
- 앱의 디자인은 깔끔하고 컬러로 구별이 쉬운 디자인
참고할 만한 위치정보 서비스
예시) SK텔레콤 블루투스 비콘과 같이 비콘을 적용하여 짶철 역사 내에서 위치 찾기 제공
주간 스케줄
04/07 사용자 리서치
04/14 사용자 리서치 + 기술자와 구현 방법 정하기
(+ 구현 가능 여부 관련 리서치 > 데이터 구하기_ 짶철 내 비상대피 안내도, 도면 등)
04/21 구현 가능 여부 관련 리서치 > 데이터 구하기
04/28 시각화 방법 리서치
05/05 시각화
05/12 시각화
05/19 시각화
05/26 시각화 + 개발 상의
06/02 시각화 + 개발 상의
06/09 시각화 + 개발 진행
06/16 시각화 + 개발 진행
06/23 기말발표
.
08월 가능한한 마켓에 올리기
09월 베타버전
추가 참고 자료 >
서울시, 3D실내지도 기반 모바일 앱
‘시민청 둘러보기’ 출시
Hi 짶철 앱 상세 소개>
Hi 짶철 앱 상세 소개 표현 참고
1213547 조현영 아이디어 리서치 4.28
1213547 조현영 아이디어 리서치 4.28
1213547 조현영 아이디어 리서치 4.28
1213547 조현영 아이디어 리서치 4.28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9)

PDF
서비스 디자인 24k
Seungkwan Kim
PDF
Highroad
sujeongE
PDF
Highroad : Smart mobility sharing service
DaeunJoung
PDF
Highroad
sujeongE
PDF
서브웨이 고생하지 않길 바래
진화 장
PDF
서비스 디자인 12.4(최종).compressed
HanNamHee
PDF
오픈형 대기실에 숨을 불어넣다
HanNamHee
PDF
인터렉티브디자인2 3주차 서프라이즈_1312096장진화,1312818김윤이
진화 장
PDF
Untitled 2
yujinj
서비스 디자인 24k
Seungkwan Kim
Highroad
sujeongE
Highroad : Smart mobility sharing service
DaeunJoung
Highroad
sujeongE
서브웨이 고생하지 않길 바래
진화 장
서비스 디자인 12.4(최종).compressed
HanNamHee
오픈형 대기실에 숨을 불어넣다
HanNamHee
인터렉티브디자인2 3주차 서프라이즈_1312096장진화,1312818김윤이
진화 장
Untitled 2
yujinj

Viewers also liked (20)

PDF
홍익경영혁신2015 B331038 과제제출
mina0000
PDF
졸전주제 2차
rururuadf
PPTX
디자인의 정의
Sohee Kim
PPT
GPS Navigation Review - Garmin
Daniel Kim
PPTX
정보검색 6조
c3_3036
PPTX
위치기반서비스(Lbs) 공입
Heesung Youn
PPTX
가상현실 Vs 증강현실
진태 김
PPT
Ҿ개론
guestf37489
PPTX
GPS technology
vipik
PPTX
AR tool - Vuforia
SeongSik Choi
PDF
응답하라 반응형웹 - 1. 반응형 웹이란
redribbon1307
PDF
졸전 아이디어 정미슬
Jung Mieseul
PDF
KrDAG 스터디: 라즈베리파이2와 Beacon의만남
Ian Choi
PPT
주차정보제공 Navi
Myoung Soo Kang
PPTX
비콘 +센서 발표자료 20141222
Phil Cho
PDF
공공분야에서의 드론 활용 - 진정회 대표 (엑스드론)
brainerymakers
PDF
응답하라 반응형웹 - 3. bootstrap
redribbon1307
PDF
현장 화합형 농업인·귀농·귀촌인 애로 해결소 - 경상북도 국민디자인단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PPTX
2015 캡스톤 디자인 2
SiMYEONGUK
PPT
Ok cashbag제휴제안서[1]
saymi76 lee
홍익경영혁신2015 B331038 과제제출
mina0000
졸전주제 2차
rururuadf
디자인의 정의
Sohee Kim
GPS Navigation Review - Garmin
Daniel Kim
정보검색 6조
c3_3036
위치기반서비스(Lbs) 공입
Heesung Youn
가상현실 Vs 증강현실
진태 김
Ҿ개론
guestf37489
GPS technology
vipik
AR tool - Vuforia
SeongSik Choi
응답하라 반응형웹 - 1. 반응형 웹이란
redribbon1307
졸전 아이디어 정미슬
Jung Mieseul
KrDAG 스터디: 라즈베리파이2와 Beacon의만남
Ian Choi
주차정보제공 Navi
Myoung Soo Kang
비콘 +센서 발표자료 20141222
Phil Cho
공공분야에서의 드론 활용 - 진정회 대표 (엑스드론)
brainerymakers
응답하라 반응형웹 - 3. bootstrap
redribbon1307
현장 화합형 농업인·귀농·귀촌인 애로 해결소 - 경상북도 국민디자인단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2015 캡스톤 디자인 2
SiMYEONGUK
Ok cashbag제휴제안서[1]
saymi76 lee
Ad

Similar to 1213547 조현영 아이디어 리서치 4.28 (20)

PDF
김수정 3주차
KimSoojeong
PDF
무장애정류장조 UX Consultant 교육 쵵Ӣ 과제결과
Rightbrain UX1 Consulting group
PDF
인터렉티브디자인2 4주차 서프라이즈_1312096장진화,1312818김윤이
진화 장
PDF
김수정 4주차
KimSoojeong
PPTX
졸프
SOOMIN CHO
PPT
20100114 발표5번 짶철승차대기라인변경 영진천새마을운동(수정)
olivia19
PPTX
짶철
ys120388
PPTX
짶철
ys120388
PPTX
먼저 타고 먼저 앉기
기영 손
PDF
고속ѫ
DOYOUNG14
PPTX
짶철
leehogyu
PDF
11153303 김민석 서비스디자인
민석 김
PDF
서비스디자인2
Suin Lyu
PDF
서비스 Ppt.compressed
LeeByungYong
PDF
서비스디자인3
Suin Lyu
PDF
디자인 매니지먼트
다솜 최
PDF
30일 pt
Seungkwan Kim
PDF
30일 pt
민석 김
PDF
For yonsei,
asy382
PDF
Carcamping final
hasoomin
김수정 3주차
KimSoojeong
무장애정류장조 UX Consultant 교육 쵵Ӣ 과제결과
Rightbrain UX1 Consulting group
인터렉티브디자인2 4주차 서프라이즈_1312096장진화,1312818김윤이
진화 장
김수정 4주차
KimSoojeong
20100114 발표5번 짶철승차대기라인변경 영진천새마을운동(수정)
olivia19
짶철
ys120388
짶철
ys120388
먼저 타고 먼저 앉기
기영 손
고속ѫ
DOYOUNG14
짶철
leehogyu
11153303 김민석 서비스디자인
민석 김
서비스디자인2
Suin Lyu
서비스 Ppt.compressed
LeeByungYong
서비스디자인3
Suin Lyu
디자인 매니지먼트
다솜 최
30일 pt
민석 김
For yonsei,
asy382
Carcamping final
hasoomin
Ad

1213547 조현영 아이디어 리서치 4.28

  • 1. 시각영상디자인과 1213547 조현영 함께 만드는 짶철 지도 _ 졸업전시 주제와 아이디어 리서치
  • 2. 아이디어 배경 > “영등포역은 열차 타는 곳이 왜이렇게 많지? 나는 어디서 무슨 열차를 타야하지?”
  • 3. “당장 화장실에 가고 싶은데, 화장실이 개찰구 밖에 있는지 안에 있는지 모르겠네” “청담역 8번출구로 나가려면, 열차 몇번 칸에 타야 가장 빠르지?” 아이디어 배경 >
  • 4. 서울의 268개 짶철역은 하루 평균 644만명이 사용하는 지하보행공간이지만 길찾기 안내표지는 편리하지 않다. 교통약자인 외국인의 서울 관광시 불만불편사항에서 일상적인 두리번거리기, 헛걸음하기, 다시 돌아오기, 나가는 길 물어보기 등은 안내서비스가 제기능을 다하지 못한 결과이다. 문화체육관광부 / 2014 아이디어 배경 >
  • 5. 컨셉 주제_ 함께 만드는 짶철 지도 타겟_ 짶철 사용자
  • 6. 경쟁사 분석 > 니즈 역내 위치정보서비스 없음 없음있음 데이터 시각화 없음 없음 없음 있음 있음 있음 있음 있음(자세하고 깔끔한 안내) 있음 있음 없음 없음 없음 좋음, 깔끔하고 호감적 정돈이 필요함 정돈이 필요함 정돈이 필요함 짶철 3D 짶철역 Hi 짶철 있음(비교적 잘 정리됨) 소셜기능 원하는 출구와 최소 거리인 열차칸 정보 화장실 정보 역사 내 시설 안내 디자인
  • 7. 3D 짶철역 앱 업데이트가 잘 안되고 3D로 구현 완료된 역도 그리 많지 않아 실질적인 사용자가 없음 / 정돈 되지 않은 디자인으로 보기에 불편함이 있음 경쟁사 분석 >
  • 8. 1호선같이 복잡한 역사 내의 경우 수원 방면을 타려면, 어디로 언제 가야하는지 한참을 헤매는 경우가 많다 아이디어 배경 >
  • 9. “당신의 정보를 주세요! 함께 만드는 짶철 지도” 1. 시민이 함께 만들어가는 짶철 위치정보 짶철 역사 내 시설들에 대한 소셜 정보공유 2. 짶철 내 위치서비스 짶철 역사 내 시설들을 위치 기반으로 찾아갈 수 있게 하기 예를들면, 이 방면으로 가는 열차를 타고 싶은데 이 위치에서 타는 것이 맞는지 시각적으로 한번에 알 수 있게 하기 > 짶철 안에서 위치정보를 실시간, 시각적으로 제공받음 짶철 역사 내 길찾기에 관련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여, 원하는 목적지에 손쉽고, 마음편히 찾아갈 수 있도록 도와준다 아이디어 주제 >
  • 13. 사용자 리서치 질문 Q0.기존에 사용하던 짶철 관련 앱이 있나요? Q1. 짶철 역사 내 위치와 관련하여 어떤 정보가 가장 얻고 싶은가요? Q2. 짶철 역사 내에서 필요한 위치 정보를 어디서 어떻게 얻나요? Q3_1. 짶철 내에서 원하는 위치 정보를 못 찾아 불편한 경험이 있나요? Q3_2. 그럴 시에는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였나요? Q4. 이러한 앱이 있다면 사용할 의향이 있습니까? Q5. 이러한 앱이 있다면 어떤 기능이 필요할까요? Q6. 앱의 디자인은 어떠하면 좋을까요?
  • 14. 허주연 / 여자 / 24세 Q0.기존에 사용하던 짶철 관련 앱이 있나요? 원래 하철이 사용하였는데 네이버 지도가 더 편리함을 깨달았다. 네이버 지도는 버스와 짶철 함께 사용할 수 있어서 좋다 (길찾기, 지도, 버스, 짶철 다 있음) Q1. 짶철 역사 내 위치와 관련하여 어떤 정보가 가장 얻고 싶은가요? 환승할 때 호선별로 환승하기 가장 가까운 출입문을 알고 싶다. 해당 역 지상으로 나가는 출구와 가장 가까운 열차 출입문 번호가 궁금하다. Q2. 짶철 역사 내에서 필요한 위치 정보를 어디서 어떻게 얻나요? 환승 관련 정보에 관해서는 네이버 지도에서 얻는다. / 출구에 따른 열차 출입문 번호는 알 수가 없다. Q3_1. 짶철 역사 내에서 원하는 위치 정보를 못 찾아 불편한 경험이 있나요? 그렇다, 1호선에서는 길 자체에 나눠지는 구간이 있어서 초행길인 사람에게 매우 어렵다. 전반적인 과정을 더 눈에 확 띄는 색으로 구별해줬으면 좋겠다(방향이 양쪽으로 나눠져 있다면 바닥이나, 벽쪽에 전면색 컬러로 구분), 무의식적으로도 색으로 구분할 수 있게 짶철 내에서 화장실이 갑자기 가고 싶은데 해당 역이 표를 찍고 나가야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는지, 표를 찍고 나가지 않아도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는지 궁금하다. Q3_2. 그럴 시에는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였나요? 딱히 해결 방안이 있지 않았다. 다시 돌아가야하는 수고를 겪었다.
  • 15. Q4. 이러한 앱이 있다면 사용할 의향이 있습니까? 당연하다. Q5. 이러한 앱이 있다면 어떤 기능이 필요할까요? 이전 답변에서 말한것처럼 내가 나가고 싶은 출구에서 가장 가까운 열차 출입문을 알려주는 기능, 해당역에서 개찰구에서 나가지 않아도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나 알려주었으면 좋겠다. 개인적인 바람이지만, 스마트폰 충전 콘센트 위치도 알려주면 좋을 것 같다. Q6. 앱의 디자인은 어떠하면 좋을까요? 심플하고, 컬러로 구별할 수 있는 디자인이였으면 좋겠다. 예를 들어, 카드를 찍고 나가지 않아도 되는 화장실이면 빨간색 표시, 콘센트는 노란색 표시, 이러한 방식처럼 컬러로 구별하는 디자인!
  • 16. 김태완 / 남자 / 28세 Q0.기존에 사용하던 짶철 관련 앱이 있나요? 짶철 네비게이션을 주로 사용한다 Q1. 짶철 역사 내 위치와 관련하여 어떤 정보가 가장 얻고 싶은가요? 막차정보 / 화장실 어디있는지 알고 싶다 Q2. 짶철 역사 내에서 필요한 위치 정보를 어디서 어떻게 얻나요? 대부분 짶철 내에 표지판을 보고 찾아간다 Q3_1. 짶철 내에서 원하는 위치 정보를 못 찾아 불편한 경험이 있나요? 네, 화장실을 못 찾았을때 / 어디로 나가야 내가 원하는 출구인지(이수의 경우 출구방면이 4호선, 7호선 두개로 나뉘어져 있다) Q3_2. 그럴 시에는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였나요? 화장실 모를때에는 포기하고 나감 / 네이버 지도 켜서 몇호선 탔으니까 어떻게 나가면 되는지 인식을 하는 방식으로 해결한다 Q4. 이러한 앱이 있다면 사용할 의향이 있습니까? 그렇다 Q5. 이러한 앱이 있다면 어떤 기능이 필요할까요? 역사 내에 내 위치가 어디인지 정확히 알 수 있었으면 좋겠다 Q6. 앱의 디자인은 어떠하면 좋을까요? 광고없이 깔끔했으면 좋겠다
  • 17. 김선민 / 여자 / 25세 Q0.기존에 사용하던 짶철 관련 앱이 있나요? 짶철 앱을 사용한다, 네이버 지도 가끔 이용 Q1. 짶철 역사 내 위치와 관련하여 어떤 정보가 가장 얻고 싶은가요? 화장실 어디있는지 알고 싶다 Q2. 짶철 역사 내에서 필요한 위치 정보를 어디서 어떻게 얻나요? 짶철 내에 표지판, 비상 안내도를 보고 찾아간다 Q3_1. 짶철 내에서 원하는 위치 정보를 못 찾아 불편한 경험이 있나요? 그렇다, 짶철을 어느 위치에서 언제 타야하는지 헷갈려 어려움을 겪은 적이 많다(특히 2호선은 한바퀴를 도니까 더욱 헷갈렸다) Q3_2. 그럴 시에는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였나요? 실제로 짶철을 몇 번 잘못 타면서 경험으로 주의하게 되었다 Q4. 이러한 앱이 있다면 사용할 의향이 있습니까? 사용할 수만 있다면 너무 좋을 것 같다 Q5. 이러한 앱이 있다면 어떤 기능이 필요할까요? 역사 내에 내 위치가 어디인지 정확히 알 수 있었으면 좋겠다 Q6. 앱의 디자인은 어떠하면 좋을까요? 깔끔하고 짶철과 어울리는 디자인 / 혹은 호감도 높게 귀여워도 좋을 것 같다
  • 18. 사용자 리서치 질문 발견점 - 내가 나가고자 하는 해당 역의 지상으로 나가는 출구와 가장 가까운 열차 출입문 번호를 알고 싶어함 / 출구 위치 - 해당 역이 표를 찍고 나가야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는지, 표를 찍고 나가지 않아도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는지 알고 싶어함 / 화장실 정보 - 환승할 때 호선별로 환승하기 가장 가까운 출입문을 알고 싶어함 - 스마트폰 충전을 위한 전기 콘센트 위치를 알고 싶어함 - 앱의 디자인은 깔끔하고 컬러로 구별이 쉬운 디자인
  • 19. 참고할 만한 위치정보 서비스 예시) SK텔레콤 블루투스 비콘과 같이 비콘을 적용하여 짶철 역사 내에서 위치 찾기 제공
  • 20. 주간 스케줄 04/07 사용자 리서치 04/14 사용자 리서치 + 기술자와 구현 방법 정하기 (+ 구현 가능 여부 관련 리서치 > 데이터 구하기_ 짶철 내 비상대피 안내도, 도면 등) 04/21 구현 가능 여부 관련 리서치 > 데이터 구하기 04/28 시각화 방법 리서치 05/05 시각화 05/12 시각화 05/19 시각화 05/26 시각화 + 개발 상의 06/02 시각화 + 개발 상의 06/09 시각화 + 개발 진행 06/16 시각화 + 개발 진행 06/23 기말발표 . 08월 가능한한 마켓에 올리기 09월 베타버전
  • 21. 추가 참고 자료 > 서울시, 3D실내지도 기반 모바일 앱 ‘시민청 둘러보기’ 출시 Hi 짶철 앱 상세 소개>
  • 22. Hi 짶철 앱 상세 소개 표현 참고